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영화 〈버닝〉: 주체의 욕망이 상연되는 팬터마임-환상의 무대, 그리고 트라우마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59655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영화 〈버닝〉은 타자의 욕망을 욕망하는 종수가 타자인 해미의 눈으로 만들어낸 환상에 대한 이야기를 하고 있다. 라캉에 의하면 사랑과 욕망은 주체의 환상이 만들어낸 것으로 내 눈의 자리를 차지하고 있는 타자의 눈이 만들어낸 것이다. 타자에 의한 욕망을 종수가 욕망했고, 타자를 통해서 형성된 환상이 종수가 어린시절, 집을 떠난 어머니와 사라진 해미를 동일시했다. 뿐만 아니라 가출한 어머니의 옷을 태우게 한 아버지와 방화가 은밀한 취미인 벤을 종수는 동일시했다. 그 결과는 벤에 대한 종수의 살인과 방화라는 파국에 이른다. 영화 마지막의 종수가 자신을 옷을 벗어 태우는 방화 장면은 어릴 적 어머니 옷을 태운 트라우마의 반복이라 할 수 있다. 이 작품은 타자의 욕망이 상연되는 환상의 무대를 보여주는 욕망과 트라우마, 그리고 추적의 드라마이다. 그런데 이창동 감독 작품세계의 전체 맥락에서 봤을 때, 〈버닝〉은 개인의 고통과 갈등을 그린 것을 넘어 우리 사회를 은유하는 작품으로 읽혀진다. 즉 압축적 근대화와 신자유주의의 침입은 우리사회에 쉽게 치유되지 않는 트라우마와 비극을 남겼으며 〈버닝〉에서 반복강박과 타자에 대한 욕망의 모습 등으로 형상화되고 있다. 사회적 맥락에서 〈버닝〉은 오늘날 현실에 새겨진 뿌리 깊은 트라우마뿐 아니라 사회계층 간의 봉합할 수 없는 간극과 차이 또한 암시한다. 나아가 자신만의 장소가 없는 삶에 배고픈 자들의 뿌리 뽑힌 모습을 드러내고 있다.
      번역하기

      영화 〈버닝〉은 타자의 욕망을 욕망하는 종수가 타자인 해미의 눈으로 만들어낸 환상에 대한 이야기를 하고 있다. 라캉에 의하면 사랑과 욕망은 주체의 환상이 만들어낸 것으로 내 눈의 자...

      영화 〈버닝〉은 타자의 욕망을 욕망하는 종수가 타자인 해미의 눈으로 만들어낸 환상에 대한 이야기를 하고 있다. 라캉에 의하면 사랑과 욕망은 주체의 환상이 만들어낸 것으로 내 눈의 자리를 차지하고 있는 타자의 눈이 만들어낸 것이다. 타자에 의한 욕망을 종수가 욕망했고, 타자를 통해서 형성된 환상이 종수가 어린시절, 집을 떠난 어머니와 사라진 해미를 동일시했다. 뿐만 아니라 가출한 어머니의 옷을 태우게 한 아버지와 방화가 은밀한 취미인 벤을 종수는 동일시했다. 그 결과는 벤에 대한 종수의 살인과 방화라는 파국에 이른다. 영화 마지막의 종수가 자신을 옷을 벗어 태우는 방화 장면은 어릴 적 어머니 옷을 태운 트라우마의 반복이라 할 수 있다. 이 작품은 타자의 욕망이 상연되는 환상의 무대를 보여주는 욕망과 트라우마, 그리고 추적의 드라마이다. 그런데 이창동 감독 작품세계의 전체 맥락에서 봤을 때, 〈버닝〉은 개인의 고통과 갈등을 그린 것을 넘어 우리 사회를 은유하는 작품으로 읽혀진다. 즉 압축적 근대화와 신자유주의의 침입은 우리사회에 쉽게 치유되지 않는 트라우마와 비극을 남겼으며 〈버닝〉에서 반복강박과 타자에 대한 욕망의 모습 등으로 형상화되고 있다. 사회적 맥락에서 〈버닝〉은 오늘날 현실에 새겨진 뿌리 깊은 트라우마뿐 아니라 사회계층 간의 봉합할 수 없는 간극과 차이 또한 암시한다. 나아가 자신만의 장소가 없는 삶에 배고픈 자들의 뿌리 뽑힌 모습을 드러내고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Movie <Burning> is a story about fantasy that Jongsoo, who desires Other’s desire, created through a view of Haemi. According to Lacan, love and desire are invented by fantasy of subject, made by Other’s eyes which took his own eyes. Jongsoo desires Other’s desire. Also his fantasy, made by Others, identifies Haemi with his mother who left home when he was young. Besides, he identifies Ben, whose secret hobby is arson, with his father who made him to burn clothes of mom who ran away. As a result, it ends to murder and arson of Jongsoo taking aim with Ben. Ending scene, which Jongsoo takes all his clothes off and burns them all, can be regarded as a repetition of his trauma which reminds him of memory that he burned his mother’s clothes. This movie can be regarded as a drama of desire, trauma and chase, showing the fantastic stage presented the stage of fantasy. However, in the context of the whole world of films of Lee Chang-Dong, 〈Burning〉 is regarded as a metaphor of our society beyond representing personal torture and conflicts. In other words, invasion of compressed modernization and neoliberalism left irreparable trauma and tragedy in society. In 〈Burning〉, it is embodied as a repetition compulsion and a desire to Other. In social context, 〈Burning〉 implies deep-rooted trauma in reality as well as unrecoverable gap between social classes. Furthermore, it reveals that rooted out features of hungry people without refuge.
      번역하기

      Movie <Burning> is a story about fantasy that Jongsoo, who desires Other’s desire, created through a view of Haemi. According to Lacan, love and desire are invented by fantasy of subject, made by Other’s eyes which took his own eyes. Jongsoo...

      Movie <Burning> is a story about fantasy that Jongsoo, who desires Other’s desire, created through a view of Haemi. According to Lacan, love and desire are invented by fantasy of subject, made by Other’s eyes which took his own eyes. Jongsoo desires Other’s desire. Also his fantasy, made by Others, identifies Haemi with his mother who left home when he was young. Besides, he identifies Ben, whose secret hobby is arson, with his father who made him to burn clothes of mom who ran away. As a result, it ends to murder and arson of Jongsoo taking aim with Ben. Ending scene, which Jongsoo takes all his clothes off and burns them all, can be regarded as a repetition of his trauma which reminds him of memory that he burned his mother’s clothes. This movie can be regarded as a drama of desire, trauma and chase, showing the fantastic stage presented the stage of fantasy. However, in the context of the whole world of films of Lee Chang-Dong, 〈Burning〉 is regarded as a metaphor of our society beyond representing personal torture and conflicts. In other words, invasion of compressed modernization and neoliberalism left irreparable trauma and tragedy in society. In 〈Burning〉, it is embodied as a repetition compulsion and a desire to Other. In social context, 〈Burning〉 implies deep-rooted trauma in reality as well as unrecoverable gap between social classes. Furthermore, it reveals that rooted out features of hungry people without refug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요약
      • 1. 들어가는 말
      • 2. 있음, 없음, 사라짐의 세 요소
      • 3. 과거로부터의 소환, 트라우마
      • 4. 캐릭터와 공간과 장소 체계
      • 국문요약
      • 1. 들어가는 말
      • 2. 있음, 없음, 사라짐의 세 요소
      • 3. 과거로부터의 소환, 트라우마
      • 4. 캐릭터와 공간과 장소 체계
      • 5. 나가는 말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영진, "현대 한국영화의 작가적 경향에 대하여 : 장르의 변용성을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첨단영상대학원 2006

      2 주진숙, "한국의 영화감독, 7인을 말하다" 도서출판 복북스 2008

      3 맹정현, "트라우마 이후의 삶 : 잠든 상처를 찾아가는 정신분석 이야기" 한솔수복 2005

      4 정경훈, "타자에게 열리는 주체: 영화 <시>와 <피에타> 그리고 철학담론에 나타난 윤리감성 연구" 한국비평이론학회 18 (18): 163-188, 2013

      5 로렌초 키에자, "주체성과 타자성" 도서출판 난장 2012

      6 지그문트 프로이트, "정신분석학의 근본개념" 열린책들 2004

      7 김소연, "정신분석적 영화이론의 새로운 가능성에 관하여" 도서출판b 2008

      8 이병욱, "이창동의 영화 <밀양>에 대한 분석적 논평" 한국정신분석학회 28 (28): 1-11, 2017

      9 이현승, "이창동 작가론 : 윤리를 창조하는 ‘반복’으로서의 영화 만들기" 한국콘텐츠학회 12 (12): 116-126, 2012

      10 박유희, "이창동 작가론 -이창동 소설과 영화의 연관성을 중심으로-" 현대영화연구소 13 (13): 95-143, 2017

      1 김영진, "현대 한국영화의 작가적 경향에 대하여 : 장르의 변용성을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첨단영상대학원 2006

      2 주진숙, "한국의 영화감독, 7인을 말하다" 도서출판 복북스 2008

      3 맹정현, "트라우마 이후의 삶 : 잠든 상처를 찾아가는 정신분석 이야기" 한솔수복 2005

      4 정경훈, "타자에게 열리는 주체: 영화 <시>와 <피에타> 그리고 철학담론에 나타난 윤리감성 연구" 한국비평이론학회 18 (18): 163-188, 2013

      5 로렌초 키에자, "주체성과 타자성" 도서출판 난장 2012

      6 지그문트 프로이트, "정신분석학의 근본개념" 열린책들 2004

      7 김소연, "정신분석적 영화이론의 새로운 가능성에 관하여" 도서출판b 2008

      8 이병욱, "이창동의 영화 <밀양>에 대한 분석적 논평" 한국정신분석학회 28 (28): 1-11, 2017

      9 이현승, "이창동 작가론 : 윤리를 창조하는 ‘반복’으로서의 영화 만들기" 한국콘텐츠학회 12 (12): 116-126, 2012

      10 박유희, "이창동 작가론 -이창동 소설과 영화의 연관성을 중심으로-" 현대영화연구소 13 (13): 95-143, 2017

      11 채희주, "이창동 영화에 표현된 개인" 한국콘텐츠학회 15 (15): 122-129, 2015

      12 서인숙, "이창동 영화 탐구:<초록물고기>, <박하사탕>, <오아시스>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 13 (13): 58-71, 2013

      13 진수미, "이창동 영화 <시>의 매체성 연구" 한국영화학회 (70) : 139-162, 2016

      14 김시무, "이창동 감독의 작품세계" 한국영화평론가협회 (17) : 2005

      15 페터 비트머, "욕망의 전복, 자끄 라깡 또는 제2의 정신분석학 혁명" 도서출판 한울 1998

      16 김소연, "실재의 죽음" 도서출판b 2008

      17 김광기, "문화 징후에 대한 사회학적 내시경 탐사록 : 한국사회의 문화풍경" 도서출판 그린 2015

      18 브루스 핑크, "라캉의 주체" 도서출판b 2010

      19 토드 맥고완, "라캉과 영화이론" 도서출판 인간사랑 2008

      20 슬라보예 지젝, "라캉 정신분석의 핵심개념들" 2013

      21 홍준기, "라깡의 재탄생" 창작과 비평사 2002

      22 "광주 희생자들은 입 다물고 있는데... 도대체 누가 용서했단 말인가"

      23 이-푸 투안, "공간과 장소" 도서출판 대윤 2011

      24 황혜진, "고통에 대한 감수성의 윤리학 - 레비나스의 철학적 관점에서 본 <밀양>과 <시>를 중심으로" 영상미디어센터 (15) : 135-170, 2012

      25 류훈, "‘인간’을 바라보는 영화감독의 두 가지 시선-이창동, 임상수 영화를 중심으로 -" 한국콘텐츠학회 13 (13): 587-596, 2013

      26 김경애, "<밀양>의 영상언어, 내러티브, 주제의식의 상호작용" 문학과영상학회 9 (9): 531-555, 200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9-22 학회명변경 영문명 : Film Studies Association Of Korea (Fisak) -> Korean Cinema Association (KCA)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4-09 학술지등록 한글명 : 영화연구
      외국어명 : Film Studies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8 0.58 0.5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8 0.55 1.055 0.2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