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SCOPUS

      20세기 초 李王家 관련 金剛山圖 硏究 = A Study on Paintings of Mount Kumgang for the Yi Royal-Famil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76432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e early 20th century, images of Kumgang Mountains made their appearance in paintings and craft items for the royal-family of Yi, following Japan’s annexation of Joseon.
      This paper examines the Kumgang Mountains landscape mural painting in Huijeong Hall(熙政堂) of Changdeok Palace(昌德宮) by Kim Kyujin(金圭鎭, 1868-1933) and landscape paintings by Yi Doyoung(李道榮, 1884-1933), transposed onto the mother-of-pearl lacquer-ware furniture in the collection of the Dong-a University Museum.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eek for the significance of the Kumgang Mountains landscape theme for the historical context at that time and how this traditional landscape theme was rendered during this period of transition.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rule, the Kumgang Mountains held two opposite significances for Korean people. Upon the annexation of Joseon, the Japanese colonial administration actively promoted tourism in the Kumgang Mountains in a bid to show to the outside world that the country was now part of the empire of Japan. For Korean people, on the other hand, the Kumgang Mountains took on an increasing significance as a symbol of national spirit.
      In 1920, after one year from the March 1st Independence Movement of 1919, the Kumgang Mountains landscape paintings were placed on the wall of Huijeong Hall ofChangdeok Palace. The choice of the Kumgang Mountains landscape for a palace mural at a time cannot be a pure accident, especially when there was a renewed patriotic fervor among Korean people. Even though the decision was made by the colonial administration,the Yi royal-family had intention in this matter. The royal house must, therefore, have been aware of the symbolic importance of Kumgang Mountains for Korean people and how it could effectively embody Korea’s national spirit before the international community. It was, meanwhile, possible for this painting to become prominently displayed in Changdeok Palace, in part thanks to the so-called cultural policy adopted by the colonial administration in the wake of the March 1st Independence Movement; an event that spelled the end of the iron-fisted militaristic rule of Josen.
      This painting was created under the patronage of the royal house. Kim Kyujin personally traveled to the Kumgang Mountains and painted the landscape based on the sketches he made and photographs of Mount Kumgang from other sources. The resulting painting, modern and realistic, was quite distinct from other landscape works on this mountain from previous eras. In this paper I have explored the original stlye of Kim Kyujin on his mural paintings, by examining his travel essays and sketches appeared in the Maeil Shinbo(每日申報) and comparing them with photographs of the Kumgang Mountains published around this time.
      The two royal house furnishing items in the collection of the Dong-a University Museum, namely, the mother-of-pearl lacquer wardrobe and bed, are believed to have been made sometime in the late 1930s by an artisan Kim Jingap 金鎭甲(1900-1972). The Kumgang Mountain landscapes on the surface of these two pieces of furniture bear the signature of Yi Doyoung, which makes them valuable resources in studying his artistic style.
      The images of the Guryong Waterfall(九龍淵) and Samseon Rocks(三仙岩) on the wardrobe, in mother-of-pearl mosaic, are evocative of Yi Doyoung’s woodblock print works,in its abrupt lines and angles, as though created by a carving knife. Meanwhile, the images of the Manmulsang(萬物相) and the view of Pine tree Island(松島) in Haegeumgang Ip-seok(海金剛 立石), found on the bed frame, are in gently-curved lines and have meticulous details. This style is reminiscent of Japanese-style landscape paintings on the Kumgang Mountains that were presented in the Joseon Art Exhibition. These images are also similar to the KumgangMountains landscape motifs popularly seen in craft items displayed in the same Exhibition during the 1930s. The landscape ima...
      번역하기

      In the early 20th century, images of Kumgang Mountains made their appearance in paintings and craft items for the royal-family of Yi, following Japan’s annexation of Joseon. This paper examines the Kumgang Mountains landscape mural painting in Huije...

      In the early 20th century, images of Kumgang Mountains made their appearance in paintings and craft items for the royal-family of Yi, following Japan’s annexation of Joseon.
      This paper examines the Kumgang Mountains landscape mural painting in Huijeong Hall(熙政堂) of Changdeok Palace(昌德宮) by Kim Kyujin(金圭鎭, 1868-1933) and landscape paintings by Yi Doyoung(李道榮, 1884-1933), transposed onto the mother-of-pearl lacquer-ware furniture in the collection of the Dong-a University Museum.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eek for the significance of the Kumgang Mountains landscape theme for the historical context at that time and how this traditional landscape theme was rendered during this period of transition.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rule, the Kumgang Mountains held two opposite significances for Korean people. Upon the annexation of Joseon, the Japanese colonial administration actively promoted tourism in the Kumgang Mountains in a bid to show to the outside world that the country was now part of the empire of Japan. For Korean people, on the other hand, the Kumgang Mountains took on an increasing significance as a symbol of national spirit.
      In 1920, after one year from the March 1st Independence Movement of 1919, the Kumgang Mountains landscape paintings were placed on the wall of Huijeong Hall ofChangdeok Palace. The choice of the Kumgang Mountains landscape for a palace mural at a time cannot be a pure accident, especially when there was a renewed patriotic fervor among Korean people. Even though the decision was made by the colonial administration,the Yi royal-family had intention in this matter. The royal house must, therefore, have been aware of the symbolic importance of Kumgang Mountains for Korean people and how it could effectively embody Korea’s national spirit before the international community. It was, meanwhile, possible for this painting to become prominently displayed in Changdeok Palace, in part thanks to the so-called cultural policy adopted by the colonial administration in the wake of the March 1st Independence Movement; an event that spelled the end of the iron-fisted militaristic rule of Josen.
      This painting was created under the patronage of the royal house. Kim Kyujin personally traveled to the Kumgang Mountains and painted the landscape based on the sketches he made and photographs of Mount Kumgang from other sources. The resulting painting, modern and realistic, was quite distinct from other landscape works on this mountain from previous eras. In this paper I have explored the original stlye of Kim Kyujin on his mural paintings, by examining his travel essays and sketches appeared in the Maeil Shinbo(每日申報) and comparing them with photographs of the Kumgang Mountains published around this time.
      The two royal house furnishing items in the collection of the Dong-a University Museum, namely, the mother-of-pearl lacquer wardrobe and bed, are believed to have been made sometime in the late 1930s by an artisan Kim Jingap 金鎭甲(1900-1972). The Kumgang Mountain landscapes on the surface of these two pieces of furniture bear the signature of Yi Doyoung, which makes them valuable resources in studying his artistic style.
      The images of the Guryong Waterfall(九龍淵) and Samseon Rocks(三仙岩) on the wardrobe, in mother-of-pearl mosaic, are evocative of Yi Doyoung’s woodblock print works,in its abrupt lines and angles, as though created by a carving knife. Meanwhile, the images of the Manmulsang(萬物相) and the view of Pine tree Island(松島) in Haegeumgang Ip-seok(海金剛 立石), found on the bed frame, are in gently-curved lines and have meticulous details. This style is reminiscent of Japanese-style landscape paintings on the Kumgang Mountains that were presented in the Joseon Art Exhibition. These images are also similar to the KumgangMountains landscape motifs popularly seen in craft items displayed in the same Exhibition during the 1930s. The landscape ima...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金圭鎭(1868-1933)의 昌德宮 熙政堂 벽화와 동아대학교 박물관 소장 나전가구에 시문된李道榮(1884-1933)의 金剛山圖를 대상으로 20세기 초 왕실에서 금강산도를 수용하게 된 배경 및 왕실에 수용된 금강산도의 특징을 고찰한 것이다.
      일제강점기에 금강산은 두 가지 상반된 의미를 지니고 있었다. 조선을 합병한 일제는 적극적인 금강산관광정책을 통해 조선이 新帝國의 일부임을 전 세계에 인식시키고자 했다. 그러나 조선인들에게 금강산은민족혼의 상징이라는 사상이 대두되었다. 昌德宮 熙政堂에 금강산도가 부착된 1920년은 3·1 운동이 발발한바로 다음해로서 민족적 기운이 어느 때 보다 창궐한 때였다. 그러한 상황에서 궁중 벽화의 주제로 금강산도가 채택된 것은 단순한 일제의 의도 외에 금강산이 지녔던 민족적 상징성과 대외적 효과를 인식한 이왕가의 입장이 적극 반영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이는 3·1 운동 이후 무단 통치에서 문화 통치로 선회한 일제의 통치 전략은 물론 금강산 관광 정책을 적극 계획하고 있던 일제의 의도와 맞물리면서 일제의 특별한 간섭 없이진행되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20세기 초, 이왕가의 후원을 받은 김규진의 창덕궁 희정당 벽화는 직접적인 사생과 사진을 바탕으로근대적 사실성이 반영된 금강산도의 새로운 면모를 창출해냈다. 본고에서는 매일신보에 연재되었던 그의 기행문과 스케치들, 그리고 당시 간행된 금강산 사진과의 관계 속에서 작가가 이루어낸 독자적인 영역을 살펴보았다.
      왕실용으로 전해져온 동아대학교 박물관 소장 나전 의걸이장과 침대는 나전공 김진갑(1900-1972)이1930년대 후반경 제작한 것으로 추정된다. 이 가구에 시문된 금강산도에는 관재 이도영의 호가 명시되어 있어 회화사적으로도 매우 주목된다. 나전의걸이장에 시문된 <금강산 구룡연>과 <만물상 삼선암>은 이도영의 목판화에 보이는 각진 칼맛의 특징을 반영하고 있다. 나전침대에 시문된 <금강산 만물상>과 <해금강입석의 송도>는 반대로 부드러운 선과 세밀한 묘사를 특징으로 함으로써 조선미술전람회에 출품된 일본풍의 금강산 그림들 및 1930년대 선전 공예부에 유행했던 금강산도 문양들과 깊은 관련성을 지닌다.
      번역하기

      이 논문은 金圭鎭(1868-1933)의 昌德宮 熙政堂 벽화와 동아대학교 박물관 소장 나전가구에 시문된李道榮(1884-1933)의 金剛山圖를 대상으로 20세기 초 왕실에서 금강산도를 수용하게 된 배경 및 ...

      이 논문은 金圭鎭(1868-1933)의 昌德宮 熙政堂 벽화와 동아대학교 박물관 소장 나전가구에 시문된李道榮(1884-1933)의 金剛山圖를 대상으로 20세기 초 왕실에서 금강산도를 수용하게 된 배경 및 왕실에 수용된 금강산도의 특징을 고찰한 것이다.
      일제강점기에 금강산은 두 가지 상반된 의미를 지니고 있었다. 조선을 합병한 일제는 적극적인 금강산관광정책을 통해 조선이 新帝國의 일부임을 전 세계에 인식시키고자 했다. 그러나 조선인들에게 금강산은민족혼의 상징이라는 사상이 대두되었다. 昌德宮 熙政堂에 금강산도가 부착된 1920년은 3·1 운동이 발발한바로 다음해로서 민족적 기운이 어느 때 보다 창궐한 때였다. 그러한 상황에서 궁중 벽화의 주제로 금강산도가 채택된 것은 단순한 일제의 의도 외에 금강산이 지녔던 민족적 상징성과 대외적 효과를 인식한 이왕가의 입장이 적극 반영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이는 3·1 운동 이후 무단 통치에서 문화 통치로 선회한 일제의 통치 전략은 물론 금강산 관광 정책을 적극 계획하고 있던 일제의 의도와 맞물리면서 일제의 특별한 간섭 없이진행되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20세기 초, 이왕가의 후원을 받은 김규진의 창덕궁 희정당 벽화는 직접적인 사생과 사진을 바탕으로근대적 사실성이 반영된 금강산도의 새로운 면모를 창출해냈다. 본고에서는 매일신보에 연재되었던 그의 기행문과 스케치들, 그리고 당시 간행된 금강산 사진과의 관계 속에서 작가가 이루어낸 독자적인 영역을 살펴보았다.
      왕실용으로 전해져온 동아대학교 박물관 소장 나전 의걸이장과 침대는 나전공 김진갑(1900-1972)이1930년대 후반경 제작한 것으로 추정된다. 이 가구에 시문된 금강산도에는 관재 이도영의 호가 명시되어 있어 회화사적으로도 매우 주목된다. 나전의걸이장에 시문된 <금강산 구룡연>과 <만물상 삼선암>은 이도영의 목판화에 보이는 각진 칼맛의 특징을 반영하고 있다. 나전침대에 시문된 <금강산 만물상>과 <해금강입석의 송도>는 반대로 부드러운 선과 세밀한 묘사를 특징으로 함으로써 조선미술전람회에 출품된 일본풍의 금강산 그림들 및 1930년대 선전 공예부에 유행했던 금강산도 문양들과 깊은 관련성을 지닌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목수현, "해강 김규진의 금강산 그림과 사생정신, In 시대의 눈" 학고재 18-44, 2011

      2 최인진, "한국사진사" 눈빛 2000

      3 홍선표, "한국근대미술사" (주)월간미술 2009

      4 박태일, "한국 근대시와 금강산, In 한국근대시의 공간과 장소" 소명출판 241-269, 1999

      5 최공호, "한국 근대나전칠기 연구" 177 : 43-74, 1988

      6 서영채, "최남선과 이광수의 금강산 기행문에 대하여" 민족문학사학회 24 : 242-280, 2004

      7 金永基, "중국대륙예술기행" 예경산업사 1990

      8 이태호, "조선미술사기행 1" 다른세상 1999

      9 이윤상, "일제하 '조선왕실'의 지위와 이왕직의 기능" 규장각한국학연구원 (40) : 315-342, 2007

      10 유승훈, "일제시기 투어리즘(tourism)과 금강산 관광의 근대적 창출, In 사진엽서에서 만난 관광명소" 부산박물관 159-170, 2008

      1 목수현, "해강 김규진의 금강산 그림과 사생정신, In 시대의 눈" 학고재 18-44, 2011

      2 최인진, "한국사진사" 눈빛 2000

      3 홍선표, "한국근대미술사" (주)월간미술 2009

      4 박태일, "한국 근대시와 금강산, In 한국근대시의 공간과 장소" 소명출판 241-269, 1999

      5 최공호, "한국 근대나전칠기 연구" 177 : 43-74, 1988

      6 서영채, "최남선과 이광수의 금강산 기행문에 대하여" 민족문학사학회 24 : 242-280, 2004

      7 金永基, "중국대륙예술기행" 예경산업사 1990

      8 이태호, "조선미술사기행 1" 다른세상 1999

      9 이윤상, "일제하 '조선왕실'의 지위와 이왕직의 기능" 규장각한국학연구원 (40) : 315-342, 2007

      10 유승훈, "일제시기 투어리즘(tourism)과 금강산 관광의 근대적 창출, In 사진엽서에서 만난 관광명소" 부산박물관 159-170, 2008

      11 이태호, "일만이천봉에 서린 꿈-금강산의 문화와 예술 300년" 일민미술관 108-122, 1999

      12 최공호, "이왕직미술품제작소 연구" 34 : 97-116, 1989

      13 최석태, "이도영연보" 1 : 105-123, 1994

      14 최석태, "이도영 예술의 근대성-애국계몽의 미술, In 근대한국미술논총" 학고재 1992

      15 박정혜, "왕가 국가의 회화" 돌베개 2011

      16 "아름다운金剛山"

      17 "석우 박민일박사 기증문화재 특별전"

      18 최인진, "서화가 해강 김규진의 사진활동 연구-천연당사진관을 중심으로, In 이구열선생 한국근대미술연구소 30주년 기념논총" 413-459, 2005

      19 박영숙, "서양인이 본 금강산" 문화일보 1998

      20 김한태, "비운의 금강산 전기철도" 33 : 56-63, 1996

      21 "목가구꾸밈전"

      22 최공호, "동아대학교박물관 소장 나전칠기와 장석"

      23 홍선표, "동아대학교박물관 소장 근대나전가구의 회화"

      24 신채호, "단재 신채호 7"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 연구소 2008

      25 최공호, "나전장 김진갑" 80-83, 1990

      26 서기재, "기이한 세계로의 초대 -근대 <여행안내서>를 통하여 본 금강산" 한국일본어문학회 (40) : 227-252, 2009

      27 홍선표, "금강산도의 실상과 흐름" 57-64, 1989

      28 유홍준, "금강산" 학고재 1998

      29 유승훈, "근대 자료를 통해본 금강산 관광과 이미지" 실천민속학회 14 : 339-368, 2009

      30 기혜경, "근대 금강산도 연구" 14 : 150-171, 2003

      31 "그리운 금강산"

      32 "궁궐의 장식그림"

      33 박윤희, "궁궐 전각의 장식그림: 창호그림과 부벽화, 궁궐의 장식그림"

      34 한국학술정보(주), "국역 면암 최익현 문집1" 한국학술정보(주) 2006

      35 "韓國近代繪 選集 In 한국화2" 금성출판사 1990

      36 安承德, "韓國 現代 紀行隨筆 硏究" 32 : 1-177, 1995

      37 金永基, "金海岡遺墨" 友一出版社 1998

      38 홍선표, "金剛山圖의 발생과 발전, In 朝鮮時代繪 史論" 문예출판사 467-482, 1999

      39 朴銀順, "金剛山圖 연구" 일지사 1997

      40 최남선, "金剛 讚" 漢城圖書株式會社 1928

      41 李龜烈, "近代韓國美術과 昌德宮 李王家" 34-41, 1977

      42 李鍾愛, "近代韓國工藝의 社會的 樣相 硏究" 숙명여자대학교 1990

      43 玄英二, "貫齋 李道榮의 생애와 인쇄미술" 이화여자대학교 2004

      44 德田富次郞, "萬二千峰金剛山大觀" 德田商 1941

      45 朝鮮總督府鐵道局, "萬二千峰金剛山大觀"

      46 권경숙, "海岡의 金剛遊覽歌 硏究" 동아대학교 2002

      47 徐載援, "海岡 金圭鎭(1868-1933)의 繪 硏究" 고려대학교 2008

      48 李光洙, "李光洙全集 18" 三中堂 1964

      49 宋宰鏞, "朝鮮金剛山寫眞帖 解題" 30 : 247-248, 2000

      50 德田富次郞, "朝鮮金剛山寫眞帖" 德田寫眞館 1913

      51 德田富次郞, "朝鮮金剛山大觀" 德田寫眞館 1935

      52 홍선표, "朝鮮時代繪 史論" 문예출판사 1999

      53 許英桓, "昌德宮所藏繪畵" 27 : 34-40, 1980

      54 鄭鎭國, "日帝 朝鮮總督府의 금강산 탐사 사진, In 유리원판사진 아름다운 금강산" 국립중앙박물관 228-235, 1999

      55 鄭熙靜, "大韓民報의 만화에 대한 연구" 홍익대학교 2000

      56 "夢遊金剛"

      57 金容稷, "國民文學派 評價問題-1920年代 後半期의 韓國文學史에 관한 硏究" 1 : 1-30, 1976

      58 "名品100選"

      59 한관수, "世界의 名勝 金剛山" 호영 1998

      60 이성혜, "20세기 초, 한국 서화가의 존재 방식과 양상 - 해강 김규진의 서화 활동을 중심으로" 동양한문학회 28 (28): 225-286, 2009

      61 이태호, "20세기 금강산도 - 현장에서 그린 사생화와 기억으로 담은 추상화, In 그리운 금강산"

      62 정한기, "19세기 금강산 기행가사에 나타난 寫景의 문학교육적 의의"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14) : 63-88, 2007

      63 염은열, "19세기 금강산 가사의 특징과 문화적 의미" 14 : 55-86, 1998

      64 김선정, "1920년 창덕궁 희정당 벽화-식민지배와 근대성의 표상으로서의 금강산도" (8) : 131-161, 2009

      65 조은정, "1920년 창덕궁 벽화 조성에 대한 연구" 미술사학연구회 (33) : 179-212, 200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2018-01-01 평가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0-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2 1.02 1.2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2 1.04 1.591 0.1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