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목수현, "해강 김규진의 금강산 그림과 사생정신, In 시대의 눈" 학고재 18-44, 2011
2 최인진, "한국사진사" 눈빛 2000
3 홍선표, "한국근대미술사" (주)월간미술 2009
4 박태일, "한국 근대시와 금강산, In 한국근대시의 공간과 장소" 소명출판 241-269, 1999
5 최공호, "한국 근대나전칠기 연구" 177 : 43-74, 1988
6 서영채, "최남선과 이광수의 금강산 기행문에 대하여" 민족문학사학회 24 : 242-280, 2004
7 金永基, "중국대륙예술기행" 예경산업사 1990
8 이태호, "조선미술사기행 1" 다른세상 1999
9 이윤상, "일제하 '조선왕실'의 지위와 이왕직의 기능" 규장각한국학연구원 (40) : 315-342, 2007
10 유승훈, "일제시기 투어리즘(tourism)과 금강산 관광의 근대적 창출, In 사진엽서에서 만난 관광명소" 부산박물관 159-170, 2008
1 목수현, "해강 김규진의 금강산 그림과 사생정신, In 시대의 눈" 학고재 18-44, 2011
2 최인진, "한국사진사" 눈빛 2000
3 홍선표, "한국근대미술사" (주)월간미술 2009
4 박태일, "한국 근대시와 금강산, In 한국근대시의 공간과 장소" 소명출판 241-269, 1999
5 최공호, "한국 근대나전칠기 연구" 177 : 43-74, 1988
6 서영채, "최남선과 이광수의 금강산 기행문에 대하여" 민족문학사학회 24 : 242-280, 2004
7 金永基, "중국대륙예술기행" 예경산업사 1990
8 이태호, "조선미술사기행 1" 다른세상 1999
9 이윤상, "일제하 '조선왕실'의 지위와 이왕직의 기능" 규장각한국학연구원 (40) : 315-342, 2007
10 유승훈, "일제시기 투어리즘(tourism)과 금강산 관광의 근대적 창출, In 사진엽서에서 만난 관광명소" 부산박물관 159-170, 2008
11 이태호, "일만이천봉에 서린 꿈-금강산의 문화와 예술 300년" 일민미술관 108-122, 1999
12 최공호, "이왕직미술품제작소 연구" 34 : 97-116, 1989
13 최석태, "이도영연보" 1 : 105-123, 1994
14 최석태, "이도영 예술의 근대성-애국계몽의 미술, In 근대한국미술논총" 학고재 1992
15 박정혜, "왕가 국가의 회화" 돌베개 2011
16 "아름다운金剛山"
17 "석우 박민일박사 기증문화재 특별전"
18 최인진, "서화가 해강 김규진의 사진활동 연구-천연당사진관을 중심으로, In 이구열선생 한국근대미술연구소 30주년 기념논총" 413-459, 2005
19 박영숙, "서양인이 본 금강산" 문화일보 1998
20 김한태, "비운의 금강산 전기철도" 33 : 56-63, 1996
21 "목가구꾸밈전"
22 최공호, "동아대학교박물관 소장 나전칠기와 장석"
23 홍선표, "동아대학교박물관 소장 근대나전가구의 회화"
24 신채호, "단재 신채호 7"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 연구소 2008
25 최공호, "나전장 김진갑" 80-83, 1990
26 서기재, "기이한 세계로의 초대 -근대 <여행안내서>를 통하여 본 금강산" 한국일본어문학회 (40) : 227-252, 2009
27 홍선표, "금강산도의 실상과 흐름" 57-64, 1989
28 유홍준, "금강산" 학고재 1998
29 유승훈, "근대 자료를 통해본 금강산 관광과 이미지" 실천민속학회 14 : 339-368, 2009
30 기혜경, "근대 금강산도 연구" 14 : 150-171, 2003
31 "그리운 금강산"
32 "궁궐의 장식그림"
33 박윤희, "궁궐 전각의 장식그림: 창호그림과 부벽화, 궁궐의 장식그림"
34 한국학술정보(주), "국역 면암 최익현 문집1" 한국학술정보(주) 2006
35 "韓國近代繪 選集 In 한국화2" 금성출판사 1990
36 安承德, "韓國 現代 紀行隨筆 硏究" 32 : 1-177, 1995
37 金永基, "金海岡遺墨" 友一出版社 1998
38 홍선표, "金剛山圖의 발생과 발전, In 朝鮮時代繪 史論" 문예출판사 467-482, 1999
39 朴銀順, "金剛山圖 연구" 일지사 1997
40 최남선, "金剛 讚" 漢城圖書株式會社 1928
41 李龜烈, "近代韓國美術과 昌德宮 李王家" 34-41, 1977
42 李鍾愛, "近代韓國工藝의 社會的 樣相 硏究" 숙명여자대학교 1990
43 玄英二, "貫齋 李道榮의 생애와 인쇄미술" 이화여자대학교 2004
44 德田富次郞, "萬二千峰金剛山大觀" 德田商 1941
45 朝鮮總督府鐵道局, "萬二千峰金剛山大觀"
46 권경숙, "海岡의 金剛遊覽歌 硏究" 동아대학교 2002
47 徐載援, "海岡 金圭鎭(1868-1933)의 繪 硏究" 고려대학교 2008
48 李光洙, "李光洙全集 18" 三中堂 1964
49 宋宰鏞, "朝鮮金剛山寫眞帖 解題" 30 : 247-248, 2000
50 德田富次郞, "朝鮮金剛山寫眞帖" 德田寫眞館 1913
51 德田富次郞, "朝鮮金剛山大觀" 德田寫眞館 1935
52 홍선표, "朝鮮時代繪 史論" 문예출판사 1999
53 許英桓, "昌德宮所藏繪畵" 27 : 34-40, 1980
54 鄭鎭國, "日帝 朝鮮總督府의 금강산 탐사 사진, In 유리원판사진 아름다운 금강산" 국립중앙박물관 228-235, 1999
55 鄭熙靜, "大韓民報의 만화에 대한 연구" 홍익대학교 2000
56 "夢遊金剛"
57 金容稷, "國民文學派 評價問題-1920年代 後半期의 韓國文學史에 관한 硏究" 1 : 1-30, 1976
58 "名品100選"
59 한관수, "世界의 名勝 金剛山" 호영 1998
60 이성혜, "20세기 초, 한국 서화가의 존재 방식과 양상 - 해강 김규진의 서화 활동을 중심으로" 동양한문학회 28 (28): 225-286, 2009
61 이태호, "20세기 금강산도 - 현장에서 그린 사생화와 기억으로 담은 추상화, In 그리운 금강산"
62 정한기, "19세기 금강산 기행가사에 나타난 寫景의 문학교육적 의의"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14) : 63-88, 2007
63 염은열, "19세기 금강산 가사의 특징과 문화적 의미" 14 : 55-86, 1998
64 김선정, "1920년 창덕궁 희정당 벽화-식민지배와 근대성의 표상으로서의 금강산도" (8) : 131-161, 2009
65 조은정, "1920년 창덕궁 벽화 조성에 대한 연구" 미술사학연구회 (33) : 179-212, 2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