십 여 년 전 한 학부모의 제보로 내면에 〈홍무21년무진사월일조홍산지만수산무량사(洪武 二十一年 戊辰四月 日 造 鴻山地萬壽山無量寺)〉라는 조성기 명문이 있는 가구를 보았다. 홍무 21...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3764329
김삼대자 (전 국립민속박물관)
-
2011
Korean
고려장(Cupboard of the Goryeo period) ; 이중문얼굴(Face plate with double framework) ; 쌍사면과 모기둥(Pillar face and edge with symmetrical moulding) ; 풍혈(Corner spandrel) ; 천판두루마리(Everted flange) ; 내다지장부(Mortise and tenon with penetrate joint) ; 삼천사지 가구편(Furniture components excavated in the Samcheonsa temple site)
KCI등재,SCOPUS
학술저널
45-75(31쪽)
2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십 여 년 전 한 학부모의 제보로 내면에 〈홍무21년무진사월일조홍산지만수산무량사(洪武 二十一年 戊辰四月 日 造 鴻山地萬壽山無量寺)〉라는 조성기 명문이 있는 가구를 보았다. 홍무 21...
십 여 년 전 한 학부모의 제보로 내면에 〈홍무21년무진사월일조홍산지만수산무량사(洪武 二十一年 戊辰四月 日 造 鴻山地萬壽山無量寺)〉라는 조성기 명문이 있는 가구를 보았다. 홍무 21년은 고려시대인 1388년을 가르키며 가구의 양식이 고려 건축의 양식과 유사하여 한눈에 고려시대에 제작된 것임을 알 수 있었다.
조선 전기 이전의 가구에 대한 학계의 공인된 유물이나 자료가 없어 〈홍무이십일년무진사월〉 명 가구는조선시대의 가구에 선행하는 양식으로 가구의 편년이나 가구양식 연구에 중요한 자료로 여겨지지만, 아직까지 학계에 공식 보고되지는 못하였고 또 진위에 대한 논란이 있어 왔다.
나무를 다루는 장인을 통틀어 목수라고 부르는데 목수에는 대목(大木)과 소목(小木)이 있다. 대목과소목의 분류는 중국 송나라의 이계(李誡:明仲)가 1103년에 편찬한 『영조법식(營造法式)』에서 처음 보여진다. 우리나라에서도 고려시대에 소목장이라는 명칭이 『고려사(高麗史)』에 기록되어져 『영조법식(營造法式)』의 분류에 따라 대목장과 소목장의 분류가 이루어 졌음을 알 수 있다. 대목과 소목은 건물을 지을때 함께작업을 하므로 그 양식과 기법상 상호 긴밀한 영향을 주고 받았다. 이에 고려시대의 건축물인 안동 봉정사극락전 및 그 내부에 설치된 닫집, 부석사 무량수전의 후문과 우리나라의 장이라고 알려진 일본 쇼쇼인(正倉院)소장의 〈적칠문관목주자(赤漆文木廚子)〉, 경기도 고양시 북한산의 삼천사지(三川寺址) 출토 금동투각 목가구부재, 철제돌쩌귀, 경첩, 고리, 시우쇠못 등과 〈홍무이십일년무진사월〉 명 장과의 양식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고려의 건축양식과 가구에서 볼 수 있는 이중 문얼굴과 좌우비대칭의 널 사용, 쌍사면과 쌍사모 기둥, 삼각형으로 직절한 풍혈, 철제돌쩌귀, 경첩, 고리, 시우쇠못의 사용 등 고려의 양식적 특징과 동일한 양식을 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 이 가구의 제작연대를 알기 위해 실측을 하여 각 부분을 역대척도와 비교 분석한 결과 1956년 중국 산동 양산에서 발굴한 명 홍무 년간의 침몰선에서 출토된 31.8cm의 영조척〔骨尺〕이 정수나 절반의 척수혹은 짝수의 촌수로 정확히 환산되어 이 가구가 홍무 년간에 제작된 명의 영조척을 사용해서 제작하였다고 판단되었다. 명문의 서체에 있어서 ‘器’를 ‘(+尤/器)’로, ‘量’을 ‘旧+一+里’ 등으로 서사하는 예는 고려시대부터 조선시대 전반에 걸쳐 사용되었지만 근·현대에서는 사용되지 않는 이체자들이다. 이들 이체자를통하여 <홍무이십일년무진사월> 명 가구의 기록은 근현대에 서사되지 않고 홍무이십일년(1388) 당시에 서사된 명문임을 추찰할 수 있었다.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홍무이십일년무진사월> 명 가구는 고려 건축양식과 가구에서 볼 수 있는 양식을 보이고 있으며 명나라 홍무 년간의 영조척 사용, 명문의 서체가 근·현대에서 사용하지 않은 점 등으로 보아 명문의 내용과 같이 고려시대에 제작된 것임에 의심의 여지가 없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bout ten years ago, I was informed by a student’parents of the existence of a piece of old furniture inside which there is a dated inscription that reads‘the Fourth Month of the Wuchen Year (the 21st Year of the Hongwu Reign).’ The term Hongwu ...
About ten years ago, I was informed by a student’parents of the existence of a piece of old furniture inside which there is a dated inscription that reads‘the Fourth Month of the Wuchen Year (the 21st Year of the Hongwu Reign).’ The term Hongwu is an era name used during the Goryeo Dynasty, and the 21st year of the Hongwu reign corresponds to 1388.
It was quite obvious to the naked eye that this furniture, in a style characteristic of Goryeo, was made during the Goryeo period.
There is no surviving furnishing item confirmed to date from prior to the early Joseon period. Therefore, this chest with the dated inscription“the fourth month of the wuchen year (the 21st year of the Hongwu reign)”is considered invaluable for the window it may offer onto the style of pre-Joseon Korean furniture. However, its existence has not yet been made known in academia through official channels, and its authenticity is still in dispute.
Artisans working with wood, or carpenters, are of two types according to the traditional distinction used in Korea: Daemok and Somok (cabinetmakers). The categories of Daemok and Somok first appeared in Yingtsao fashih (營造法式) compiled in 1103 by Li Jie (李誡), aChinese man of the Song Dynasty.
In Korea, the term“Somokjang”is encountered in Goryeosa (History of the Goryeo Dynasty), indicating that Koreans also distinguished carpentry into two types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used in Yingtsao fashih (營造法式) Daemok and Somok worked together for construction of buildings, and the techniques used by the two types of carpenters were closely related and mutually influenced each other.
In this paper, I compare the chest with the dated inscription“the fourth month of the wuchen year(the 21st year of the Hongwu reign)”with woodworks in two Goryeo-period buildings, including the Geungnakjeon Hall of Bongjeongsa Temple, a Goryeo temple located in Andong, and the canopy set up inside this hall; the rear door of the Muryangsujeon Hall of Buseoksa Temple; the red-painted wooden Buddha niche in Japan’s Shoshoin, believed to have been made in Korea; as well as gilt-bronze openwork wood furniture accessories, iron hinges, loops and wrought iron-nails, discovered at the former site of Samcheonsa Temple (Bukhansan Mountain, Goyang, Gyeonggi-do). The results of comparison confirm that this piece of furniture was made indeed in an identical style to Goryeo wood buildings and wood structural items, using the same double framework, asymmetric panels and sides and edges of columns with symmetric moldings, decorative corner spandrels, iron hinges, loops and wrought iron-nails; all typical details of wooden constructions from this period.
Meanwhile, to determine its exact date of creation, the chest was measured, and the measurements of each section were compared with historical measuring tools.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measuring tool used for this chest was the Yeongjo yardstick (營造尺),31.8cm in length, an exemplar of which was found in a sunken ship discovered in 1956, off Liangshan in Shandong, China, believed to date from the Hongwu era; all measurements could be exactly converted into a whole unit of this yardstick or half of a unit or multiples of a unit. As for some of the characters used in the inscription, including‘+尤’fo‘r gi(器) and‘+一+里’fo‘r lyang(量)’, these are variants used between the Goryeo period and early Joseon, which were no longer used in subsequent eras; hence, confirming that the inscription also date from when this chest was made in 1388.
Based on the evidence in terms of style, construction techniques, and structural pieces, as well as the use of the Yeongjo yardstick (營造尺) and the calligraphic style of theinscription, there is little doubt that the furniture with the dated inscription“the fourth month of the wuchen year (the 21st year of the Hongwu reign)”was made in Goryeo.
참고문헌 (Reference)
1 김동현, "한국목조건축의 기법" 발언 1995
2 윤장섭, "한국건축연구" 동명사 2007
3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 "태안 마도 수중발굴조사 보고서" 2010
4 "저자미상, 『才物譜』, 헌종 년간"
5 국립고궁박물관, "일본 정창원 유물의 보존" 예맥 2010
6 배희한, "이제 이 조선톱에도 녹이 슬었네" 뿌리 깊은 나무 1981
7 서울역사박물관, "삼천사지" (주)씨티파트너 2008
8 국립문화재연구소, "봉정사 극락전 수리공사보고서" 1994
9 배병선, "목조건축개론, In 문화재수리기술강좌 교재" 한국문화재보호재단 2010
10 徐兢, "국역 高麗圖經" 재단법인민족문화추진회 1977
1 김동현, "한국목조건축의 기법" 발언 1995
2 윤장섭, "한국건축연구" 동명사 2007
3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 "태안 마도 수중발굴조사 보고서" 2010
4 "저자미상, 『才物譜』, 헌종 년간"
5 국립고궁박물관, "일본 정창원 유물의 보존" 예맥 2010
6 배희한, "이제 이 조선톱에도 녹이 슬었네" 뿌리 깊은 나무 1981
7 서울역사박물관, "삼천사지" (주)씨티파트너 2008
8 국립문화재연구소, "봉정사 극락전 수리공사보고서" 1994
9 배병선, "목조건축개론, In 문화재수리기술강좌 교재" 한국문화재보호재단 2010
10 徐兢, "국역 高麗圖經" 재단법인민족문화추진회 1977
11 당인커, "고대발명" 대가 2008
12 文化財管理局 文化財硏究所, "鳳停寺 極樂殿"
13 북한, "高麗史" 신서원 1991
14 국립문화재연구소, "韓國의 古建築 22호"
15 司譯院, "譯語類解, 숙종 8년(1682)" 亞細亞文化社 1974
16 李誡, "營造法式(影印本)" 中國建築工業出版社 2006
17 正倉院事務所, "正倉院の木工" 1978
18 崔在錫, "正倉院 소장품과 統一新羅" 一志社 1996
19 徐有, "林園經濟志" 서울대학교고전간행회 1966
20 郭黛姮, "東來第一山保國寺" 文物出版社 2003
21 "朝鮮王朝實錄, CD"
22 李圭景, "五洲衍文長箋散稿 下" 古典刊行會
23 河南省計量局, "中國古代度量衡論文集" 中州古籍出版社 1990
24 金富軾, "三國史記"
25 文化財廳, "『부석사무량수전』 실측조사보고서(본문, 도면)" 2002
正祖代 御眞과 신하초상의 제작 -초상화를 통한 군신관계의 고찰-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3 | 평가예정 |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 |
2018-01-01 | 평가 |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4-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00-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02 | 1.02 | 1.27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12 | 1.04 | 1.591 | 0.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