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華嚴經問答』의 敎判思想 = The Classification of the Five Teaching of the Hwaeomgyeong-Mundap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Classification of the Five Subdivided Teachings in the Huayan appears in the Hwaeomgyeong-Mundap, presumably a transcript of Uisang' lecture. It's overall sketch was at first presented in the course of explaining the Five Essentials of Teaching in...

      The Classification of the Five Subdivided Teachings in the Huayan appears in the Hwaeomgyeong-Mundap, presumably a transcript of Uisang' lecture. It's overall sketch was at first presented in the course of explaining the Five Essentials of Teaching in the SuXuan-Ji earlier written by Zhiyan. The case of using the subdivided five teachings is rarely found in the other texts than Zhiyan's Kongmu-zhang where Zhiyan introduces the those to explain the tathatā. I make a comparative study on the five teachings in Mundap and Kongmu-zhang. The details of the subdivided five teachings are elaborated in the Gradual teaching.
      The division of the Beginning and the Ending seems to be the influences of the new translation of the Scriptures and related Canons, especially in terms of the understanding of tathatā. The essence of the teaching of the Beginning is the sūnyatā but includes the consciousness-only theory of the Dharmalakṣaṇa in the Beginning. It doesn't fall within the Final because of not relying on the tathatāgatha and dosen't go into the Ending of the Elementary teaching because of revealing sūnyatā
      The Beginning and the Ending of the Final teaching, and of the Sudden teaching, adopts the explanation of three steps of the Speaking of Huiyuan about the Non-dual Dharma in the Vimalakīrti Sutra. The Final teaching and the Sudden teaching are respectively divided into the Verbal and Non-verbal teaching, and Speakable and Non-speakable teaching, in which the Sudden teaching takes place in the ultimate teaching of the Final teachings. This seems corresponding to the Sudden teaching of the Five teachings of Uisang. Only in the Mundap, the Sudden teaching is closer to the Final teaching of the Three Vehicles rather than that of the Perfect teaching of the One Vehicle.
      It seems that the types of the Beginning and the Ending in the Final teaching was developed in relation to the division of the true consciousness and altered false consciousness. They share the meaning of non-sūnyatā because both arise on the strength of tathāgatagarbha including the Old school of Consciousness-only in China. Only they individually divide the Beginning and the Ending of the Final teaching due to the difference of the method of development.
      Finally it seem that it is impossible to divide each other throughout the Essential of Teaching from the Final Teaching to the Perfect Teaching. Therefore the viewpoint of dividing between of the Final Teaching and the Sudden Teachings discover from the view of the Verb on the Principle without differentiation and the classification between the Three Vehicle and the One Vehicle is due to whether getting the standpoint of One Vehicle or not.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의상의 강의록으로 추정되고 있는 『화엄경문답』에는 좀 더 세분화된 5교판이 사용되고 있다. 그것은 지엄의 초기 저작인 『수현기』에서 언급된 5종 교체를 5교판으로 설명한 것이다. 이...

      의상의 강의록으로 추정되고 있는 『화엄경문답』에는 좀 더 세분화된 5교판이 사용되고 있다. 그것은 지엄의 초기 저작인 『수현기』에서 언급된 5종 교체를 5교판으로 설명한 것이다. 이런 유형은 적용한 사례를 찾아보기가 쉽지 않다. 다만 이미 지엄의 『공목장』에 이를 진여의 대한 설명에 적용한 사례가 있어 이를 비교 검토하였다. 5교판의 세분화된 모습은 점교문에서만 나타나고 있다.
      초교문에서 시문과 종문을 나눈 계기는 신역 경론의 진여에 대한 이해에서 비롯된 것으로 초교는 본래 空義를 본질로 하는데 시문에 법상유식의 내용을 소속시키고 있다. 그 의지가 眞識이 아닌 妄識이기 때문에 종교에 속하지 못한 것이며, 그 밝힌 진여가 공의에 미치지 못하기 때문에 초교 중에서도 시문에 속한 것이다.
      종교문에서 시문과 종문은 돈교문과 함께 봐야 하는데, 그것이 『유마경』의 不二法門에 대한 혜원의 說에 대한 3단계의 설명에 기인하기 때문이다. 이로써 종교문과 돈교문은 言(가설)과 黙(불가설)으로 구분되고 돈교의 교체도 명확해졌으며, 돈교의 위치도 삼승의 궁극의 지위를 차지하게 되었다. 의상은 돈교를 5교판의 돈교로 보았는데, 『문답』도 이를 따르고 있다고 보며, 다만 돈교를 일승원교보다 삼승의 종교에 더 밀접하게 파악한 것으로 판단된다. 종교문 내에서 시문과 종문의 구분은 구유식내에 진식(리야유식)과 망식(의식유식)의 전개방식에서 기인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비록 종교의 시문에 속한 망식은 여래장진식을 의지로 하기 때문에 초교의 시문에 속하는 신유식의 망식(아뢰야식)과는 구분된다. 마지막으로 종교부터 원교까지 표면상 그 교체를 공유하므로 교체만으로는 서로 구분할 수 없게 되었다. 이에 종교와 돈교는 둘 다 무분별의 理의 입장에서 가설과 불가설의 여부에 따라 구분하게 되었고, 삼승(종교‧돈교)과 일승(원교)과의 구분은 일승에 대한 안목을 갖추었는지 여부로 판단해야 할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織田顯祐, "초기화엄사상사" 불교시대사 2007

      2 전해주, "의상화엄사상사연구" 민족사 1992

      3 박태원, "의상의 화엄사상" 울산대학교 출판부 2005

      4 최연식, "의상연구의 현황과 과제" 19 : 2002

      5 김상현, "신라의 사상과 문화" 一志社 1999

      6 "華嚴經問答"

      7 "華嚴經內章門等雜孔目章"

      8 吉津宜英, "華嚴禪の思想史的硏究" 大東出版社 1985

      9 坂本幸男, "華嚴敎學の硏究" 平樂寺書店 1956

      10 石井公成, "華嚴思想の硏究" 春秋社 1996

      1 織田顯祐, "초기화엄사상사" 불교시대사 2007

      2 전해주, "의상화엄사상사연구" 민족사 1992

      3 박태원, "의상의 화엄사상" 울산대학교 출판부 2005

      4 최연식, "의상연구의 현황과 과제" 19 : 2002

      5 김상현, "신라의 사상과 문화" 一志社 1999

      6 "華嚴經問答"

      7 "華嚴經內章門等雜孔目章"

      8 吉津宜英, "華嚴禪の思想史的硏究" 大東出版社 1985

      9 坂本幸男, "華嚴敎學の硏究" 平樂寺書店 1956

      10 石井公成, "華嚴思想の硏究" 春秋社 1996

      11 "華嚴一乘法界圖"

      12 "華嚴一乘教義分齊章"

      13 吉津宜英, "華嚴一乘思想の硏究" 大東出版社 1991

      14 吉津宜英, "旧来成仏について-性起思想硏究の一視点" 32 (32): 1983

      15 佐藤厚, "新羅高麗華嚴敎學の硏究-均如一乘法界圖圓通記を中心として" 東洋大學 1997

      16 "大方廣佛華嚴經搜玄分齊通智方軌"

      17 "大乘義章"

      18 大竹晋, "唯識說を中心とした初期華嚴敎學の硏究ー智儼‧義湘から法藏へ" 大藏出版 2007

      19 木村淸孝, "初期中國華嚴思想の硏究" 春秋社 1977

      20 박태원, "『화엄경문답』과 의상의 일승・삼승론" 86 : 1997

      21 김상현, "『錐洞記』와 그 이본 『화엄경문답』" 84 : 199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4-29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韓國禪學(한국선학) -> 禪學(선학) KCI등재
      2016-02-04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n Seon Studies -> The Korean Society for Seon Studies KCI등재
      2016-02-03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Korean Seon Studies -> Journal of Seon Studies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8 0.68 0.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9 0.56 1.142 0.1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