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보육교사의 일-삶의 균형과 교사효능감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681057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일-삶의 균형과 교사효능감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서울·경기·인천 수도권 지역의 어린이집에 재직 중인 보육교사 337명이었다.
      보육교사의 일-삶의 균형을 측정하기 위해 김정운과 박정열(2008)이 고안한 직장인 대상 일-삶의 균형 척도를 최복길(2018)이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수정·보완한 측정 도구를 사용하였고,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을 측정하기 위해 Enochs와 Riggs(1990)가 고안한 교사의 과학교수효능감 측정도구(Science Teaching Efficacy Belief Instrument: STEBI)를 신혜영(2004)이 번안하고 수정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직무만족도를 측정하기 위해 Bloom(2010)이 고안한 측정도구(Early Childhood Job Satisfaction Survey: ECJSS)를 강형옥과 김명순(2016)이 번안하고 수정한 측정도구를 사용하였다.
      보육교사 대상 조사는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해 이루어졌으며, 수집된 자료는 분석을 위해 SPSS 29.0 프로그램을 통해 기술통계 및 독립표본 t검증, 일원분산분석, 상관분석을 실시하여 변인들 간의 관계를 살펴보았고, 일-삶의 균형과 교사효능감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확인하기 위하여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여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교사가 인지한 일-삶의 균형의 경우 보통보다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고, 직무만족도와 교사효능감은 보통보다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직무만족도의 하위요인별로 살펴보면 동료 간 협력을 가장 높게 평가하였고, 상급자 관계, 업무, 근무환경, 보수 및 보상기회 순으로 나타났다. 보육교사의 일반적 특성에 따라 살펴본 결과 최종학력, 경력, 근무시간에서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났다.
      둘째, 보육교사의 일-삶의 균형의 하위요인인 일-여가 균형, 일-성장 균형, 일-가정 균형, 일-삶의 전반적 평가 그리고 교사효능감의 하위요인인 개인효능감은 직무만족도 모두와 정적 상관관계를 가지고, 일반효능감은 직무만족도의 하위요인인 동료 간 협력을 제외하고 정적 상관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삶의 균형 하위요인 전체와 교사효능감의 하위요인인 개인효능감은 정적 상관관계로 나타났다.
      셋째, 보육교사의 일-삶의 전반적 평가와 교사효능감이 높을수록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보육교사의 일-삶의 균형을 이룰 수 있도록 사회적 제도 마련과 교사효능감 증진을 위한 다각적 노력이 필요하다.
      결론적으로 보육교사의 일-삶의 균형과 교사효능감은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직장 내 일-삶의 균형을 이룰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고, 교사가 긍정적인 교사효능감을 가질 수 있도록 인적, 물리적으로 지원, 지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일-삶의 균형과 교사효능감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서울·경기·인천 수도권 지역의 어린이집에 재직 중인 보육교사 337명이었...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일-삶의 균형과 교사효능감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서울·경기·인천 수도권 지역의 어린이집에 재직 중인 보육교사 337명이었다.
      보육교사의 일-삶의 균형을 측정하기 위해 김정운과 박정열(2008)이 고안한 직장인 대상 일-삶의 균형 척도를 최복길(2018)이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수정·보완한 측정 도구를 사용하였고,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을 측정하기 위해 Enochs와 Riggs(1990)가 고안한 교사의 과학교수효능감 측정도구(Science Teaching Efficacy Belief Instrument: STEBI)를 신혜영(2004)이 번안하고 수정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직무만족도를 측정하기 위해 Bloom(2010)이 고안한 측정도구(Early Childhood Job Satisfaction Survey: ECJSS)를 강형옥과 김명순(2016)이 번안하고 수정한 측정도구를 사용하였다.
      보육교사 대상 조사는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해 이루어졌으며, 수집된 자료는 분석을 위해 SPSS 29.0 프로그램을 통해 기술통계 및 독립표본 t검증, 일원분산분석, 상관분석을 실시하여 변인들 간의 관계를 살펴보았고, 일-삶의 균형과 교사효능감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확인하기 위하여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여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교사가 인지한 일-삶의 균형의 경우 보통보다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고, 직무만족도와 교사효능감은 보통보다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직무만족도의 하위요인별로 살펴보면 동료 간 협력을 가장 높게 평가하였고, 상급자 관계, 업무, 근무환경, 보수 및 보상기회 순으로 나타났다. 보육교사의 일반적 특성에 따라 살펴본 결과 최종학력, 경력, 근무시간에서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났다.
      둘째, 보육교사의 일-삶의 균형의 하위요인인 일-여가 균형, 일-성장 균형, 일-가정 균형, 일-삶의 전반적 평가 그리고 교사효능감의 하위요인인 개인효능감은 직무만족도 모두와 정적 상관관계를 가지고, 일반효능감은 직무만족도의 하위요인인 동료 간 협력을 제외하고 정적 상관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삶의 균형 하위요인 전체와 교사효능감의 하위요인인 개인효능감은 정적 상관관계로 나타났다.
      셋째, 보육교사의 일-삶의 전반적 평가와 교사효능감이 높을수록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보육교사의 일-삶의 균형을 이룰 수 있도록 사회적 제도 마련과 교사효능감 증진을 위한 다각적 노력이 필요하다.
      결론적으로 보육교사의 일-삶의 균형과 교사효능감은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직장 내 일-삶의 균형을 이룰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고, 교사가 긍정적인 교사효능감을 가질 수 있도록 인적, 물리적으로 지원, 지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work-life balance and teacher efficacy on job satisfaction of childcare teacher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337 childcare teachers working at daycare centers in Seoul, Gyeonggi, and Incheon metropolitan areas.
      In order to measure the work-life balance of childcare teachers, the work-life balance scale for office workers devised by Kim Jeong-un and Park Jeong-yeol (2008) was modified and supplemented by Choi Bok-gil (2018) for childcare teachers. In order to measure the teacher efficacy of childcare teachers, the Science Teaching Efficacy Belief Instrument (STEBI) devised by Enochs and Riggs (1990) was adapted and modified by Hyeyoung Shin (2004) and used. To measure job satisfaction, the measuring tool (Early Childhood Job Satisfaction Survey: ECJSS) devised by Bloom (2010) was adapted and modified by Hyung-Ok Kang and Myung-Soon Kim (2016), and was used.
      The survey of childcare teachers was conducted through an online survey, and for the analysis of the collected data,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sample t-test, one-way ANOVA, and correlation analysis were conducted through the SPSS 29.0 program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confirm the effect of work-life balance and teacher efficacy on job satisfaction.
      The summary of the results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 work-life balance perceived by childcare teachers was lower than average, and job satisfaction and teacher efficacy were higher than average. Looking at the sub-factors of job satisfaction, cooperation between colleagues was rated the highest, followed by superior relationship, work, work environment, and remuneration and compensation opportunities.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childcare teachers, significant results were found in the final level of education, career, and working hours.
      Second, work-leisure balance, work-growth balance, work-family balance, overall evaluation of work-life, and personal efficacy, which are sub-factors of childcare teachers' work-life balance,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job satisfaction. With correlations, general efficacy was shown to have a positive correlation, except for cooperation among peers, which is a sub-factor of job satisfaction. The overall work-life balance sub-factors and personal efficacy, a sub-factor of teacher efficacy,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Third, it was found that job satisfaction of childcare teachers increased as the overall evaluation of childcare teachers' work-life and teacher efficacy were higher. Therefore, in order to increase the job satisfaction of childcare teachers, it is necessary to make various efforts to establish a social system and improve teacher efficacy so that childcare teachers can achieve work-life balance.
      In conclusion, work-life balance and teacher efficacy of childcare teachers affect job satisfaction.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create an environment where work-life balance can be achieved in the workplace in order to increase job satisfaction of childcare teachers, and to provide personal and physical support so that teachers can have a positive sense of teacher efficacy.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work-life balance and teacher efficacy on job satisfaction of childcare teacher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337 childcare teachers working at daycare centers in Seoul, Gyeonggi, and Incheon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work-life balance and teacher efficacy on job satisfaction of childcare teacher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337 childcare teachers working at daycare centers in Seoul, Gyeonggi, and Incheon metropolitan areas.
      In order to measure the work-life balance of childcare teachers, the work-life balance scale for office workers devised by Kim Jeong-un and Park Jeong-yeol (2008) was modified and supplemented by Choi Bok-gil (2018) for childcare teachers. In order to measure the teacher efficacy of childcare teachers, the Science Teaching Efficacy Belief Instrument (STEBI) devised by Enochs and Riggs (1990) was adapted and modified by Hyeyoung Shin (2004) and used. To measure job satisfaction, the measuring tool (Early Childhood Job Satisfaction Survey: ECJSS) devised by Bloom (2010) was adapted and modified by Hyung-Ok Kang and Myung-Soon Kim (2016), and was used.
      The survey of childcare teachers was conducted through an online survey, and for the analysis of the collected data,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sample t-test, one-way ANOVA, and correlation analysis were conducted through the SPSS 29.0 program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confirm the effect of work-life balance and teacher efficacy on job satisfaction.
      The summary of the results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 work-life balance perceived by childcare teachers was lower than average, and job satisfaction and teacher efficacy were higher than average. Looking at the sub-factors of job satisfaction, cooperation between colleagues was rated the highest, followed by superior relationship, work, work environment, and remuneration and compensation opportunities.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childcare teachers, significant results were found in the final level of education, career, and working hours.
      Second, work-leisure balance, work-growth balance, work-family balance, overall evaluation of work-life, and personal efficacy, which are sub-factors of childcare teachers' work-life balance,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job satisfaction. With correlations, general efficacy was shown to have a positive correlation, except for cooperation among peers, which is a sub-factor of job satisfaction. The overall work-life balance sub-factors and personal efficacy, a sub-factor of teacher efficacy,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Third, it was found that job satisfaction of childcare teachers increased as the overall evaluation of childcare teachers' work-life and teacher efficacy were higher. Therefore, in order to increase the job satisfaction of childcare teachers, it is necessary to make various efforts to establish a social system and improve teacher efficacy so that childcare teachers can achieve work-life balance.
      In conclusion, work-life balance and teacher efficacy of childcare teachers affect job satisfaction.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create an environment where work-life balance can be achieved in the workplace in order to increase job satisfaction of childcare teachers, and to provide personal and physical support so that teachers can have a positive sense of teacher efficac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표 차례 ⅲ
      • 국문 요약 ⅳ
      • 제 1장. 서 론
      • 1.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1
      • 표 차례 ⅲ
      • 국문 요약 ⅳ
      • 제 1장. 서 론
      • 1.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1
      • 1.2. 연구문제 7
      • 제 2장. 이론적 배경
      • 2.1. 일-삶의 균형 8
      • 2.2. 교사효능감 11
      • 2.3. 직무만족도 15
      • 2.4. 일-삶의 균형, 교사효능감, 직무만족도 간의 관계 18
      • 제 3장. 연구방법
      • 3.1. 연구 대상 21
      • 3.2. 연구 도구 24
      • 3.3. 연구 절차 28
      • 3.4. 자료 분석 29
      • 제 4장. 연구 결과
      • 4.1. 측정 변인들의 일반적 경향 30
      • 4.2. 보육교사의 일-삶의 균형과 교사효능감, 직무만족도 간의 관계 40
      • 4.3. 보육교사의 일-삶의 균형과 교사효능감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42
      • 제 5장. 논의 및 결론
      • 5.1. 논의 44
      • 5.2. 결론 56
      • 참고문헌 57
      • 부 록 66
      • Abstract 7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