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녹색성장을 위한 세제개편의 동태적 일반균형효과: 탄소세 도입을 중심으로 = Dynamic General Equilibrium Effects of Revenue-Neutral Tax Reforms for Low-Carbon Green Growth in Korea: The Introduction of a Carbon Tax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6011937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동태적 연산일반균형(dynamic computable general equilibrium) 분 석을 이용하여 우리나라의 탄소세 도입방식과 관련된 5가지 보완정책(offsets programme)조합의 시나리오별로 소비, 투자, 노동공급, 자본축적, 물가, GDP, 단기효용, 생애효용 등에 미치는 중장기 거시경제적 파급효과를 알아보았다. 이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탄소세 도입 및 강화는 여러 가지 시나리오 중에서 중장기적으로 법인세 완화나 신재생에너지투자(녹색투자) 지원과 병행할 경우에 경제적 효율성(efficiency) 측면에서 가장 효과적이며, 온실가스 감축과 함께 경제주체의 생애효용도 증진시키는 소위 이중배당(double dividend) 효과를 가져다 줄 수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 또한 탄소세 도입의 궁극적인 효과는 탄소세가 기타 재정수단과 어떠한 정책조합(policy mix)으로 추진되느냐에 따라 경제에 미치는 중장기 성과가 크게 달라질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이중배당 관련 이론문헌이나 일부 외국사례에 서와 같이 탄소세 도입 및 강화가 녹색투자 확대, 기타 세제 조정 등 다른 보완적 정책수단과 함께 적절하게 혼합되는 경우에는 거시경제 전반에 미치는 영향이 그다지 부정적이 아니며, 특정한 경우에는 오히려 "긍정적"으로 나타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번역하기

      본 논문은 동태적 연산일반균형(dynamic computable general equilibrium) 분 석을 이용하여 우리나라의 탄소세 도입방식과 관련된 5가지 보완정책(offsets programme)조합의 시나리오별로 소비, 투자, 노동...

      본 논문은 동태적 연산일반균형(dynamic computable general equilibrium) 분 석을 이용하여 우리나라의 탄소세 도입방식과 관련된 5가지 보완정책(offsets programme)조합의 시나리오별로 소비, 투자, 노동공급, 자본축적, 물가, GDP, 단기효용, 생애효용 등에 미치는 중장기 거시경제적 파급효과를 알아보았다. 이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탄소세 도입 및 강화는 여러 가지 시나리오 중에서 중장기적으로 법인세 완화나 신재생에너지투자(녹색투자) 지원과 병행할 경우에 경제적 효율성(efficiency) 측면에서 가장 효과적이며, 온실가스 감축과 함께 경제주체의 생애효용도 증진시키는 소위 이중배당(double dividend) 효과를 가져다 줄 수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 또한 탄소세 도입의 궁극적인 효과는 탄소세가 기타 재정수단과 어떠한 정책조합(policy mix)으로 추진되느냐에 따라 경제에 미치는 중장기 성과가 크게 달라질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이중배당 관련 이론문헌이나 일부 외국사례에 서와 같이 탄소세 도입 및 강화가 녹색투자 확대, 기타 세제 조정 등 다른 보완적 정책수단과 함께 적절하게 혼합되는 경우에는 거시경제 전반에 미치는 영향이 그다지 부정적이 아니며, 특정한 경우에는 오히려 "긍정적"으로 나타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Korea is recently debating the introduction of a carbon tax under its green growth strategy. The government set an ambitious goal of cutting greenhouse gas emissions by 30 percent below expected business-as-usual levels in 2020, and established the Framework Act on Green Growth in 2010 to meet the emission target and promote eco-friendly investment. Relative to other non-revenue-raising environmental instruments that achieve the same goals, carbon taxation could have positive economy-wide effects depending on the methods of recycling the tax revenues. Using a dynamic computable general equilibrium model, this paper evaluates the dynamic effects of tax reforms including carbon taxation for green growth in Korea. The policy simulation shows that the economy-wide effects of a well-designed carbon tax scheme in Korea could be positive by making use of other fiscal instruments in combination. In particular, it demonstrates that the overall "positive" effect on economic efficiency(GDP) would be significant, when implementing a new carbon tax scheme with corporate income tax(CIT) cuts and eco-R&D subsidies in Korea.
      번역하기

      Korea is recently debating the introduction of a carbon tax under its green growth strategy. The government set an ambitious goal of cutting greenhouse gas emissions by 30 percent below expected business-as-usual levels in 2020, and established the Fr...

      Korea is recently debating the introduction of a carbon tax under its green growth strategy. The government set an ambitious goal of cutting greenhouse gas emissions by 30 percent below expected business-as-usual levels in 2020, and established the Framework Act on Green Growth in 2010 to meet the emission target and promote eco-friendly investment. Relative to other non-revenue-raising environmental instruments that achieve the same goals, carbon taxation could have positive economy-wide effects depending on the methods of recycling the tax revenues. Using a dynamic computable general equilibrium model, this paper evaluates the dynamic effects of tax reforms including carbon taxation for green growth in Korea. The policy simulation shows that the economy-wide effects of a well-designed carbon tax scheme in Korea could be positive by making use of other fiscal instruments in combination. In particular, it demonstrates that the overall "positive" effect on economic efficiency(GDP) would be significant, when implementing a new carbon tax scheme with corporate income tax(CIT) cuts and eco-R&D subsidies in Korea.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승래, "한국의 조세․재정정책 평가 모형: 조세의 일반균형 귀착효과" 한국조세연구원 2006

      2 김승래, "에너지세제개편과 배출권거래제의 구체적 연계방안 연구" 기획재정부․한국조세연구원 2010

      3 김승래, "에너지부문을 고려한 한국경제의 일반균형모형화" 한국자원경제학회 5 (5): 1-39, 1995

      4 국무총리 국무조정실, "새로운 전환 - 기후변화 4차 정부종합대책(5개년 계획, 2008-2012)"

      5 김승래, "녹색성장을 위한 탄소세 도입방안" 한국조세연구원 2009

      6 김승래, "녹색성장과 조세" 한국경제연구학회 28 (28): 179-205, 2010

      7 김승래, "녹색성장 세제의 설계와 경제적 효과" 한국조세연구원 2010

      8 녹색성장위원회, "녹색성장 국가전략 및 5개년계획(2009~2013)"

      9 에너지경제연구원, "기후변화협약대응을 위한 중장기 정책 및 전략 수립에 관한 연구" 2006

      10 김승래, "기후변화협약 대비 환경친화적 에너지세제 운용방안 연구" 기획재정부․한국조세연구원 2008

      1 김승래, "한국의 조세․재정정책 평가 모형: 조세의 일반균형 귀착효과" 한국조세연구원 2006

      2 김승래, "에너지세제개편과 배출권거래제의 구체적 연계방안 연구" 기획재정부․한국조세연구원 2010

      3 김승래, "에너지부문을 고려한 한국경제의 일반균형모형화" 한국자원경제학회 5 (5): 1-39, 1995

      4 국무총리 국무조정실, "새로운 전환 - 기후변화 4차 정부종합대책(5개년 계획, 2008-2012)"

      5 김승래, "녹색성장을 위한 탄소세 도입방안" 한국조세연구원 2009

      6 김승래, "녹색성장과 조세" 한국경제연구학회 28 (28): 179-205, 2010

      7 김승래, "녹색성장 세제의 설계와 경제적 효과" 한국조세연구원 2010

      8 녹색성장위원회, "녹색성장 국가전략 및 5개년계획(2009~2013)"

      9 에너지경제연구원, "기후변화협약대응을 위한 중장기 정책 및 전략 수립에 관한 연구" 2006

      10 김승래, "기후변화협약 대비 환경친화적 에너지세제 운용방안 연구" 기획재정부․한국조세연구원 2008

      11 Parry, I., "When Can Carbon Abatement Policies Increase Welfare? The Fundamental Role of Distorted Factor Markets" 29 : 52-84, 1999

      12 Nordhaus, W.D, "Warming the World: Economic Models of Global Warming" MIT Press 2000

      13 Fullerton, D, "The Two-Part Instrument in a Second-Best World" 89 : 1961-1975, 2005

      14 Sue Wing, I., "The Synthesis of Bottom-Up and Top-Down Approaches to Climate Policy Modeling: Electric Power Technology Detail in a Social Accounting Framework" 30 : 547-573, 2008

      15 Timilsina, G.R, "The Role of Revenue Recycling Schemes in Environmental Tax Selection: A General Equilibrium Analysis" 2007

      16 Stern, N, "The Economics of Climate Change" 98 (98): 1-37, 2008

      17 Babiker, M.H., "Tax Distortions and Global Climate Policy" 46 : 269-287, 2003

      18 Fullerton, D, "Suggested Subsidies are Sub-optimal Unless Combined with an Output Tax" 2 (2): 2003

      19 Barro, R., "Public Finance in Models of Endogenous Growth" 59 (59): 645-661, 1992

      20 Parry, I, "Pollution Taxes and Revenue Recycling" 29 : 64-77, 1995

      21 Kim, S.-R, "Optimal Environmental Regulation in the Presence of Other Taxes" 1 (1): 1-25, 2002

      22 Bovenberg, A.R., "Optimal Environmenal Taxation in the Presence of Other Taxes" 86 : 985-1000, 1996

      23 OECD, "Instrument Mixes for Environmental Policy" ENV/EPOC/WPNEP 2007

      24 김승래, "Environmental investment and policy with distortionary taxes, and endogenous growth" Elsevier 56 (56): 141-154, 200809

      25 Fischer, C, "Environmental and Technology Policies for Climate Mitigation" 55 (55): 2007

      26 Bosquet, B, "Environmental Tax Reform: Does It Work? A Survey of the Empirical Evidence" 34 (34): 19-32, 2000

      27 Bovenberg, A, "Environmental Levies and Distortionary Taxation" 84 : 1085-1089, 1994

      28 Fullerton, D, "Environmental Controls, Scarcity Rents, and Pre-existing Distortion" 1997

      29 Böhringer, C., "Combining Bottom-up and Top-down" 30 : 574-596, 2008

      30 Jorgenson, D.W, "Carbon Taxes and Economic Welfare" Brookings Papers on Economic Activity, Microeconomics 393-431, 1992

      31 HM Treasury, "Building a Low-carbon Economy: Implementing the Climate Change Act2008" 2009

      32 Wier M, "Are CO2 Taxes Regressive? Evidence from the Danish Experience" 52 : 239-251, 2005

      33 Lau, M.I., "Approximating Infinite-horizon Models in a Complementary Format: A Primer in Dynamic General Equilibrium Analysis" 26 (26): 577-609, 2002

      34 Metcalf, G.E., "Analysis of U.S. Greenhouse Gas Tax Proposals" MIT (160) : 2008

      35 Pigou, A.C, "A Study in Public Finance" Macmillan 194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08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Korean Journal of Public Finance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2-21 학술지등록 한글명 : 재정학연구
      외국어명 : 미등록
      2008-01-01 평가 학술지 통합 (기타)
      2007-05-07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재정·공공경제학회 -> 한국재정학회
      영문명 : The Korean Association Of Public Finance And Economics -> The Korean Association Of Public Finance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 0.7 0.9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4 1 1.582 0.2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