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텔레스코픽 크라운 임플란트 지지 피개의치와 치아 지지 피개의치의 하악골내 응력분포에 관한 유한요소분석 = A FEM study on stress distribution of tooth-supported and implant-supported overdentures retained by telescopic crown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6011955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tress distribution in mandibular implant-supported overdentures and tooth-supported overdentures with telescopic crowns.

      MATERIALS AND METHODS. The assumption of this study was that there were 2, 3, 4 natural teeth and implants which are located in the second premolar and canine regions in various distributed conditions. The mandible, teeth (or implants and abutments), and connectors are modeled, and analyzed with the commercial software, ANSYS Version 10.1. Stress distribution was evaluated under 150 N vertical load bilaterally on 3 experimental conditions - between canine areas, canine and 2nd premolars, 10 mm posterior to 2nd premolars.

      RESULTS. Overall, the case of the implant group showed more stress than the case of the teeth group in stress distribution to bone. In stress distribution to superstructures of tooth and implant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 group and IM group and the highest stress appeared in TH-IV and IM-IV. The stress caused from bar was much higher than those of implant and tooth. TH group showed less stress than IM group in stress distribution to abutment teeth and implant.

      CONCLUSION. The results shows that it is crucial to make sure that distance between impact loading point and abutment tooth does not get too far apart, and if it does, it is at best to set abutment tooth on premolar tooth region. It will be necessary to conduct more experiments on effects on implants, natural teeth and bone, in order to apply these results to a clinical treatment.
      번역하기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tress distribution in mandibular implant-supported overdentures and tooth-supported overdentures with telescopic crowns. MATERIALS AND METHODS. The assumption of this study was that there w...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tress distribution in mandibular implant-supported overdentures and tooth-supported overdentures with telescopic crowns.

      MATERIALS AND METHODS. The assumption of this study was that there were 2, 3, 4 natural teeth and implants which are located in the second premolar and canine regions in various distributed conditions. The mandible, teeth (or implants and abutments), and connectors are modeled, and analyzed with the commercial software, ANSYS Version 10.1. Stress distribution was evaluated under 150 N vertical load bilaterally on 3 experimental conditions - between canine areas, canine and 2nd premolars, 10 mm posterior to 2nd premolars.

      RESULTS. Overall, the case of the implant group showed more stress than the case of the teeth group in stress distribution to bone. In stress distribution to superstructures of tooth and implant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 group and IM group and the highest stress appeared in TH-IV and IM-IV. The stress caused from bar was much higher than those of implant and tooth. TH group showed less stress than IM group in stress distribution to abutment teeth and implant.

      CONCLUSION. The results shows that it is crucial to make sure that distance between impact loading point and abutment tooth does not get too far apart, and if it does, it is at best to set abutment tooth on premolar tooth region. It will be necessary to conduct more experiments on effects on implants, natural teeth and bone, in order to apply these results to a clinical treatment.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연구 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텔레스코픽 크라운 하악 임플란트 지지 피개의치와 치아 지지 피개의치에서 지대치의 수와 위치에 따른 응력 분산을 비교하기 위함이다.

      연구 재료 및 방법: 본 연구에서는 임플란트를 4개 식립하고 임플란트 지지 피개의치로 설계하였고, 식립 위치를 견치와 소구치 부위에 위치 별로 3개 또는 2개 존재시를 실험군으로 설정하였다. 자연치아를 갖는 경우도 견치와 제2소구치 4개를 가진 경우를 대조군으로 설정하고 부위별로 3개 또는 2개를 가지는 경우를 실험군으로 설정하였다. ANSYS Version 10.1 (Swanson, Inc., USA)로 분석하였다.

      결과: 악골내 응력의 경우, 전반적으로 임플란트(IM)로만 구성된 경우가 치아(TH)로만 구성된 경우에 비해 응력이 크게 발생하였다. 상부구조의 경우, 치아군(TH)과 임플란트군(IM) 사이의 차이는 크게 없었으며 편측 견치와 제2소구치에 지대치 또는 임플란트가 위치하는 경우 가장 큰 응력이 나타났고 바(bar)에서 발생된 응력이 임플란트와 치아에서 발생되는 응력에 비해 상대적으로 훨씬 크게 발생하였다. 지대치와 임플란트의 경우, 치아군(TH)이 임플란트군(IM)보다 응력이 작게 발생하였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로부터 지대치(임플란트 또는 치아)를 설정할 때는 하중작용점과 지대치 사이의 거리가 너무 길어지지 않도록 지대치의 수와 위치를 확보해야 하며 소구치 자리에 지대치를 확보하는 것이 유리하다. 앞으로, 실제 임상에 적용하였을 경우, 임플란트 및 자연치아와 악골에 미치는 결과에 대한 연구가 더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번역하기

      연구 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텔레스코픽 크라운 하악 임플란트 지지 피개의치와 치아 지지 피개의치에서 지대치의 수와 위치에 따른 응력 분산을 비교하기 위함이다. 연구 재료 및 방법:...

      연구 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텔레스코픽 크라운 하악 임플란트 지지 피개의치와 치아 지지 피개의치에서 지대치의 수와 위치에 따른 응력 분산을 비교하기 위함이다.

      연구 재료 및 방법: 본 연구에서는 임플란트를 4개 식립하고 임플란트 지지 피개의치로 설계하였고, 식립 위치를 견치와 소구치 부위에 위치 별로 3개 또는 2개 존재시를 실험군으로 설정하였다. 자연치아를 갖는 경우도 견치와 제2소구치 4개를 가진 경우를 대조군으로 설정하고 부위별로 3개 또는 2개를 가지는 경우를 실험군으로 설정하였다. ANSYS Version 10.1 (Swanson, Inc., USA)로 분석하였다.

      결과: 악골내 응력의 경우, 전반적으로 임플란트(IM)로만 구성된 경우가 치아(TH)로만 구성된 경우에 비해 응력이 크게 발생하였다. 상부구조의 경우, 치아군(TH)과 임플란트군(IM) 사이의 차이는 크게 없었으며 편측 견치와 제2소구치에 지대치 또는 임플란트가 위치하는 경우 가장 큰 응력이 나타났고 바(bar)에서 발생된 응력이 임플란트와 치아에서 발생되는 응력에 비해 상대적으로 훨씬 크게 발생하였다. 지대치와 임플란트의 경우, 치아군(TH)이 임플란트군(IM)보다 응력이 작게 발생하였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로부터 지대치(임플란트 또는 치아)를 설정할 때는 하중작용점과 지대치 사이의 거리가 너무 길어지지 않도록 지대치의 수와 위치를 확보해야 하며 소구치 자리에 지대치를 확보하는 것이 유리하다. 앞으로, 실제 임상에 적용하였을 경우, 임플란트 및 자연치아와 악골에 미치는 결과에 대한 연구가 더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Curry J, "The mechanical adaptations of bones"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84

      2 Ralph WJ, "The effects of dental treatment on biting force" 41 : 143-145, 1979

      3 Yokoyama S, "Stress analysis in edentulous mandibular bone supporting implantretained 1-piece or multiple superstructures" 20 : 578-583, 2005

      4 Goodacre CJ, "Rungcharassaeng K. Clinical complications of osseointegrated implants" 81 : 537-552, 1999

      5 van Kampen F, "Retention and postinsertion maintenance of bar-clip, ball and magnet attachments in mandibular implant overdenture treatment: an in vivo comparison after 3 months of function" 14 : 720-726, 2003

      6 Lekholm U, "Patient selection and preparation, In Tissue integrated prostheses: Osseointegration in clinical dentistry" Quintessence 199-209, 1985

      7 Naert I, "Overdentures supported by osseointegrated fixtures for the edentulous mandible: a 2.5-year report" 3 : 191-196, 1988

      8 Brewer AA, "Overdentures" St. Louis 1980

      9 Heckmann SM, "Overdenture attachment selection and the loading of implant and denture-bearing area. Part 2: A methodical study using five types of attachment" 12 : 640-647, 2001

      10 Heckmann SM, "Mandibular two-implant telescopic overdentures" 15 : 560-569, 2004

      1 Curry J, "The mechanical adaptations of bones"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84

      2 Ralph WJ, "The effects of dental treatment on biting force" 41 : 143-145, 1979

      3 Yokoyama S, "Stress analysis in edentulous mandibular bone supporting implantretained 1-piece or multiple superstructures" 20 : 578-583, 2005

      4 Goodacre CJ, "Rungcharassaeng K. Clinical complications of osseointegrated implants" 81 : 537-552, 1999

      5 van Kampen F, "Retention and postinsertion maintenance of bar-clip, ball and magnet attachments in mandibular implant overdenture treatment: an in vivo comparison after 3 months of function" 14 : 720-726, 2003

      6 Lekholm U, "Patient selection and preparation, In Tissue integrated prostheses: Osseointegration in clinical dentistry" Quintessence 199-209, 1985

      7 Naert I, "Overdentures supported by osseointegrated fixtures for the edentulous mandible: a 2.5-year report" 3 : 191-196, 1988

      8 Brewer AA, "Overdentures" St. Louis 1980

      9 Heckmann SM, "Overdenture attachment selection and the loading of implant and denture-bearing area. Part 2: A methodical study using five types of attachment" 12 : 640-647, 2001

      10 Heckmann SM, "Mandibular two-implant telescopic overdentures" 15 : 560-569, 2004

      11 Menicucci G, "Mandibular implantretained overdenture: finite element analysis of two anchorage systems" 13 : 369-376, 1998

      12 Fanuscu MI, "Influence of attachment systems on load transfer of an implant-assisted maxillary overdenture" 13 : 214-220, 2004

      13 Hutton JE, "Factors related to success and failure rates at 3-year follow- up in a multicenter study of overdentures supported by Branemark implants" 10 : 33-42, 1995

      14 Krennmair G, "Comparison of ball and telescopic crown attachments in implantretained mandibular overdentures: a 5-year prospective study" 26 : 598-606, 2011

      15 Engquist B, "A retrospective multicenter evaluation of osseointegrated implants supporting overdentures" 3 : 129-134, 1988

      16 Johns RB, "A multicenter study of overdentures supported by Branemark implants" 7 : 513-522, 199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학술지 분리 (기타)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2 0.22 0.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21 0.21 0.353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