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SCIE SCOPUS

      나일론66-미세결정 셀룰로오스 결정 특성 및 기계적 물성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31955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미세결정 셀룰로오스(microcrystalline cellulose, MCC)는 가벼우면서도 높은 기계적 물성을 유도할 수 있어 고분자 복합체를 활용하는 다양한 산업 분야에 적용되고 있으며 복합체의 경량화를 위한 ...

      미세결정 셀룰로오스(microcrystalline cellulose, MCC)는 가벼우면서도 높은 기계적 물성을 유도할 수 있어 고분자 복합체를 활용하는 다양한 산업 분야에 적용되고 있으며 복합체의 경량화를 위한 보강재로 주목받고 있다. 또한 고분자 매트릭스로 사용가능한 나일론66의 경우도 열적 특성이 좋으며 기계적 물성이 강하여 여러 보강재와 함께 제조되어 쓰이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나일론66의 아미드 결합부분과 MCC의 수산기와 수소결합을 유도하여 기계적 물성을 향상시키고자 했다. 압출과 사출공정을 통해 나일론66-MCC 복합체를 neat 고분자부터 MCC 함량을 0.5, 1, 2, 5 wt%까지 총 5가지로 제조했다. 열중량분석(TGA)을 통하여 복합체의 열적 물성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시차주사 열량분석법(DSC)을 통하여 유리전이온도와 결정화 온도를 측정했다. 만능재료시험기(UTM)를 이용하여 인장강도, 파단연신율, 인성을 측정했으며 아이조드 충격시험(IZOD impact strength test)을 통하여 충격강도를 측정했다. MCC의 함유량이 0.5 wt%일 때 파단연신율, 인성, 충격강도의 수치가 가장 높게 나왔다. 충격강도시험을 진행한 후 파단면을 주사전사현미경(SEM)으로 관찰한 결과, MCC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MCC 분자들의 응집 현상이 있음을 확인했다. 보강재의 함유량을 달리한 각각의 복합체 결정 분석은 X-선 회절 분석법(XRD)을 통해 확인했다. 결과적으로 소량의 보강재 첨가만으로 복합체의 물성을 증가시켰으며 경량 보강재를 이용하여 복합체를 제조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Microcrystalline cellulose (MCC) has drawn a great attention toward lightweight yet mechanically robust polymer composites for applications in various industrial fields. In this study, the nylon66-MCC composites were manufactured through extrusion and...

      Microcrystalline cellulose (MCC) has drawn a great attention toward lightweight yet mechanically robust polymer composites for applications in various industrial fields. In this study, the nylon66-MCC composites were manufactured through extrusion and injection process to improve mechanical properties by inducing hydrogen bonds between the amide bond of nylon66 and the hydroxyl group of MCC. As the MCC content increased, the elongation at break and toughness were measured the highest at the 0.5 wt% of MCC measured by UTM and the tensile strength decreased. Impact strength which was also the highest at the 0.5 wt% of MCC was measured by IZOD impact strength test. The crystallization was analyzed by XRD. As a result,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composites were increased only by the addition of a small amount of light weight reinforcement agent.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초록
      • Abstract
      • 서론
      • 실험
      • 결과 및 토론
      • 초록
      • Abstract
      • 서론
      • 실험
      • 결과 및 토론
      • 결론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윤혁준, "폴리프로필렌/셀룰로오스 나노 섬유 복합체의 열적 및 기계적 물성" 한국고분자학회 44 (44): 255-263, 2020

      2 최우선, "트리아세틴 첨가가 폴리(L-락트산)/폴리카보네이트 블렌드의 열적 특성과 물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고분자학회 40 (40): 977-984, 2016

      3 김석준, "왕겨분말 강화 재활용 폴리스티렌 복합재료의 열적 및 기계적 물성" 한국고분자학회 44 (44): 192-200, 2020

      4 김용주, "열가소성 폴리우레탄과 미세결정 셀룰로오스 복합체의 제조 및 기계적 물성 분석" 한국고분자학회 44 (44): 776-783, 2020

      5 이승원, "아민화 셀룰로오스 나노크리스탈 함유 폴리프로필렌 복합재료" 한국고분자학회 44 (44): 734-740, 2020

      6 문영권, "반응기 혼합법에 의한 폴리올레핀/2D-나노시트 나노복합체 제조;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한국고분자학회 44 (44): 652-657, 2020

      7 이주형, "미세결정 셀룰로오스를 이용한 셀룰로오스 나노결정 제조 및 셀룰로오스 나노결정표면에 메타크릴레이트 기 도입에 관한 연구" 한국고분자학회 42 (42): 1096-1103, 2018

      8 김유신, "나일론66/탄소필러 복합체의 물리적 성질에 대한 제조방법의 영향" 한국고분자학회 42 (42): 763-768, 2018

      9 김준석, "나일론66/탄소필러 복합체의 결정화 거동 및 탄소섬유 배향이 물성에 미치는 영향 연구" 한국고분자학회 43 (43): 547-552, 2019

      10 함명조, "고온 열처리가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필름의 미세구조에 미치는 영향" 한국고분자학회 44 (44): 177-185, 2020

      1 윤혁준, "폴리프로필렌/셀룰로오스 나노 섬유 복합체의 열적 및 기계적 물성" 한국고분자학회 44 (44): 255-263, 2020

      2 최우선, "트리아세틴 첨가가 폴리(L-락트산)/폴리카보네이트 블렌드의 열적 특성과 물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고분자학회 40 (40): 977-984, 2016

      3 김석준, "왕겨분말 강화 재활용 폴리스티렌 복합재료의 열적 및 기계적 물성" 한국고분자학회 44 (44): 192-200, 2020

      4 김용주, "열가소성 폴리우레탄과 미세결정 셀룰로오스 복합체의 제조 및 기계적 물성 분석" 한국고분자학회 44 (44): 776-783, 2020

      5 이승원, "아민화 셀룰로오스 나노크리스탈 함유 폴리프로필렌 복합재료" 한국고분자학회 44 (44): 734-740, 2020

      6 문영권, "반응기 혼합법에 의한 폴리올레핀/2D-나노시트 나노복합체 제조;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한국고분자학회 44 (44): 652-657, 2020

      7 이주형, "미세결정 셀룰로오스를 이용한 셀룰로오스 나노결정 제조 및 셀룰로오스 나노결정표면에 메타크릴레이트 기 도입에 관한 연구" 한국고분자학회 42 (42): 1096-1103, 2018

      8 김유신, "나일론66/탄소필러 복합체의 물리적 성질에 대한 제조방법의 영향" 한국고분자학회 42 (42): 763-768, 2018

      9 김준석, "나일론66/탄소필러 복합체의 결정화 거동 및 탄소섬유 배향이 물성에 미치는 영향 연구" 한국고분자학회 43 (43): 547-552, 2019

      10 함명조, "고온 열처리가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필름의 미세구조에 미치는 영향" 한국고분자학회 44 (44): 177-185, 2020

      11 김혜영, "ε-Caprolactam과 2-Piperidone으로부터 나일론 6,5 공중합체 제조 및 특성평가" 한국고분자학회 38 (38): 31-37, 2014

      12 Moon, S. M., "Recent Research Trends in Eco-Friendly Materials for Solving Environmental Microplastic Problems" 22 : 25-43, 2019

      13 이효재, "Pretreatment of Microfibrillated Cellulose on Polylactide Composites" 한국고분자학회 28 (28): 110-117, 2020

      14 윤옥자, "Preparation and Thermal Properties Evaluation of Polyethylene Oxide and Nitrogen-Functionalized Bacterial Cellulose Nanowhisker Composite Nanofibers via Electrospinning" 한국고분자학회 40 (40): 998-1004, 2016

      15 You, J., "Nano-Patching Defects of Reduced Graphene Oxide by Cellulose Nanocrystals in Scalable Polymer Nanocomposites" 165 : 18-25, 2020

      16 Gil, B. M., "Introduction of Primary Chemical Bonding in Lignin-Based PP Composites for Mechanical Reinforcement via Reactive Extrusion" 165 : 510-515, 2019

      17 Duan, X., "In-Situ Polymerization of High-Molecular Weight Nylon 66Modified Clay Nanocomposites with Low Apparent Viscosity" 11 : 510-, 2019

      18 Estabragh, A. R., "Effect of Thermal History on the Properties of Bentonite" 75 : 657-, 2016

      19 Yang, Z., "Crystallization Behavior of Poly(ε-caprolactone)/Layered Double Hydroxide Nanocomposites" 116 : 2658-2667, 2010

      20 Platnieks, O., "Bio-Based Poly(butylene succinate)/Microcrystalline Cellulose/Nanofibrillated Cellulose-Based Sustainable Polymer Composites: Thermo-Mechanical and Biodegradation Studies" 12 : 1472-, 202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해외DB학술지평가 신청대상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KCI등재
      2012-06-04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POLYMER(KOREA)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1-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8 0.47 0.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5 0.43 0.401 0.1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