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극성 장애 (bipolar disorder)는 조증 삽화 (manic episode)와 우울증 삽화 (depression episode)를 반복적으로 경험하는 기분장애이다. 양극성 장애환자에게 우울증은 조증보다 심각한 결과를 가져오며,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5150041
김양진 (숙명여자대학교) ; 강시현 (울산의대) ; 김창윤 (울산대학교) ; Kim, Yang-Jin ; Kang, Si-Hyun ; Kim, Chang-Yoon
2007
Korean
KCI등재,ESCI
학술저널
449-458(10쪽)
1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양극성 장애 (bipolar disorder)는 조증 삽화 (manic episode)와 우울증 삽화 (depression episode)를 반복적으로 경험하는 기분장애이다. 양극성 장애환자에게 우울증은 조증보다 심각한 결과를 가져오며, ...
양극성 장애 (bipolar disorder)는 조증 삽화 (manic episode)와 우울증 삽화 (depression episode)를 반복적으로 경험하는 기분장애이다. 양극성 장애환자에게 우울증은 조증보다 심각한 결과를 가져오며, 치료의 효과를 측정하기도 어렵다고 알려져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우울증(depression) 상태에 있는 환자들을 대상으로 항우울제를 사용하여 정상 (normal) 상태로 전환했을 때, 약물의 장기 사용으로 일어날 수 있는 조증 (mania)과 같은 부작용을 통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정상 상태에서 조증으로 전환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의 분포를 추정한다. 본 연구에서는 세 가지 방법, 모수적, 비모수적 그리고 준모수적 방법을 차례대로 적용하였다. 특히 기분 전환의 흐름을 파악하기 위해 3단계 모형을 사용하였다. 예를 들어, Illness-Death 모형하에서 기분 전환의 발생시점에 대한 분포를 추정하기 위해 계수 과정에 의해 기분 전환에 대한 과정을 모형화하였다.
참고문헌 (Reference)
1 "The long-term natural history of the weekly symptomatic status of bipolar I disorder" 59 : 530-537, 2002
2 "Survival Analysis: Techniques for Censored and Truncated Data" Springer-Verlag, New York 1997
3 "Suicidal behaviour in bipolar disorder: risk and prevention" 17 : 491-511, 2003
4 "Statistical Models Based on Counting Processes" Springer-Verlag 1993
5 "Regression analysis of doubly censored failure time data with frailty" 62 : 458-464, 2006
6 "Multi-state models: a review" 5 : 239-264, 1999
7 "Lithium treatment and suicide risk in major affective disorders: update and new findings" 64 : 44-52, 2003
8 "Estimation of integrated transition hazards and stage occupation probabilities for non-Markov systems under dependent censoring" 58 : 792-802, 2002
9 "Antidepressants for bipolar depression: A systematic review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161 : 1537-1547, 2004
10 "Antidepressant-induced mania: an overview of current controversies" 5 : 407-420, 2003
1 "The long-term natural history of the weekly symptomatic status of bipolar I disorder" 59 : 530-537, 2002
2 "Survival Analysis: Techniques for Censored and Truncated Data" Springer-Verlag, New York 1997
3 "Suicidal behaviour in bipolar disorder: risk and prevention" 17 : 491-511, 2003
4 "Statistical Models Based on Counting Processes" Springer-Verlag 1993
5 "Regression analysis of doubly censored failure time data with frailty" 62 : 458-464, 2006
6 "Multi-state models: a review" 5 : 239-264, 1999
7 "Lithium treatment and suicide risk in major affective disorders: update and new findings" 64 : 44-52, 2003
8 "Estimation of integrated transition hazards and stage occupation probabilities for non-Markov systems under dependent censoring" 58 : 792-802, 2002
9 "Antidepressants for bipolar depression: A systematic review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161 : 1537-1547, 2004
10 "Antidepressant-induced mania: an overview of current controversies" 5 : 407-420, 2003
11 "An empirical transition matrix for nonhomogeneous Markov chains based on censored observations Scandinavian Journal of Statistics" 1978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2-07-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0-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38 | 0.38 | 0.38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35 | 0.34 | 0.565 | 0.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