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actual existence of Damheonjip(澹軒集), especially by analyzing the remaining 2 leaves of Damheonjip written by Lee Ha-Gon(李夏坤), Dam-Heon(澹軒). He was a scholar, book collector and writer in the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3996877
박문열 (淸州大學校 人文大學 人文學部 文獻情報學專功)
2004
-
Dam-heon ; Lee-Ha-Gon ; Damheonjip ; Dutacho ; Wanwigak ; Man-gwanru. ; Dam-heon ; Lee-Ha-Gon ; Damheonjip ; Dutacho ; Wanwigak ; Man-gwanru.
KCI등재
학술저널
247-264(18쪽)
1
0
상세조회0
다운로드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actual existence of Damheonjip(澹軒集), especially by analyzing the remaining 2 leaves of Damheonjip written by Lee Ha-Gon(李夏坤), Dam-Heon(澹軒). He was a scholar, book collector and writer in th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actual existence of Damheonjip(澹軒集), especially by analyzing the remaining 2 leaves of Damheonjip written by Lee Ha-Gon(李夏坤), Dam-Heon(澹軒). He was a scholar, book collector and writer in the later Chosun Dynasty and contributed much to the development of local culture.Especially through the records of his biological chronology, the remaining 2 leaves of Damheonjip, and the testimony of Lee Jeong-Hui(李晶熙), his 8th generation descendent, it is now confirmed that Damheonjip, which has been only known by its title, was actually compiled in 10 volumes. And, it is believed that Damheonjip was based on Dutacho(頭陀草), the collection of his writings.The content of 691 Chinese characters which remained in 2 leaves of Damheonjip was compiled, based on volumes 14 and 15 of Dutacho, and 29 other places were revised or edited during its compilation.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조선시대 후기의 학자장서가저술가로서 지방문화발전에 공헌했던 담헌 이하곤(1677-1724)의 저술인 澹軒集의 존재여부에 관하여 전해지는 澹軒集 잔엽 2매를 중심으로 고찰한 것이다....
본고는 조선시대 후기의 학자장서가저술가로서 지방문화발전에 공헌했던 담헌 이하곤(1677-1724)의 저술인 澹軒集의 존재여부에 관하여 전해지는 澹軒集 잔엽 2매를 중심으로 고찰한 것이다.담헌의 행장과 澹軒集 잔엽 2매 및 종손 이정희의 증언을 통해서 고찰한 결과 지금까지 存目으로만 알려져왔던 澹軒集 10권 10책은 실제로 존재하였던 문집이며, 澹軒集은 頭陀草를 저본으로 하여 편차되었음이 확인되었다. 澹軒集 잔엽 2매에 수록된 도합 691자의 내용은 頭陀草 제14책과 제15책을 중심으로 편차되었으나, 편차의 과정에서 저본과는 달리 29처의 改作이나 添補 등의 刪節을 통하여 편차된 것이었다.
참고문헌 (Reference)
1 "澹軒 李夏坤의 生涯와 著述에 관한 硏究" 書誌學會 第25輯 : 2003
1 "澹軒 李夏坤의 生涯와 著述에 관한 硏究" 書誌學會 第25輯 : 2003
우왕 이후에 제작된 4질의 묘법연화경 사경의 변상화의 내용분석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9-03-20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The Institute of Korea Bibliography -> Korean Society of Bibliography | ![]() |
2019-03-19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Bibliography -> Journal of Studies in Bibliography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3-05-06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서지학회 -> 한국서지학회영문명 : The Institute Of Bibliography -> The Institute of Korea Bibliography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4-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1998-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47 | 0.47 | 0.46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45 | 0.42 | 1.107 | 0.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