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한국의 인구 구조 변화를 반영하면서 사회적 공존을 위한 현실적인 방안을 모색하려는 의도에서 기획되었다. 이를 위해 영리 영역의 비영리 활동으로서 중고령자에 대한 현실적...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G3796157
-
2014년
Korean
인구변화 ; Symbiosis of For-Profit and Non-Profit Sectors ; Job Creation ; Social Service Jobs ; Social Enterprise ; Social Co-existence ; Non-profit Organization ; Privatization of Public Services ; Aging Society ; Senior-Friendly Management ; Korean Model of Social Co-existence ; Wa ; 영리/비영리 조직 ; 사회적 기업 ; 고용 창출 ; 사회적 공존 ; 사회 통합
한국연구재단(NRF)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한국의 인구 구조 변화를 반영하면서 사회적 공존을 위한 현실적인 방안을 모색하려는 의도에서 기획되었다. 이를 위해 영리 영역의 비영리 활동으로서 중고령자에 대한 현실적...
본 연구는 한국의 인구 구조 변화를 반영하면서 사회적 공존을 위한 현실적인 방안을 모색하려는 의도에서 기획되었다. 이를 위해 영리 영역의 비영리 활동으로서 중고령자에 대한 현실적인 고용 유지 전략, 즉 임금 피크제 등과 같은 인적자원 관리 제도의 도입을 통한 정년 연장 가능성을 모색해 보고자 했으며, 비영리 영역의 영리 활동으로서 사회적 기업 설립을 통한 사회적 취약 계층 및 중고령 조기 퇴직자 고용 창출 가능성과 그로 인한 사회적 편익(social benefit)의 수준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고자 했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사회적 공존을 위한 조직의 역할 확대라는 새로운 패러다임 하에서 한국 사회의 위기를 진단하고 해결 방안을 연구하였다.
사회적 공존을 위한 조직의 역할 확대를 위해서는 크게 다섯 가지 방향에서의 연구가 필요하다고 볼 수 있다. 첫째, 한국의 인구 구조의 변화는 직접적으로 영리 및 비영리 영역 조직들의 인력 구성 변화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말할 수 있다. 따라서 사회적 공존을 위한 조직의 역할 확대를 연구하는데 있어서 영리 및 비영리 조직들의 인력 구성 변화가 영향을 미치는 제반 현상들에 대한 통합적인 진단을 통해 현재 발생하고 있는 문제점들과 향후 예상되는 문제점들에 대한 분석이 필요하다.
둘째, 한국 사회에서 전통적인 성장 동력으로 여겨져 왔던 영리 영역, 즉 영리 기업의 사회적 역할에 있어서의 변화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이는 영리 영역이 한국 사회에서 부여받은 정당성 및 존재의 이유에 대한 재검토를 통해 인적 구조의 고령화에 대응하기 위한 영리 기업의 인적 자원 개발과 관리의 방향을 재설정하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이다.
셋째, 사회적 공존을 위한 조직의 역할과 관련하여 지난 30년간 양적 증가와 역할 및 기능에 있어서 비약적인 성장을 이룬 비영리 영역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오늘날의 비영리 영역은 정부 영역과 영리 영역과의 관계에서 비판과 견제자로서의 역할을 넘어 동반자적 관계로 발전하고 있고, 특히 한국의 상황에서는 IMF 이후 실업 문제 해결을 위한 사회 서비스기관 일자리 창출에 주도적인 역할을 수행해오고 있으며, 정부에서도 이와 같은 비영리 영역의 사회적 역할을 인정하고 재정적 지원을 제도화하고 있는 추세에 있다. 또한 비영리 영역의 영향력 확대와 양적 성장은 사회의 주요한 고용 시장으로서 그 기능을 점차 확대해나가고 있는 추세이다. 따라서 인력 구조의 고령화에 따른 조직의 역할 확대에 대한 연구에 있어서는 영리 영역뿐만 아니라 비영리 영역에 대한 균형 잡힌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된다고 말할 수 있다.
넷째, 영리 영역과 비영리 영역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practical ways to pursue social coexistence with the change of population structure in Korea. To this end, this study explores such specific topics as employment maintenance strategies for the elderly and social benefit from the co...
This study examines practical ways to pursue social coexistence with the change of population structure in Korea. To this end, this study explores such specific topics as employment maintenance strategies for the elderly and social benefit from the construction of social enterprise for the socially vulnerable people. In particular, the study highlights the significance of new paradigm, which focuses on the critical role of various organizations in developing social coexistence, thus elucidating what kind of social crisis the Korean society currently has and how it could be resolved.
This study suggests that special attention has to be directed to five specific areas for the enhancement of organizational role for social coexistence. First, the change of population structure directly affects workforce composition in profit and non-profit organizations. Thus,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more integrative approach and analyze what kind of problems are resulted from the change of workforce composition and how they would be resolved. Second, studies about the social role of private corporations also need to be developed. While private enterprises have been seen as the driving force of development in Korea, their social role and legitimacy should be reexamined and reformulated under 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