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Differential Effects of Educational Attainment on Chronic Diseases with Age = 연령에 따른 교육수준과 만성질환의 관계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59707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의 목적은 연령과 교육수준이 한국인의 만성질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한국노동연구원이 2006년에 수집한 ‘고령화연구패널조사(KLoSA: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eing)’에 참여한 45세 이상의 한국인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먼저 연령과 만성질환이 비선형 관계를 갖고 있음을 보여준다.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응답자가 만성질환을 앓고 있을 확률도 증가하나 약 74세를 기준으로 다시 감소한다. 또한 이러한 연령과 만성질환의 관계는 교육수준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교육수준이 낮을수록 상대적으로 이른 나이에 만성질환이 발현하여 70대 초까지 상대적으로 만성질환에 노출될 확률이 높게 나타난다. 그러나 이러한 교육수준에 따른 건강격차는 수렴현상(convergence)을 보이다가 70대 초반 이후부터 역전되어 다시 분기(divergence)한다. 즉, 고령층에서는 오히려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만성질환을 가질 확률이 높게 나타나는 것이다. 이러한 결과는 교육수준이 낮은 사람들이 만성질환에 상대적으로 더 젊은 나이에 노출되고 결국에는 이른 사망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을 함의한다.
      번역하기

      본 논문의 목적은 연령과 교육수준이 한국인의 만성질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한국노동연구원이 2006년에 수집한 ‘고령화연구패널조사(KLoSA: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

      본 논문의 목적은 연령과 교육수준이 한국인의 만성질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한국노동연구원이 2006년에 수집한 ‘고령화연구패널조사(KLoSA: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eing)’에 참여한 45세 이상의 한국인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먼저 연령과 만성질환이 비선형 관계를 갖고 있음을 보여준다.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응답자가 만성질환을 앓고 있을 확률도 증가하나 약 74세를 기준으로 다시 감소한다. 또한 이러한 연령과 만성질환의 관계는 교육수준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교육수준이 낮을수록 상대적으로 이른 나이에 만성질환이 발현하여 70대 초까지 상대적으로 만성질환에 노출될 확률이 높게 나타난다. 그러나 이러한 교육수준에 따른 건강격차는 수렴현상(convergence)을 보이다가 70대 초반 이후부터 역전되어 다시 분기(divergence)한다. 즉, 고령층에서는 오히려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만성질환을 가질 확률이 높게 나타나는 것이다. 이러한 결과는 교육수준이 낮은 사람들이 만성질환에 상대적으로 더 젊은 나이에 노출되고 결국에는 이른 사망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을 함의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relationships between chronic diseases, age, and education in Korea. Logistic regression techniques were used to analyze data from the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eing (KLoSA), which is a nationally representative sample of Koreans aged 45 years and older. The findings show that probability of having chronic diseases increased with age up to about 74; however, it was reduced for respondents aged 74 years or older. Associations between age and chronic diseases were also differential by education. Less educated Koreans tended to have chronic diseases earlier in their lifetime; however, they were likely to have chronic diseases later in life less than more educated counterparts. The findings suggest that individuals with fewer years of education are at an increased risk of developing chronic diseases earlier in their lifetimes, thereby, leading to a higher rate of mortality at younger ages.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relationships between chronic diseases, age, and education in Korea. Logistic regression techniques were used to analyze data from the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eing (KLoSA), which is a nationally represe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relationships between chronic diseases, age, and education in Korea. Logistic regression techniques were used to analyze data from the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eing (KLoSA), which is a nationally representative sample of Koreans aged 45 years and older. The findings show that probability of having chronic diseases increased with age up to about 74; however, it was reduced for respondents aged 74 years or older. Associations between age and chronic diseases were also differential by education. Less educated Koreans tended to have chronic diseases earlier in their lifetime; however, they were likely to have chronic diseases later in life less than more educated counterparts. The findings suggest that individuals with fewer years of education are at an increased risk of developing chronic diseases earlier in their lifetimes, thereby, leading to a higher rate of mortality at younger age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Introduction
      • Ⅱ. Literature Review
      • Ⅲ. Methods
      • Ⅳ. Results
      • Ⅴ. Discussion
      • Ⅰ. Introduction
      • Ⅱ. Literature Review
      • Ⅲ. Methods
      • Ⅳ. Results
      • Ⅴ. Discussion
      • 〈Reference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우해봉, "한국 중고령층의 성별․교육수준별 건강기대여명 차이" 한국사회학회 43 (43): 165-187, 2009

      2 손미아, "직업,교육수준 그리고 물질적 결핍이 사망률에 미치는 영향" 대한예방의학회 35 (35): 10-82, 2002

      3 김기혜, "직업 및 교육수준에 따른 사망원인별 비례사망비의 연도별 추이: 1993-2004년 우리나라 사망등록자료의 분석" 대한예방의학회 40 (40): 7-15, 2007

      4 김진영, "잠재성장곡선 모형을 이용한 교육과 건강의 궤적 간 관계 분석" 한국사회학회 42 (42): 164-190, 2008

      5 정연, "소득수준이 주관적 건강상태에 미치는 영향의 연령대별 차이: 2001, 2005년 서울시민보건지표조사 자료의 분석 결과" 대한예방의학회 40 (40): 381-387, 2007

      6 강혜원, "서울시 남녀노인의 건강불평등:사회경제적 지위와 사회통합 요소를 중심으로" 한국사회학회 41 (41): 164-201, 2007

      7 김진영, "사회경제적 지위와 건강의 관계:연령에 따른 변화를 중심으로" 한국사회학회 41 (41): 127-153, 2007

      8 주수영, "교육수준별 2004년 암 사망자의 사망 전 1년간 의료이용의 차이와 정책적 함의" 대한예방의학회 40 (40): 36-44, 2007

      9 Keddie,A.M, "Variation in the Associations of Education,Occupation,Income,and Assets with Functional Limitations in Older Mexican Americans" 15 : 579-589, 2005

      10 House,J.S, "The Social Stratification of Aging and Health" 35 : 213-234, 1994

      1 우해봉, "한국 중고령층의 성별․교육수준별 건강기대여명 차이" 한국사회학회 43 (43): 165-187, 2009

      2 손미아, "직업,교육수준 그리고 물질적 결핍이 사망률에 미치는 영향" 대한예방의학회 35 (35): 10-82, 2002

      3 김기혜, "직업 및 교육수준에 따른 사망원인별 비례사망비의 연도별 추이: 1993-2004년 우리나라 사망등록자료의 분석" 대한예방의학회 40 (40): 7-15, 2007

      4 김진영, "잠재성장곡선 모형을 이용한 교육과 건강의 궤적 간 관계 분석" 한국사회학회 42 (42): 164-190, 2008

      5 정연, "소득수준이 주관적 건강상태에 미치는 영향의 연령대별 차이: 2001, 2005년 서울시민보건지표조사 자료의 분석 결과" 대한예방의학회 40 (40): 381-387, 2007

      6 강혜원, "서울시 남녀노인의 건강불평등:사회경제적 지위와 사회통합 요소를 중심으로" 한국사회학회 41 (41): 164-201, 2007

      7 김진영, "사회경제적 지위와 건강의 관계:연령에 따른 변화를 중심으로" 한국사회학회 41 (41): 127-153, 2007

      8 주수영, "교육수준별 2004년 암 사망자의 사망 전 1년간 의료이용의 차이와 정책적 함의" 대한예방의학회 40 (40): 36-44, 2007

      9 Keddie,A.M, "Variation in the Associations of Education,Occupation,Income,and Assets with Functional Limitations in Older Mexican Americans" 15 : 579-589, 2005

      10 House,J.S, "The Social Stratification of Aging and Health" 35 : 213-234, 1994

      11 O'Rand,A.M, "The Precious and The Precocious:Understanding Cumulative Disadvantage and Cumulative Advantage over the Life Course" 36 : 230-238, 1996

      12 O'Rand,A.M, "Stratification and the Life Course:Life Course Capital,Life Course Risks,and Social Inequality In Handbook of aging and the social sciences" Academic Press 145-162, 2006

      13 Herd,P, "Socioeconomic Position and Health:The Differential Effects of Education versus Income on the Onset versus Progression of Health Problems" 48 : 223-238, 2007

      14 Ferraro,K.F, "Self-rated Health and Mortality among Black and White Adults:Examining the Dynamic Evaluation Thesis" 56 : 195-205, 2001

      15 Liu,J, "Prevalence and Correlates of Functional Disability in Chinese Older Adults" 9 : 253-261, 2009

      16 Lee,M, "Perceived discrimination and health among Puerto Rican and Mexican Americans: Buffering effect of the Lazo matrimonial?" Pergamon Press Ltd. 68 (68): 1966-1974, 2009

      17 Park,K, "Life Expectancy and Causes of Death for the Elderly of Korea,USA,and Japan(in Korean)" 22 : 97-119, 1999

      18 Winkleby,M.A, "Influence of Individual and Neighborhood Socioeconomic Status on Mortality among Black,Mexican-American,and White Women and Men in the United States" 57 : 444-452, 2003

      19 Zimmer,Z, "How Indicators of Socioeconomic Status Relate to Physical Functioning of Older Adults in Three Asian Societies" 26 : 224-258, 2004

      20 Dupre,M.E, "Educational Differences in Age-Related Patterns of Disease:Reconsidering the Cumulative Advantage and Age-as-Leveler Hypotheses" 48 : 1-15, 2007

      21 Cagney,K.A, "Education,Wealth,and Cognitive Function in Later Life" 57B : 163-172, 2002

      22 Ross,C.E, "Education,Age,and the Cumulative Advantage in Health" 37 : 104-120, 1996

      23 Zhang,W, "Education and Self-rated Health:An Individual and Neighborhood Level Analysis of Asian Americans,Hawaiians,and Caucasians in Hawaii" 70 : 561-569, 2010

      24 Ferraro,K.F, "Cumulative Inequality Theory for Research on Aging and the Life Course In Handbook of Theories of Aging" Springer Publishing Company 413-434, 2008

      25 Willson,A.E, "Cumulative Advantage Processes as Mechanisms of Inequality in Life Course Health" 112 : 1886-1924, 2007

      26 Beckett,M, "Converging Health Inequalities in Later Life-An Artifact of Mortality Selection" 41 (41): 106-119, 2000

      27 Hatch,S.L, "Conceptualizing and Identifying Cumulative Adversity and Protective Resources:Implications for Understanding Health Inequalities" 60B : 130-134, 2005

      28 WHO, "Chronic Diseases and Health Promotion:Region and Country Specific Information Sheets" WHO 2010

      29 Sim,H.L, "Breast Cancer Knowledge and Screening Practices:A Survey of 1,000 Asian Women" 50 : 132-138, 2009

      30 Reynolds,C.R, "Bias in Mental Testing:An Introduction to the Issues In Perspectives on Bias in Mental Testing" Plenum Press 1-40, 1984

      31 Dannefer,D, "Aging as Intracohort Differentiation:Accentuation,the Matthew Effect,and the Life Course" 2 : 211-236, 1987

      32 캔페레로, "Aging and Cumulative Inequality: How Does Inequality Get Under the Skin?" GERONTOLOGICAL SOC AMER 49 (49): 333-343, 200906

      33 Park,H, "Age and Self-rated Health in Korea" 83 : 1165-1182, 2005

      34 Zimmer,Z, "A Cross-national Examination of the Determinants of Self-assessed Health" 41 : 465-481, 200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1-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34 1.34 1.6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86 2.07 2.564 0.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