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부여 쌍북리 백제유적 출토 목간의 성격 = 扶余 · 双北里の百済遺跡から出土した木簡の性格 - 201-4番地および328-2番地出土木簡を中心に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202928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목간은 문서나 편지 등의 글을 일정한 모양으로 깎아 만든 나무 조각에 적은 것(木牘 혹은 木牒)을 말하며, 종이가 발견되기 이전에 죽간과 함께 문자기록을 위해 사용하였다.
      백제시대의 목간은 대부분 후기 사비도성인 부여읍내에서 나왔으며, 출토된 목간의 연대는 대략 6세기 전반에서 7세기 중반에 해당한다.
      최근 부여 쌍북리 백제유적 소규모 발굴조사(한국문화재재단 실시)에서도 5점의 목간이 출토되었는데 328-2번지의 3점과 201-4번지의 2점이 그것이다. 2013년도와 2015년도에 발간된 정식보고서에는 출토된 목간에 대해 육안판독이 가능한 것(328-2번지 출토 목간B)도 있어 적외선 촬영을 통한 1차 판독과 보존처리를 통한 2차 판독 결과를 수록하였으나 육안판독이 가능한 것(328-2번지 출토 목간B)도 있었으나 대부분은 목간 및 목서의 보존상태가 좋지 않아 정확한 판독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하지만 한국목간학회의 도움으로 두 유적 출토 목간에 대한 사례발표 및 토론과정을 거쳐 묵서의 재판독이 실시된 결과 목간의 성격을 보다 구체적이고, 새롭게 파악할 수 있게 됨으로써 목간이 지니는 학술적인 중요성을 인식하게 되었다.
      즉, 201-4번지의 목간 2점(목간1·2)은 주로 인명과 장정을 뜻하는 丁이 1+3의 형태로 조합되어 장정의 편제와 밀접한 관련을 가지는 것으로 생각된다. 특히 각종 부역 및 균역의 징발을 위한 호적 정리와 연관되어 백제 후기 사비기의 율령제 시행을 보여주는 자료로 생각된다. 목간2의 경우에는 ‘兄習利丁’의 ‘兄’자가 형제관계로 풀이될 경우 가족관계에 따른 丁의 편제양상을 보여주는 좋은 자료가 되며, ‘習利’라는 인명은 인근 쌍북리 280-5번지 유적에서 출토된 좌관대식기 목간에도 적혀 있어 그 연유가 무척 흥미롭다. 한편 328-2번지 구구표 목간(목간C)은 한반도에서 구구단이 적힌 최초·최고의 실물자료이다. 또한 그동안 중국과 일본에서 주로 출토되고 목간에 적힌 문자의 유사성을 예로 들어 일부에서 제기되어온 중국-일본으로의 직접적인 전파 가능성을 반박하는 자료일 뿐만 아니라 한-중-일로 대표되는 고대 동아시아에 있어서 교역 네트워크의 일반성을 재차 입증해주는 귀중한 자료이다. 특히 목간C는 중국과 일본의 대표 목간에 비해 훨씬 전문적이고 체계적인 면모를 보여줌으로써 백제시대 수리체계의 수준을 보여주는 중요한 유물일 뿐만 아니라 우리나라 구구단의 역사 및 한국수학사 연구에 중요한 기초자료로 평가할 수 있다.
      결국 본고에서 다룬 쌍북리 백제유적 출토 목간은 그 자체가 백제시대의 문화적 우수성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학술자료이며, 앞으로 보다 전문적인 연구가 계속된다면 지금까지 알려진 성격보다 더 다양한 특징들이 드러나 목간의 성격이 보다 구체화될 것으로 기대해본다.
      번역하기

      목간은 문서나 편지 등의 글을 일정한 모양으로 깎아 만든 나무 조각에 적은 것(木牘 혹은 木牒)을 말하며, 종이가 발견되기 이전에 죽간과 함께 문자기록을 위해 사용하였다. 백제시대의 ...

      목간은 문서나 편지 등의 글을 일정한 모양으로 깎아 만든 나무 조각에 적은 것(木牘 혹은 木牒)을 말하며, 종이가 발견되기 이전에 죽간과 함께 문자기록을 위해 사용하였다.
      백제시대의 목간은 대부분 후기 사비도성인 부여읍내에서 나왔으며, 출토된 목간의 연대는 대략 6세기 전반에서 7세기 중반에 해당한다.
      최근 부여 쌍북리 백제유적 소규모 발굴조사(한국문화재재단 실시)에서도 5점의 목간이 출토되었는데 328-2번지의 3점과 201-4번지의 2점이 그것이다. 2013년도와 2015년도에 발간된 정식보고서에는 출토된 목간에 대해 육안판독이 가능한 것(328-2번지 출토 목간B)도 있어 적외선 촬영을 통한 1차 판독과 보존처리를 통한 2차 판독 결과를 수록하였으나 육안판독이 가능한 것(328-2번지 출토 목간B)도 있었으나 대부분은 목간 및 목서의 보존상태가 좋지 않아 정확한 판독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하지만 한국목간학회의 도움으로 두 유적 출토 목간에 대한 사례발표 및 토론과정을 거쳐 묵서의 재판독이 실시된 결과 목간의 성격을 보다 구체적이고, 새롭게 파악할 수 있게 됨으로써 목간이 지니는 학술적인 중요성을 인식하게 되었다.
      즉, 201-4번지의 목간 2점(목간1·2)은 주로 인명과 장정을 뜻하는 丁이 1+3의 형태로 조합되어 장정의 편제와 밀접한 관련을 가지는 것으로 생각된다. 특히 각종 부역 및 균역의 징발을 위한 호적 정리와 연관되어 백제 후기 사비기의 율령제 시행을 보여주는 자료로 생각된다. 목간2의 경우에는 ‘兄習利丁’의 ‘兄’자가 형제관계로 풀이될 경우 가족관계에 따른 丁의 편제양상을 보여주는 좋은 자료가 되며, ‘習利’라는 인명은 인근 쌍북리 280-5번지 유적에서 출토된 좌관대식기 목간에도 적혀 있어 그 연유가 무척 흥미롭다. 한편 328-2번지 구구표 목간(목간C)은 한반도에서 구구단이 적힌 최초·최고의 실물자료이다. 또한 그동안 중국과 일본에서 주로 출토되고 목간에 적힌 문자의 유사성을 예로 들어 일부에서 제기되어온 중국-일본으로의 직접적인 전파 가능성을 반박하는 자료일 뿐만 아니라 한-중-일로 대표되는 고대 동아시아에 있어서 교역 네트워크의 일반성을 재차 입증해주는 귀중한 자료이다. 특히 목간C는 중국과 일본의 대표 목간에 비해 훨씬 전문적이고 체계적인 면모를 보여줌으로써 백제시대 수리체계의 수준을 보여주는 중요한 유물일 뿐만 아니라 우리나라 구구단의 역사 및 한국수학사 연구에 중요한 기초자료로 평가할 수 있다.
      결국 본고에서 다룬 쌍북리 백제유적 출토 목간은 그 자체가 백제시대의 문화적 우수성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학술자료이며, 앞으로 보다 전문적인 연구가 계속된다면 지금까지 알려진 성격보다 더 다양한 특징들이 드러나 목간의 성격이 보다 구체화될 것으로 기대해본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I. 머리말
      • II. 유적의 현황과 목간 출토 상황
      • III. 목간의 판독 및 성격
      • IV. 맺음말
      • 국문초록
      • I. 머리말
      • II. 유적의 현황과 목간 출토 상황
      • III. 목간의 판독 및 성격
      • IV. 맺음말
      • 참고문헌
      • 日文要約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