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고는 일제강점기(1911-40) 조선내 공공투자의 생산효율성과 민간투자 유인효과를 인과관계로써 분석해 봄으로써, 일제의 조선식민통치의 경제적 의의를 규명해 본 것이다. 식민지기 조선의...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6592990
2020
-
320
KCI등재
학술저널
163-191(29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일제강점기(1911-40) 조선내 공공투자의 생산효율성과 민간투자 유인효과를 인과관계로써 분석해 봄으로써, 일제의 조선식민통치의 경제적 의의를 규명해 본 것이다. 식민지기 조선의...
본고는 일제강점기(1911-40) 조선내 공공투자의 생산효율성과 민간투자 유인효과를 인과관계로써 분석해 봄으로써, 일제의 조선식민통치의 경제적 의의를 규명해 본 것이다. 식민지기 조선의 공공투자는 주로 철도, 항만을 비롯한 사회자본스톡의 형성에 집중되었다. 그것은 단기적으로는 민간투자를 구축하고 민간의 가처분소득과 후생을 상당히 감소시켰다. 하지만 자본스톡의 지속적 축적은 장기적으로는 민간투자의 산업적, 시장적 기반을 조성하였다. 조선은 1인당투자액이 대만보다 훨씬 작았음에도, 총자본스톡의 형성은 대만보다 더 크고 생산적이었다. 이 자본스톡의 다량 형성이 1930년대부터 일본으로부터 대규모 투자를 가능케 했다. 그것이 1939년 전시경제체제로 되기 전까지 조선의 경제성장을 가능하게 했다. 일제의 조선통치의 본질은 자국의 이익을 위해 식민지의 후생을 희생시키는 전형적인 제국주의였지만, 조선경제의 장기적 성장에는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find out the efficiency of colonial era s government investment, its impact on private investment, and its implications about economic growth. Colony Chosun s economic growth was driven primarily by government investmen...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find out the efficiency of colonial era s government investment, its impact on private investment, and its implications about economic growth. Colony Chosun s economic growth was driven primarily by government investment. The increase in government investment has reduced private consumption in the short term, and its own income growth effect has been quite small. But by continuing to accumulate capital stock, it has created an industrial and market base of private investment over the long term. The capital stock formation was larger than that of Taiwan, although Chosun s per capita investment was much smaller than that of Taiwan. And its efficiency as greater than that of Taiwan. The formation of this capital stock has nabled a flexible increase in private facility investment since the 1930s. It increased domestic income, and made it possible to increase per capita consumption in Chosun until 1939 when it became a wartime economic system. The economic growth of colony Chosun was made possible by the increase in public investment and capital. However, it was made primarily through military use and formed through the great sacrifice of the welfare of Chosun‘s people at that time. Therefore the process of economic growth of Chosun, which was made under Japanese rule, can be said to be a typical imperialism that sacrifices the welfare of the colony for its own interests. Nevertheless, there was a positive effect on the long-term growth of the Chosun economy.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김낙년, "한국의 장기통계: 국민계정 1911-2010" 서울대출판문화원 2012
2 김낙년, "한국의 장기통계(Ⅰ,Ⅱ)" 해남 2018
3 문명기, "일제하 대만⋅조선총독부의 세출구조 비교분석" 한국학연구소 44 : 409-454, 2015
4 정용석, "식민지조선에 투자된 일본자본의 규모와 구성내용" 21 : 253-273, 2002
5 김낙년, "식민지기 대만과 조선의 공업화 비교" 29 : 73-109, 2000
6 정용석, "식민지기 1인당 쌀 소비량과 연관변수들과의 관계구조와 그 변화의 의미" 경제사학회 43 (43): 361-398, 2019
7 정용석, "부산시 세입, 세출, 지역소득의 연관관계분석 : 바람직한 재정운용방법의 모색" 한국경제통상학회 33 (33): 35-66, 2015
8 조장옥, "거시경제학의 눈으로 본 식민지 근대화론" 한국경제학회 65 (65): 5-48, 2017
9 허수열, "개발 없는 개발 : 일제하, 조선경제 개발의 현상과 본질" 은행나무 2011
10 金子文夫, "第1次大戰後の對植民地投資-中小商工業者の進出を中心に" 51 : 720-767, 1986
1 김낙년, "한국의 장기통계: 국민계정 1911-2010" 서울대출판문화원 2012
2 김낙년, "한국의 장기통계(Ⅰ,Ⅱ)" 해남 2018
3 문명기, "일제하 대만⋅조선총독부의 세출구조 비교분석" 한국학연구소 44 : 409-454, 2015
4 정용석, "식민지조선에 투자된 일본자본의 규모와 구성내용" 21 : 253-273, 2002
5 김낙년, "식민지기 대만과 조선의 공업화 비교" 29 : 73-109, 2000
6 정용석, "식민지기 1인당 쌀 소비량과 연관변수들과의 관계구조와 그 변화의 의미" 경제사학회 43 (43): 361-398, 2019
7 정용석, "부산시 세입, 세출, 지역소득의 연관관계분석 : 바람직한 재정운용방법의 모색" 한국경제통상학회 33 (33): 35-66, 2015
8 조장옥, "거시경제학의 눈으로 본 식민지 근대화론" 한국경제학회 65 (65): 5-48, 2017
9 허수열, "개발 없는 개발 : 일제하, 조선경제 개발의 현상과 본질" 은행나무 2011
10 金子文夫, "第1次大戰後の對植民地投資-中小商工業者の進出を中心に" 51 : 720-767, 1986
11 木村光彦, "第1次大戰後の對植民地投資" 51 : 1986
12 堀 和生, "朝鮮における植民地財政の展開" 5⋅6 : 1982
13 河合和男, "朝鮮における日窯コンシエルン" 不二出版 1985
14 溝口敏行, "旧日本植民地經濟統計" 東洋經濟新報社 1988
15 平井廣一, "日本植民地財政の展開と構造" 47 : 1982
16 金子文夫, "日本帝國主義史Ⅰ" 東京大學出版會 1985
17 日本大藏省管理局, "日本人の海外活動に關する歷史的調査 3, 朝鮮篇(下)" 고려서림 1985
18 吉野直行, "公共投資の経済効果" 日本評論社 1999
19 尾高煌之助, "アジア長期経済統計(Ⅰ)台湾" 東洋経済新報社 2008
20 Pritchett, L., "The tyranny of concepts: CUDIE (cumulated, depreciated, investment effort) is not capital" 5 (5): 361-384, 2000
21 Cumings, B., "The Legacy of Japanese Colonialism in Korea”. In The Japanese Colonial Empire, 1895-1945" PrincetonUniversity Press 1987
22 Duss, P., "The Japanese colonial empire 1895-1945" Princeton 1984
23 Swada, Y., "The Impacts of Infrastructure in De ve lopme nt: A Sele ctive Survey" ADBI(Asian Development Bank Institute) 2015
24 Kimura, M., "The Economics of Japanese imperialism in Korea, 1910-1939" 48 (48): 555-574, 1995
25 Kamps, C., "The Dynamic Macroeconomic Effects of Public Capital. Theory and Evidence for OECD Countries" 86 (86): 308-312, 2005
26 IMF, "Some Misconceptions about Public Investment Efficiency and Growth" IMF 2015
27 Holtz-Eakin, D., "Public-Sector Capital and the Productivity Puzzle" 76 (76): 12-21, 1994
28 Maddison, A., "Public policy and economic development: essays in honor of I. Little" Oxford 1990
29 Gourevitch, P. A., "Political Power and Corporate Control : The New Global Politics of Corporate Governance"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05
30 Eckert, C. J., "Offspring of Empire" Washington Univ. Press 1991
31 Booth, A., "Japanese Colonialism in Comparative Perspective" 1-70, 2016
32 McClain, J. L., "Japan: A Modern History" W.W. Norton 2002
33 Evans, P., "Is government capital productive? Evidence from a panel of seven countries" 16 (16): 271-279, 1994
34 Aschauer, D. A., "Is Public Expenditure Productive?" 23 : 177-200, 1989
35 Mizoguchi, T., "Economic Growth of Korea under the Japanese Occupation -Background of Industrialization of Korea 1911-1940" 20 (20): 1-19, 1976
36 Aschauer, D. A., "Does Public Capital Crowd Out Private Capital?" 24 : 171-188, 1989
37 Estache, A., "Current Debates on Infrastructure Policy" The World Bank 4410-, 2007
38 Pesaran, M. H., "Bounds Testing Approaches to the Analysis of Level Relationships" 16 (16): 289-326, 2001
39 정용석, "1911-1936년간 총독부 재정의 운용 방식에 대한 일고찰- 세입‧세출의 연관구조와 경제성장에 대한 영향을 중심으로-" 경제사학회 41 (41): 395-436, 2017
중소기업의 혁신활동에 있어 정보원천이 혁신성과에 미치는 영향요인 : 혁신협력활동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미국 TBT가 한국의 부가가치 기준 수출에 미치는 영향
Corporate Governance and Bank Performance: Empirical Evidence from Vietnamese Listed Banks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5-08-25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한국국민경제학회 -> 한국경제통상학회영문명 : The Korean National Economic Association -> The Korean Economic and Business Association | ![]() |
200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2-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 | 0.46 | 0.58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54 | 0.53 | 0.924 | 0.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