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프로이트의 정신분석학에서 밀어내기(Verdrängung)의 역할 = The Role of Verdrängung in Freud’s Psychoanalysi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49371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프로이트가 정신분석학의 중심 개념으로 삼은 Verdrängung이 ‘억압(抑壓)’으로 번역된 결과 일상적 의미와 혼용되어 정신분석학적 개념은 자주 무시되고 중요한 위치는 격하되었다. 본 연구는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적절한 번역어로 ‘밀어내기’, ‘가두기’를 제안하며 정신분석학에서 Verdrängung의 역할을 재조명했다. 밀어내기는 분석 기법의 조타수이자 인간 이해의 출발이다. 기법 측면에서 밀어내기가 작동하기 위해서는 인력과 척력 두 힘의 작용이 필요하며 밀어내기 과정 중에 정동과 표상은 분리되어 각기 다른 변천을 겪는다는 것을 이해해야한다. 이것은 인간의 기억체계는 성층화 구조라는 이론과 결부되어 분석 기법을 발전시켰다. 프로이트는 이성적이고 합리적인 인간관과 다르게 인간을 정신과 육체가 무의식으로 연결되어 있는 불완전한 존재로 생각한다. 밀어내기는 무의식의 시원이자 자아 출현 기제다. 그가 평생에 걸쳐 φ ψ ω 시스템, 무의식·전의식·의식 시스템, 그거, 자아, 초자아로 인간 정신 활동을 설명하는 배경에는 밀어내기가 작동하며 전, 후기 이론을 연결한다. 정신분석학은 “나는 누구인가”라는 질문에 답을 주며 자신과의 소외를 극복하도록 돕는다. 두 힘의 대립은 타나토스와 에로스의 격돌 속에서 삶이 주조되는 것을 알게 해준다. 19세기 말에 성(에로스)을 밀어냈다면 현대인은 죽음(타나토스)을 밀어내고 있다. 밀어내 잘 가둔 줄 알았던 것들은 증상, 꿈, 말실수 등으로 돌아온다. 이것을 위해 필자는 인간 정신의 보편 구조를 +A-A=X 도식으로 설명하는 시도를 했다.
      번역하기

      프로이트가 정신분석학의 중심 개념으로 삼은 Verdrängung이 ‘억압(抑壓)’으로 번역된 결과 일상적 의미와 혼용되어 정신분석학적 개념은 자주 무시되고 중요한 위치는 격하되었다. 본 연구...

      프로이트가 정신분석학의 중심 개념으로 삼은 Verdrängung이 ‘억압(抑壓)’으로 번역된 결과 일상적 의미와 혼용되어 정신분석학적 개념은 자주 무시되고 중요한 위치는 격하되었다. 본 연구는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적절한 번역어로 ‘밀어내기’, ‘가두기’를 제안하며 정신분석학에서 Verdrängung의 역할을 재조명했다. 밀어내기는 분석 기법의 조타수이자 인간 이해의 출발이다. 기법 측면에서 밀어내기가 작동하기 위해서는 인력과 척력 두 힘의 작용이 필요하며 밀어내기 과정 중에 정동과 표상은 분리되어 각기 다른 변천을 겪는다는 것을 이해해야한다. 이것은 인간의 기억체계는 성층화 구조라는 이론과 결부되어 분석 기법을 발전시켰다. 프로이트는 이성적이고 합리적인 인간관과 다르게 인간을 정신과 육체가 무의식으로 연결되어 있는 불완전한 존재로 생각한다. 밀어내기는 무의식의 시원이자 자아 출현 기제다. 그가 평생에 걸쳐 φ ψ ω 시스템, 무의식·전의식·의식 시스템, 그거, 자아, 초자아로 인간 정신 활동을 설명하는 배경에는 밀어내기가 작동하며 전, 후기 이론을 연결한다. 정신분석학은 “나는 누구인가”라는 질문에 답을 주며 자신과의 소외를 극복하도록 돕는다. 두 힘의 대립은 타나토스와 에로스의 격돌 속에서 삶이 주조되는 것을 알게 해준다. 19세기 말에 성(에로스)을 밀어냈다면 현대인은 죽음(타나토스)을 밀어내고 있다. 밀어내 잘 가둔 줄 알았던 것들은 증상, 꿈, 말실수 등으로 돌아온다. 이것을 위해 필자는 인간 정신의 보편 구조를 +A-A=X 도식으로 설명하는 시도를 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Freud, S., "히스테리 연구" 열린책들 2006

      2 Borch-Jacobsen, M., "프로이트의 숨겨진 환자들" 지와사랑 2022

      3 이경희, "프로이트의 꿈의 해석 읽기" 세창미디어 2020

      4 강응섭, "프로이트 읽기" 세창미디어 2021

      5 이정민, "프로이트 이론의 번역어에 대한 고찰: Verdrängung(억압)을 중심으로" 한국비교문학회 (69) : 229-263, 2016

      6 김진석, "제 살 깍아먹는 프로이트" 62-95, 1996

      7 Freud, S., "정신분석학의 근본 개념" 열린책들 2017

      8 Freud, S., "정신분석학의 근본 개념" 열린책들 2017

      9 Freud, S., "정신분석학의 근본 개념" 열린책들 2017

      10 Freud, S., "정신분석학의 근본 개념" 열린책들 2017

      1 Freud, S., "히스테리 연구" 열린책들 2006

      2 Borch-Jacobsen, M., "프로이트의 숨겨진 환자들" 지와사랑 2022

      3 이경희, "프로이트의 꿈의 해석 읽기" 세창미디어 2020

      4 강응섭, "프로이트 읽기" 세창미디어 2021

      5 이정민, "프로이트 이론의 번역어에 대한 고찰: Verdrängung(억압)을 중심으로" 한국비교문학회 (69) : 229-263, 2016

      6 김진석, "제 살 깍아먹는 프로이트" 62-95, 1996

      7 Freud, S., "정신분석학의 근본 개념" 열린책들 2017

      8 Freud, S., "정신분석학의 근본 개념" 열린책들 2017

      9 Freud, S., "정신분석학의 근본 개념" 열린책들 2017

      10 Freud, S., "정신분석학의 근본 개념" 열린책들 2017

      11 Freud, S., "정신분석학 개요" 열린책들 2017

      12 Freud, S., "정신분석학 개요" 열린책들 2017

      13 Freud, S., "정신분석학 개요" 열린책들 2017

      14 Freud, S., "정신분석의 탄생" 열린책들 2016

      15 Freud, S., "정신분석의 탄생" 열린책들 2016

      16 Freud, S., "일상생활의 정신 병리학" 열린책들 2007

      17 Lacan, J., "세미나11: 정신분석의 네 가지 근본 개념" 새물결 2008

      18 Freud, S., "성욕에 관한 세편의 에세이" 열린책들 2012

      19 Freud, S., "성욕에 관한 세 편의 에세이" 열린책들 2017

      20 Freud, S., "새로운 정신분석 강의" 열린책들 2018

      21 Kant, E., "비판기 이전 저작Ⅲ(1763-1777)" 한길사 2021

      22 Elias, N., "매너의 역사<문명화과정>" 신서원 2001

      23 Freud, S., "늑대 인간" 열린책들 2009

      24 Freud, S., "끝이 있는 분석과 끝이 없는 분석" 열린책들 2018

      25 Freud, S., "끝이 있는 분석과 끝이 없는 분석" 열린책들 2018

      26 Freud, S., "끝낼 수 있는 분석과 끝낼 수 없는 분석" 도서출판 2004

      27 Freud, S., "Aus Den Anfangen der Psychoanalyse" Imago Publishing Co., Ltd 195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