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논문은 코로나 시대의 비대면 상황 속에서 디지털 미디어 경험이 바꿔놓은 인간의 공간적 구조와 심리적 구조를 살펴보고, 들뢰즈의 무인도 이론을 적용해서 달라진 심리적 구조를 해석...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8493719
정지은 (홍익대학교)
2023
Korean
들뢰즈 ; 투르니에 ; 무인도 ; 도착증 ; 정신증 ; 타인-구조 ; 가능 세계 ; 지각 ; Deleuze ; Tournier ; Desert island ; Pervers ; Psychose ; Other as Structure ; Possible world ; Perception.
KCI등재
학술저널
115-145(31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코로나 시대의 비대면 상황 속에서 디지털 미디어 경험이 바꿔놓은 인간의 공간적 구조와 심리적 구조를 살펴보고, 들뢰즈의 무인도 이론을 적용해서 달라진 심리적 구조를 해석...
이 논문은 코로나 시대의 비대면 상황 속에서 디지털 미디어 경험이 바꿔놓은 인간의 공간적 구조와 심리적 구조를 살펴보고, 들뢰즈의 무인도 이론을 적용해서 달라진 심리적 구조를 해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디지털 미디어 시대의 인간은 스크린 위에서 타자들과 만나며 이때의 타자들에 대한 경험은 현실적인 지각 공간 안에서의 타자들에 대한 경험과 차이를 갖는다. 미디어 세상 속 인간은 무인도의 거주자처럼 자신만의 공간에서 실제적인 타자가 부재한 상태로 세상을 경험한다. 들뢰즈는 무인도를 다룬 두 논문에서 타인-구조가 부재하는 무인도 속에서 인간이 도착증에서 정신증으로 향해가는 과정을 서술한다. 무인도는 한편으로 인공적인 대륙의 질서로부터 완전한 분리와 재창조가 일어나는 장소이고 다른 한편으로 인공물들의 모든 깊이가 소멸되고 유기체적 인간이 파편화되고 분열되어 감각들의 표면과 합류하는 장소이다. 들뢰즈는 투르니에의 로뱅송을 통해서 타인-구조의 소멸의 효과로서 인간과 자연의 완전한 합류를 상상한다. 비대면 세계의 미디어적 인간은 실제적인 타인-구조의 부재 속에서 자신의 신체와 자신의 사적이고 친밀한 공간을 소유하고 향유하는바, 이것은 공간적 구조에 있어서 들뢰즈의 무인도 거주자와 공통점을 갖는 것처럼 보인다. 공간적 구조의 유사성은 무의식적 구조의 유사성으로 이어질 수 있으며, 그런 의미에서 비대면 세계의 미디어 속 인간과 무인도 거주자의 무의식적 구조를 비교할 수 있다. 즉 현실적인 지각적 공간으로부터 완전히 분리된 미디어적 인간은 도착증적 주체, 나아가 분열증으로 진행될 수 있다.
참고문헌 (Reference)
1 신양섭, "포스트 미디어 개념의 논쟁적 지평들" 한국디지털영상학회 16 (16): 57-82, 2019
2 조현수, "질 들뢰즈의 ‘마조히즘’ 읽기" 세창미디어 2020
3 Merleau-Ponty, M., "지각의 현상학" 문학과지성사 2002
4 Deleuze, G., "의미의 논리" 한길사 1999
5 Deleuze, G., "안티 오이디푸스" 민음사 2014
6 Zizek, S., "신체없는 기관" 도서출판b 2006
7 Tournier, M., "방드르디, 태평양의 끝" 민음사 2021
8 Dor, J., "라깡과 정신분석임상: 구조와 도착증" 아난케 2013
9 Scarry, E., "고통받는 몸" 오월의봄 2018
10 Deleuze, G., "L’île déserte et les autres essais : textes et entretiens 1953-1974" Ed. de Minuit 2002
1 신양섭, "포스트 미디어 개념의 논쟁적 지평들" 한국디지털영상학회 16 (16): 57-82, 2019
2 조현수, "질 들뢰즈의 ‘마조히즘’ 읽기" 세창미디어 2020
3 Merleau-Ponty, M., "지각의 현상학" 문학과지성사 2002
4 Deleuze, G., "의미의 논리" 한길사 1999
5 Deleuze, G., "안티 오이디푸스" 민음사 2014
6 Zizek, S., "신체없는 기관" 도서출판b 2006
7 Tournier, M., "방드르디, 태평양의 끝" 민음사 2021
8 Dor, J., "라깡과 정신분석임상: 구조와 도착증" 아난케 2013
9 Scarry, E., "고통받는 몸" 오월의봄 2018
10 Deleuze, G., "L’île déserte et les autres essais : textes et entretiens 1953-1974" Ed. de Minuit 2002
11 Aulagnier-Spairani, P., "Le désir et la perversion" Ed. de Seuil 1967
12 Montebello, P., "Deleuze, Une anti-phénoménologie?" 13 : 2011
정신분석 임상에서 도착증자의 전이 양상과 분석가의 역할
프로이트의 정신분석학에서 밀어내기(Verdrängung)의 역할
분열분석(들뢰즈), 정신분석 그리고 헤겔 철학에 관한 비교 연구 III - 들뢰즈의 안티 오이디푸스와 천 개의 고원에 대한 정신분석적, 헤겔철학적 관점에서의 비판적 고찰
와해된 언어를 사용하는 정신증 환자의 치료에 있어서 정신분석의 언어적 해석 기법에 대한 비온의 견해 고찰 베이트슨, 비고츠키, 뇌신경학에 기반하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