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분열분석(들뢰즈), 정신분석 그리고 헤겔 철학에 관한 비교 연구 III - 들뢰즈의 안티 오이디푸스와 천 개의 고원에 대한 정신분석적, 헤겔철학적 관점에서의 비판적 고찰 = A Comparatative Study on the Schizoanalysis, Psychoanalysis and the Philosophy of Hegel III from the Perspective of the Psychoanalysis, the Philosophy of Hegel, focused on the Deleuze’s Anti-Oedipus and Thousand Plateau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49371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헤겔 철학 그리고 정신분석의 관점에서 특히 후기 들뢰즈 철학을 비판적으로 고찰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초기 들뢰즈는 자신의 필요에 따라 정신분석을 취사선택적으로 수용했지만, 특히 가타리와의 공동 저작인 󰡔안티 오이디푸스󰡕 이후부터는 정신분석을 근본적이고 철저하게 비판하는 입장으로 전환한다. 이러한 입장 변화는 들뢰즈 철학과 정신분석과의 관계에 관한 문제를 우리에게 제기한다. 전기 들뢰즈와 후기 들뢰즈의 정신분석 수용의 유사점과 차이점은 무엇이며, 이러한 입장 변화가 이론적, 실천적으로 설득력 있는지 등에 관한 보다 근본적인 논의가 필요하다. 그러나 국내외의 대부분의 연구가 이러한 문제에 대해 체계적인 대답을 제시하지 않거나 대답을 회피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특히 󰡔안티 오이디푸스󰡕와 󰡔천 개의 고원󰡕을 중심으로 후기 들뢰즈의 존재론적, 철학적 입장을 비판적으로 재구성하고, 특히 정신분석 및 헤겔 철학의 맥락에서 후기 들뢰즈 이론이 갖는 이론적 실천적 문제점들에 대해 비판적으로 탐구한다. 󰡔안티 오이디푸스󰡕에서 들뢰즈는 정신분석을 철저히 비판하는 쪽으로 선회하고 ‘분열증’을 특권화하지만, 이는 사실 정신분석적 개념, 그리고 정신분석적으로 재해석된 스피노자의 개념을 오히려 이용하는 자기 모순에 빠진다. 그리하여 그는 󰡔천 개의 고원󰡕에서는 보다 철학적이고 존재론적인 비임상적 개념을 더욱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방향으로 나아간다. 본 연구는 이러한 쟁점을 재구성할 것이며, 더 나아가 들뢰즈가 물론 명시적으로 언급하지 않지만 헤겔 철학을 오히려 더욱 헤겔적으로 수용하는 경향을 보이게 되었음을 보일 것이다. 이를 통해 후기 들뢰즈, 헤겔 철학, 정신분석의 관계를 비판적으로 재구성할 것이며, 끝으로 포스트마르크스주의의 길을 열었던 후기 들뢰즈 철학이 갖고 있는 정치철학적 난점에 대해 비판적으로 고찰할 것이다.
      번역하기

      이 논문은 헤겔 철학 그리고 정신분석의 관점에서 특히 후기 들뢰즈 철학을 비판적으로 고찰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초기 들뢰즈는 자신의 필요에 따라 정신분석을 취사선택적으로 수용했...

      이 논문은 헤겔 철학 그리고 정신분석의 관점에서 특히 후기 들뢰즈 철학을 비판적으로 고찰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초기 들뢰즈는 자신의 필요에 따라 정신분석을 취사선택적으로 수용했지만, 특히 가타리와의 공동 저작인 󰡔안티 오이디푸스󰡕 이후부터는 정신분석을 근본적이고 철저하게 비판하는 입장으로 전환한다. 이러한 입장 변화는 들뢰즈 철학과 정신분석과의 관계에 관한 문제를 우리에게 제기한다. 전기 들뢰즈와 후기 들뢰즈의 정신분석 수용의 유사점과 차이점은 무엇이며, 이러한 입장 변화가 이론적, 실천적으로 설득력 있는지 등에 관한 보다 근본적인 논의가 필요하다. 그러나 국내외의 대부분의 연구가 이러한 문제에 대해 체계적인 대답을 제시하지 않거나 대답을 회피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특히 󰡔안티 오이디푸스󰡕와 󰡔천 개의 고원󰡕을 중심으로 후기 들뢰즈의 존재론적, 철학적 입장을 비판적으로 재구성하고, 특히 정신분석 및 헤겔 철학의 맥락에서 후기 들뢰즈 이론이 갖는 이론적 실천적 문제점들에 대해 비판적으로 탐구한다. 󰡔안티 오이디푸스󰡕에서 들뢰즈는 정신분석을 철저히 비판하는 쪽으로 선회하고 ‘분열증’을 특권화하지만, 이는 사실 정신분석적 개념, 그리고 정신분석적으로 재해석된 스피노자의 개념을 오히려 이용하는 자기 모순에 빠진다. 그리하여 그는 󰡔천 개의 고원󰡕에서는 보다 철학적이고 존재론적인 비임상적 개념을 더욱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방향으로 나아간다. 본 연구는 이러한 쟁점을 재구성할 것이며, 더 나아가 들뢰즈가 물론 명시적으로 언급하지 않지만 헤겔 철학을 오히려 더욱 헤겔적으로 수용하는 경향을 보이게 되었음을 보일 것이다. 이를 통해 후기 들뢰즈, 헤겔 철학, 정신분석의 관계를 비판적으로 재구성할 것이며, 끝으로 포스트마르크스주의의 길을 열었던 후기 들뢰즈 철학이 갖고 있는 정치철학적 난점에 대해 비판적으로 고찰할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홍준기, "피케티의 ‘21세기 자본’과 사회적 국가" 한울 2016

      2 J. Dor, "프로이트, 라캉 정신분석임상" 아난케 2005

      3 Deleuze, G., "천개의 고원: 자본주의와 분열증 2" 새물결 2001

      4 Deleuze, G., "차이와 반복" 민음사 2004

      5 Lacan, J., "정신분석의 네 가지 근본 개념" 새물결 2008

      6 Negri, A., "전복적 스피노자" 그린비 2005

      7 Commonspace, "자본의 코뮤니즘, 우리의 코뮤니즘" 난장 2012

      8 Deleuze, G., "안티 오이디푸스: 자본주의와 분열증" 민음사 1997

      9 Kant, I., "순수이성비판" 아카넷 2006

      10 홍준기, "분열분석(들뢰즈), 정신분석 그리고 헤겔 철학에 관한 비교 연구 1: 잠재성, 차이, 부정성, 모순, 강도, 미분, 무의식, 죽음충동 개념을 중심으로" 한국현대정신분석학회 23 (23): 185-226, 2021

      1 홍준기, "피케티의 ‘21세기 자본’과 사회적 국가" 한울 2016

      2 J. Dor, "프로이트, 라캉 정신분석임상" 아난케 2005

      3 Deleuze, G., "천개의 고원: 자본주의와 분열증 2" 새물결 2001

      4 Deleuze, G., "차이와 반복" 민음사 2004

      5 Lacan, J., "정신분석의 네 가지 근본 개념" 새물결 2008

      6 Negri, A., "전복적 스피노자" 그린비 2005

      7 Commonspace, "자본의 코뮤니즘, 우리의 코뮤니즘" 난장 2012

      8 Deleuze, G., "안티 오이디푸스: 자본주의와 분열증" 민음사 1997

      9 Kant, I., "순수이성비판" 아카넷 2006

      10 홍준기, "분열분석(들뢰즈), 정신분석 그리고 헤겔 철학에 관한 비교 연구 1: 잠재성, 차이, 부정성, 모순, 강도, 미분, 무의식, 죽음충동 개념을 중심으로" 한국현대정신분석학회 23 (23): 185-226, 2021

      11 Bogue, R., "들뢰즈와 가타리" 중원문화 1995

      12 Badiou, A., "들뢰즈―존재의 함성" 이학사 2001

      13 Hardt, M., "들뢰즈 사상의 진화" 갈무리 2004

      14 Villani, A., "들뢰즈 개념어 사전" 갈무리 2012

      15 Hegel, G. W. F., "대논리학 III" 벽호 1997

      16 Hegel, G. W. F., "대논리학 I" 벽호 1997

      17 Riedel, M., "Studien zu Hegels Rechtsphilosophie" Suhrkamp 1969

      18 Deleuze, G., "Spinoza: Philosophie pratique" 민음사 1999

      19 Lacan, J., "Le Seminaire IX: Identification" inedit 1961

      20 Dor, J., "Introduction à la lecture de Lacan" Denoël 1992

      21 Henrich, D., "Hegel im Kontext" Frankfurt am Main 1981

      22 Lacan, J., "Discours à l’E. F. P. Scilicet, Vol. I" Seuil 1970

      23 Lacan, J., "Comtes rendu(1964-68). Ornicar?" Navarin 198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