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중학교 학생들의 시각적 예가 없는 기하문제해결과정 분석 = Analysis on Geometric Problem Solving without Diagrams of Middle School Studen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78191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Researchers have suggested that students should be experienced in progress of geometric thinking set out in naive and intuitive level and deduced throughout gradual formalization rather than completed mathematics are conveyed to students for students' understanding. This study examined naive and intuitive thinking of students by investigating students' geometric problem solving without diagrams. The students showed these naive thinking: lack of recognition of relation between problem and conditions, use of intuitive judgement depending on diagrams, lacking in understanding of role of specific case, and use of unjustified assumption. This study suggests implication for instruction in geometry.
      번역하기

      Researchers have suggested that students should be experienced in progress of geometric thinking set out in naive and intuitive level and deduced throughout gradual formalization rather than completed mathematics are conveyed to students for students'...

      Researchers have suggested that students should be experienced in progress of geometric thinking set out in naive and intuitive level and deduced throughout gradual formalization rather than completed mathematics are conveyed to students for students' understanding. This study examined naive and intuitive thinking of students by investigating students' geometric problem solving without diagrams. The students showed these naive thinking: lack of recognition of relation between problem and conditions, use of intuitive judgement depending on diagrams, lacking in understanding of role of specific case, and use of unjustified assumption. This study suggests implication for instruction in geometr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연구자들은 수학의 진정한 이해를 위해 단순히 완성된 체계를 전달할 것이 아니라 학생들이 소박하고 직관적 수준에서 출발하여 점진적인 형식화 단계를 거쳐 연역적인 체계로 나아가는 경험을 할 수 있도록 지도할 것을 제안해 왔다. 본 연구에서는 학생들의 시각적 예가 제시되지 않은 기하문제해결과정을 분석하여 학생들의 소박한 기하적 사고에는 어떠한 것이 있는지 조사하였다. 학생들이 보여준 소박한 사고에는 첫째, 조건과 문제의 관련성에 대한 이해 부족, 둘째, 시각적 자료에 의존한 직관적 판단의 활용, 셋째, 기하에서 특수한 사례의 역할에 대한 이해 부족, 넷째, 정당화되지 않은 가정의 사용 등이 확인되었다. 이를 교수학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 역시 논의되었다.
      번역하기

      연구자들은 수학의 진정한 이해를 위해 단순히 완성된 체계를 전달할 것이 아니라 학생들이 소박하고 직관적 수준에서 출발하여 점진적인 형식화 단계를 거쳐 연역적인 체계로 나아가는 경...

      연구자들은 수학의 진정한 이해를 위해 단순히 완성된 체계를 전달할 것이 아니라 학생들이 소박하고 직관적 수준에서 출발하여 점진적인 형식화 단계를 거쳐 연역적인 체계로 나아가는 경험을 할 수 있도록 지도할 것을 제안해 왔다. 본 연구에서는 학생들의 시각적 예가 제시되지 않은 기하문제해결과정을 분석하여 학생들의 소박한 기하적 사고에는 어떠한 것이 있는지 조사하였다. 학생들이 보여준 소박한 사고에는 첫째, 조건과 문제의 관련성에 대한 이해 부족, 둘째, 시각적 자료에 의존한 직관적 판단의 활용, 셋째, 기하에서 특수한 사례의 역할에 대한 이해 부족, 넷째, 정당화되지 않은 가정의 사용 등이 확인되었다. 이를 교수학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 역시 논의되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Mason, J., "질적연구 방법론" 나남출판 1999

      2 임태규, "중학교 학생들의 수학문제 해결과정에서 직관적 사고에 대한 오류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3 교육과학기술부, "중학교 교육과정 해설(Ⅲ) - 수학, 과학, 기술․가정 -" 대한교과서 주식회사 2008

      4 Merriam, S. B., "정성연구방법론과 사례연구" 교우사 2005

      5 권석일, "우리나라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에서의 입체도형 관련 지도 내용에 대한 분석과 비판" 대한수학교육학회 21 (21): 221-237, 2011

      6 김남희, "예비교사와 현직교사를 위한 수학교 육과정과 교재연구" 경문사 2011

      7 류성림, "아동의 공간 직관력 향상을 위한지도 방법에 대한 고찰" 8 : 91-105, 1999

      8 우정호, "수학 학습-지도 원리와 방법"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1

      9 Fischbein, E., "수학 과학 학습과 직관" 경문사 2006

      10 김진희, "문제제시 형태가 기하 문제 해결에 미치는 영향"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1 Mason, J., "질적연구 방법론" 나남출판 1999

      2 임태규, "중학교 학생들의 수학문제 해결과정에서 직관적 사고에 대한 오류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3 교육과학기술부, "중학교 교육과정 해설(Ⅲ) - 수학, 과학, 기술․가정 -" 대한교과서 주식회사 2008

      4 Merriam, S. B., "정성연구방법론과 사례연구" 교우사 2005

      5 권석일, "우리나라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에서의 입체도형 관련 지도 내용에 대한 분석과 비판" 대한수학교육학회 21 (21): 221-237, 2011

      6 김남희, "예비교사와 현직교사를 위한 수학교 육과정과 교재연구" 경문사 2011

      7 류성림, "아동의 공간 직관력 향상을 위한지도 방법에 대한 고찰" 8 : 91-105, 1999

      8 우정호, "수학 학습-지도 원리와 방법"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1

      9 Fischbein, E., "수학 과학 학습과 직관" 경문사 2006

      10 김진희, "문제제시 형태가 기하 문제 해결에 미치는 영향"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11 주홍연, "문제 해결 과정에서 나타나는 수학적 시각화의 구성 요소 및 활용에 관한 분석" 대한수학교육학회 14 (14): 1-28, 2012

      12 나귀수, "기하 교육에서 공간적 사고의 중요성에 대한 고찰" 6 (6): 189-201, 1996

      13 정은화, "그림을 이용한 기하 문제 해결 과정에 대한 사례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7

      14 이종희, "공간 능력 신장을 위한지도방안과 그 효과에 관한 분석" 5 (5): 169-185, 1995

      15 Zimmermann, W., "Visualization in teaching and learning mathematics" Mathematical Association of America 1991

      16 Hershkowitz, R., "Visualization in geometry-two sides of the coin" 11 : 61-76, 1989

      17 Dvora, T., "Unjustified assumptions based on diagrams in geometry" Norway 2 : 311-318, 2004

      18 Arcavi, A., "The role of visual representations in the learning of mathematics" 52 : 212-241, 2003

      19 Hintikka, J., "The method of analysis : its geometrical origin and its general significance" D. Reidel publishing company 1974

      20 Bishop, A. J., "Space and geometry, In Acquisition of mathematics concepts and processes" Academic Press 173-203, 1983

      21 Yerushalmy, M., "Overcoming visual obstacles with the aid of the supposer" 21 : 199-219, 1990

      22 Zodik, I., "Is a visual example in geometry always helpful?" PME 4 : 265-272, 2007

      23 Denzin, N. K., "Handbook of qualitative research" Sage 1994

      24 Behboud, A., "Greek geometrical analysis" 37 : 52-86, 1994

      25 Kim. J. -H., "Are gifted students aware of unjustified assumptions in geometric construction?" 3 : 337-344, 2009

      26 Merriam, S. B., "A guide to research for educators and trainers of adults" Robert E. Krieger 199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1 0.91 1.1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5 1.03 1.504 0.2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