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2015 개정 교육과정과 고등학교 『연기』 교과서 연계 분석 - 성취기준을 중심으로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49773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교육과정이 교육현장에서 실현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교수학적 변환 과정에 관심을 두고,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성취기준을 중심으로 『연기』 교과서를 연계 분석하고 향후 교육과정 개정 및 교과서 개발, 수정을 위한 시사점을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분석 결과, 각 소단원별 학습목표는 총 36개를 제시하고 있는데, 16개의 학습목표는 각 성취기준을 달성하기에 적절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20개의 학습목표는 부적절 한 것으로 나타났다. 부적절한 학습 목표의 양상은 ① 학습활동의 부족으로 확장이 필요한 학습목표, ② 학습내용 및 활동의 누락으로 추가가 필요한 학습목표, ③ 상세화가 필요한 학습목표로 나눌 수 있다. 학습활 동의 경우, 97개의 성취기준별 학습활동 분석 요소 중 84개는 다양한 교과서 구성요소에서 구현되고 있으나 3개는 내용이나 활동이 누락되었으며, 10개는 [작은 매듭짓기]와 [큰 매듭짓기]에서 포괄적으로 언급하는 정도로 구현하고 있다. 학습활동은 학습량을 고려하지 않은 학습활동, 내용적 중첩이나 효율적이지 못한 삽입 이미지, 혼란을 일으키는 교과서의 진술 등의 문제점이 발견되었다. 성취기준에는 명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교과서 개발자가 학습에 도움이 된다고 판단한 학습활동을 임의로 삽입한 것이 발견되어 향후 교과서 개발이나 교육과정 개정 시 그 적절성에 대한 논의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차후 교육과정 개발 및 교과서 개정을 위하여 ① 교육과정의 분석을 통해 상세화의 정도를 고려하여 학습 목표 설정, ② 교육과정의 암묵적 의도까지 파악하여 교과서의 학습내용 및 활동의 선정, 교과서 개발자와 교육과정 개발자간의 소통 시스템 구축, ③ 교과서 내 내용적 중첩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교과서나 교육과정 의 섬세한 진술, ④ 교과서 개발자가 임의로 삽입한 학습주제나 활동에 대한 적절성 논의 및 시사점 반영 ⑤ 학습활동의 효율성과 정확성을 위한 시청각자료의 개발 ⑥ 학습 활동의 체계적인 구성⋅전개, ⑦ 교과서의 활용 사례 연구 등을 제언하였다. 본 연구는 질적 교과서의 개발에 일조하며, 향후 연극 교육과정과 연극 교과서에 대한 담론 형성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교육과정이 교육현장에서 실현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교수학적 변환 과정에 관심을 두고,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성취기준을 중심으로 『연기』 교과서를 연계 분석하고 향후 교...

      본 연구는 교육과정이 교육현장에서 실현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교수학적 변환 과정에 관심을 두고,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성취기준을 중심으로 『연기』 교과서를 연계 분석하고 향후 교육과정 개정 및 교과서 개발, 수정을 위한 시사점을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분석 결과, 각 소단원별 학습목표는 총 36개를 제시하고 있는데, 16개의 학습목표는 각 성취기준을 달성하기에 적절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20개의 학습목표는 부적절 한 것으로 나타났다. 부적절한 학습 목표의 양상은 ① 학습활동의 부족으로 확장이 필요한 학습목표, ② 학습내용 및 활동의 누락으로 추가가 필요한 학습목표, ③ 상세화가 필요한 학습목표로 나눌 수 있다. 학습활 동의 경우, 97개의 성취기준별 학습활동 분석 요소 중 84개는 다양한 교과서 구성요소에서 구현되고 있으나 3개는 내용이나 활동이 누락되었으며, 10개는 [작은 매듭짓기]와 [큰 매듭짓기]에서 포괄적으로 언급하는 정도로 구현하고 있다. 학습활동은 학습량을 고려하지 않은 학습활동, 내용적 중첩이나 효율적이지 못한 삽입 이미지, 혼란을 일으키는 교과서의 진술 등의 문제점이 발견되었다. 성취기준에는 명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교과서 개발자가 학습에 도움이 된다고 판단한 학습활동을 임의로 삽입한 것이 발견되어 향후 교과서 개발이나 교육과정 개정 시 그 적절성에 대한 논의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차후 교육과정 개발 및 교과서 개정을 위하여 ① 교육과정의 분석을 통해 상세화의 정도를 고려하여 학습 목표 설정, ② 교육과정의 암묵적 의도까지 파악하여 교과서의 학습내용 및 활동의 선정, 교과서 개발자와 교육과정 개발자간의 소통 시스템 구축, ③ 교과서 내 내용적 중첩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교과서나 교육과정 의 섬세한 진술, ④ 교과서 개발자가 임의로 삽입한 학습주제나 활동에 대한 적절성 논의 및 시사점 반영 ⑤ 학습활동의 효율성과 정확성을 위한 시청각자료의 개발 ⑥ 학습 활동의 체계적인 구성⋅전개, ⑦ 교과서의 활용 사례 연구 등을 제언하였다. 본 연구는 질적 교과서의 개발에 일조하며, 향후 연극 교육과정과 연극 교과서에 대한 담론 형성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Having interest in the process of didactical conversion that occurs in the course realization of curriculum in school settings, this study aims to conduct a sequential analysis on the 『Acting』 textbook focusing on the achievement standard of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and obtain implications for future revision of curriculum, development and correction of the textbook. Analysis results show that each small unit suggests total 36 learning objectives respectively, and 16 learning objectives of which are considered appropriate to achieve each achievement standard, whereas 20 turned out to be inappropriate to achieve achievement standards. Learning objectives that are inappropriate can be divided into ① learning objectives that expansion of learning activities is necessary due to insufficiency of such activities, ② the ones that addition is considered necessary due to ommission of learning contents and activities and ③ learning objectives that are needed to be detailed. As for learning activity, 84 out of the elements of learning activity analysis by 97 achievement standards have been realized in various elements of textbook, but contents or activities are missing from 3 elements, and 10 elements are realizing only by mentioning comprehensively in [Making a small know] and [Making a big know]. ① establishment of learning objectives considering the degree of specification through analysis of curriculum, ② selection of learning content and activity of textbooks by understanding even the tacit intent of curriculum, and construction of communication system between textbook developer and curriculum developer, ③ delicate statement of textbook or curriculum for preventing content duplication of textbook, ④ discussion of appropriateness of learning topics or activities inserted arbitrarily by text developer and reflection of implications ⑤ development of audiovisual materials for effectiveness and accuracy of learning activity ⑥ systematic organization⋅ development of learning activity, ⑦ research of textbook application cases etc.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of help to the development of qualitative textbooks and contribute to the composition of discourse about drama curriculum and textbooks in the future.
      번역하기

      Having interest in the process of didactical conversion that occurs in the course realization of curriculum in school settings, this study aims to conduct a sequential analysis on the 『Acting』 textbook focusing on the achievement standard of 2015...

      Having interest in the process of didactical conversion that occurs in the course realization of curriculum in school settings, this study aims to conduct a sequential analysis on the 『Acting』 textbook focusing on the achievement standard of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and obtain implications for future revision of curriculum, development and correction of the textbook. Analysis results show that each small unit suggests total 36 learning objectives respectively, and 16 learning objectives of which are considered appropriate to achieve each achievement standard, whereas 20 turned out to be inappropriate to achieve achievement standards. Learning objectives that are inappropriate can be divided into ① learning objectives that expansion of learning activities is necessary due to insufficiency of such activities, ② the ones that addition is considered necessary due to ommission of learning contents and activities and ③ learning objectives that are needed to be detailed. As for learning activity, 84 out of the elements of learning activity analysis by 97 achievement standards have been realized in various elements of textbook, but contents or activities are missing from 3 elements, and 10 elements are realizing only by mentioning comprehensively in [Making a small know] and [Making a big know]. ① establishment of learning objectives considering the degree of specification through analysis of curriculum, ② selection of learning content and activity of textbooks by understanding even the tacit intent of curriculum, and construction of communication system between textbook developer and curriculum developer, ③ delicate statement of textbook or curriculum for preventing content duplication of textbook, ④ discussion of appropriateness of learning topics or activities inserted arbitrarily by text developer and reflection of implications ⑤ development of audiovisual materials for effectiveness and accuracy of learning activity ⑥ systematic organization⋅ development of learning activity, ⑦ research of textbook application cases etc.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of help to the development of qualitative textbooks and contribute to the composition of discourse about drama curriculum and textbooks in the futur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 서론
      • 1.1. 연구의 필요성
      • 1.2. 연구의 목적
      • Ⅱ. 분석 방법 및 내용
      • 국문초록
      • Ⅰ. 서론
      • 1.1. 연구의 필요성
      • 1.2. 연구의 목적
      • Ⅱ. 분석 방법 및 내용
      • 2.1. 분석 대상 및 분석의 틀 설정
      • 2.2. 분석 내용
      • Ⅲ. 분석 결과
      • 3.1. 성취기준과 학습목표의 연계 분석 결과
      • 3.2. 성취기준과 학습활동의 연계 분석 결과
      • Ⅳ.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도종훈, "활용도 높은 수학교과서의 모형 및 예시 단원 개발 연구" 한국학교수학회 19 (19): 239-260, 2016

      2 장혜원,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과 교과서의 연계 분석 - 2009 개정 교육과정 초등학교 3~4학년군을 중심으로 -" 대한수학교육학회 24 (24): 181-204, 2014

      3 이혜승, "창의성 교육 구현을 위한 체육 교과서의 내용 분석 방향 및 체계 탐색" 한국교육문제연구소 34 (34): 115-133, 2016

      4 이승배, "중학교 체육교과서의 영역형 경쟁 활동 내용구성 체제 분석" 한국스포츠교육학회 18 (18): 91-108, 2011

      5 배종수, "좋은 교과서의 조건들" 39 : 22-26, 2002

      6 정혜승, "좋은 國語 敎科書의 요건과 單元 構成의 방향" 한국어문교육연구회 34 (34): 379-400, 2006

      7 교육부, "예술 계열 전문 교과 교육과정"

      8 박연옥, "예비 화학교사들의 학생 오개념에 대한 지식과 교육 요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2

      9 박소연, "예비 역사교사들의 교과서 평가에 나타난 특징 연구 - 고등학교 <한국사> 교과서를 중심으로 -" 한국역사교육학회 (30) : 41-80, 2018

      10 오세곤, "연기" 서울특별시교육청 2019

      1 도종훈, "활용도 높은 수학교과서의 모형 및 예시 단원 개발 연구" 한국학교수학회 19 (19): 239-260, 2016

      2 장혜원,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과 교과서의 연계 분석 - 2009 개정 교육과정 초등학교 3~4학년군을 중심으로 -" 대한수학교육학회 24 (24): 181-204, 2014

      3 이혜승, "창의성 교육 구현을 위한 체육 교과서의 내용 분석 방향 및 체계 탐색" 한국교육문제연구소 34 (34): 115-133, 2016

      4 이승배, "중학교 체육교과서의 영역형 경쟁 활동 내용구성 체제 분석" 한국스포츠교육학회 18 (18): 91-108, 2011

      5 배종수, "좋은 교과서의 조건들" 39 : 22-26, 2002

      6 정혜승, "좋은 國語 敎科書의 요건과 單元 構成의 방향" 한국어문교육연구회 34 (34): 379-400, 2006

      7 교육부, "예술 계열 전문 교과 교육과정"

      8 박연옥, "예비 화학교사들의 학생 오개념에 대한 지식과 교육 요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2

      9 박소연, "예비 역사교사들의 교과서 평가에 나타난 특징 연구 - 고등학교 <한국사> 교과서를 중심으로 -" 한국역사교육학회 (30) : 41-80, 2018

      10 오세곤, "연기" 서울특별시교육청 2019

      11 변영계, "수업설계" 학지사 2003

      12 박태호, "수석교사와 함께하는 학생배움중심의 중등 PCK수업설계" 아카데미프레스 2016

      13 강대현, "사회과 교과서 단원 구성 체제와 내용 제시 방식 분석 - 2015 개정 중학교 ‘사회’ 교과서를 중심으로 -" 한국사회과교육학회 52 (52): 1-35, 2020

      14 조승재, "블록타임제 수업에서의 어려움에 대한 질적 연구 : 고등학교 사회과 교사들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15 이송하, "미적경험의 성장으로서의 예술교육 : 예술교육의 대안 탐색" 교육연구소 26 (26): 1089-1106, 2020

      16 유현숙, "교사교육에 대한 새로운 요구와 방향" 한국교원교육학회 19 (19): 127-146, 2002

      17 주형미, "교과서 완결 학습 체제 구현 방안 탐색"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4

      18 백남진, "교과서 내용 구성의 방향 탐색" 교육과학연구소 39 (39): 239-267, 2008

      19 권혜미, "고등학교 미술교과 블록타임제 활성화를 위한 교수⋅학습 방안 연구" 인천대학교대학원 2016

      20 이광우, "개정 교육과정에서의 핵심 개념, 핵심 역량" 11-29, 2015

      21 Bosch, M., "Twenty-five years of the didactic transposition" ICMI Bulletin 58-, 2006

      22 Winsløw, C., "Anthropological theory of didactic phenomena: some examples and principles of its use in the study of mathematics education" Un Panorama de TAD, CRM Docume 117-138, 2011

      23 이경숙, "Anderson이 개정한 ‘Bloom의 신교육목표 분류체계’에 의한 2007 개정 고등학교 기술·가정 교과서에 제시된 인지적 학습목표 및 성취기준 분석"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3 (23): 53-68, 2011

      24 이연심, "2015 개정 교육과정과 고등학교 『연극의 이해』 교과서 연계 분석 -성취기준을 중심으로" 한국연극학회 1 (1): 295-343, 2021

      25 이연심, "2015 개정 교육과정과 고등학교 ‘연극’ 교과서 연계 분석-성취기준의 반영 양상을중심으로" 순천향대학교 대학원 2018

      26 교육부, "2015 개정 교육과정 총론 및 각론 확정·발표"

      27 오세곤, "2015 개정 교과 교육과정 시안 개발 연구Ⅱ-고교 예술교과 교육과정"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5

      28 정현숙, "2011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에 따른 문학 영역과 교과서의 양상 - 고등학교 <국어>ⅠⅡ교과서에 수록된 현대소설을 중심으로 -" 돈암어문학회 27 : 311-340, 2014

      29 진의남,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실과/기술․가정과 성취기준 및 성취수준 개발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2

      30 이상봉,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실과(기술․가정) 교육과정에서 ‘기술․가정’ 교과서의 ‘건설 기술과 환경’ 단원 내용 분석" 한국기술교육학회 13 (13): 208-226, 201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4-16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Korea Society of Acting Studies -> Journal of Acting & Arts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