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4차 산업혁명시대의 특성과 연관지여 새로운 연기예술환경에 대한 모색과 기술에 대해 고 찰하였다. 연기예술은 기술과 시류 변화에 민감한 예술 분야이다. 4차 산업혁명은 이전 3...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4차 산업혁명시대의 특성과 연관지여 새로운 연기예술환경에 대한 모색과 기술에 대해 고 찰하였다. 연기예술은 기술과 시류 변화에 민감한 예술 분야이다. 4차 산업혁명은 이전 3...
이 연구는 4차 산업혁명시대의 특성과 연관지여 새로운 연기예술환경에 대한 모색과 기술에 대해 고 찰하였다. 연기예술은 기술과 시류 변화에 민감한 예술 분야이다. 4차 산업혁명은 이전 3차 산업시대까 지의 축적된 기술을 기반으로, 새로운 삶의 환경으로 전환되는 시대이다. 이에 연기예술도 새로운 환경 에 발맞추어 변화하는 바, 대표적인 영화 기술 ‘모션캡쳐’를 중심으로 탐구하였다. 본 연구는 4차 산업혁 명시대의 키워드인 ‘초연결성’의 개념을 이해함과 동시에, 연기예술에 있어 산업과 인간의 융합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에 대한 원리를 알아보는 것에 중점을 두었다. 이에 배우의 실사 연기와 컴퓨터가 연결·융 합되는 기술 ‘모션캡쳐’의 영상 연기 적용까지 알아본다. 영화에서 실사 표현이 어려운 미지의 세계 또는 추상적 캐릭터는 상상력과 창의력을 바탕으로 CG를 덧입혀 새롭게 구현·개발이 가능하지만, 실사 영화 제작에서 새롭게 구현된 캐릭터들이 실제 인간의 섬세한 감정이 실린 생동감 있는 연기를 한다는 것은 아직까지는 미미한 실정이었다. 그러나 이제는 ‘모션캡쳐’로 말미암아 애니메이션 영화뿐만 아니라, 실사 영화에서 인물들의 생동감 있고 자연스러운 캐릭터 구현이 가능하다. 즉 배우의 개성 있고 고유한 연기 를 훼손하지 않으면서도, 주어진 상황 속 인물의 감정과 행동을 포함하여 실제 영화 속 캐릭터에 접목하 는 기술이 가능해진 것이다. 다시 말해 이러한 기술은 영상 연기에 있어서 단순히 운동력만 부여하는 것 이 아니라, 다양한 상황에서 배우 스스로가 표현 주체가 되어 보이지 않는 ‘내면연기’는 물론, 상황에서 오는 ‘리듬과 템포’까지 생성하여 생동감을 더욱더 부여한다. 그러나 이러한 기술의 눈부신 발전에도 인 물의 표현적 영역은 결국 인간의 직접적인 개입, 즉 배우의 생동감 있는 연기가 기본이라는 것이다. 인간 만이 갖는 또는 느낄 수 있는 고유한 영역은 오로지 배우의 직접적인 연기가 필요하다는 결론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considered the search for a new acting art environment and technology in connection with the characteristics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cting is an art field that is sensitive to technology and current changes. The Fourth Industr...
This study considered the search for a new acting art environment and technology in connection with the characteristics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cting is an art field that is sensitive to technology and current changes.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s an era in which technologies accumulated up to the previous Third Industrial Era are transformed into a new environment of life. As a result, acting art was also explored around the representative film technology ‘motion capture’, which is changing in line with the new environment. This study focused on understanding the concept of ‘Hyper-Connected’ a keyword in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while also exploring the principle of how industry and human convergence in acting art takes place. In response, the actor's live-action acting and the application of video acting of ‘motion capture’ a technology that connects and fuses computers, were recognized. Although unknown or abstract characters, which are difficult to express due diligence in movies, can be newly implemented and developed by adding CG based on imagination and creativity, it was still insignificant that the newly implemented characters in real-life filmmaking acting with real human delicate emotions. Now, however, ‘motion capture’ allows the characters to create lively and natural characters in real-life films as well as animated films. In other words, it is possible to incorporate the character in the movie, including the emotions and actions of the character in a given situation, without damaging the actor's unique and unique acting. However, despite the remarkable development of this technology, the expressive area of the character is, after all, the direct human intervention, the lively acting of the actor. The unique area that only humans have or have is the conclusion that only actors need direct acting.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조성덕, "후기 메소드 영화연기 훈련기술을 응용한 영상연기 훈련법 -마이스너와 애들러 연기론의 고찰 및 융합 가능성 중심으로-" 한국영상제작기술학회 1 (1): 63-80, 2013
2 박희복, "현대영화기술 변천과정에서 영상연기 그 방향성에 관한 연구" 한국연기예술학회 13 (13): 55-70, 2018
3 정주영, "한국 카메라 연기의 변천과정에 관한 연구" 청주대학교 대학원 2018
4 News1, "조성희, ‘승리호’, 프로덕션 비하인드…업동이 유해진 모션 캡처부터 VFX"
5 클라우드 슈밥, "제4차 산업혁명 THE NEXT" 새로운 현재 2018
6 클라우드 슈밥, "제4차 산업혁명" 새로운 현재 2016
7 Hobbyen, "유해진 "‘승리호’ 업동이로 모션캡처 연기, 새로운 경험...부딪혀보자 생각했다”"
8 유튜브, "오브 워 4 모션캡쳐 현장"
9 "영화 속 4차 산업혁명 5-사물인터넷(IOT)"
10 유튜브, "영화 [승리호] VFX 메이킹 영상 [SPACE SWEEPERS] vfx making film"
1 조성덕, "후기 메소드 영화연기 훈련기술을 응용한 영상연기 훈련법 -마이스너와 애들러 연기론의 고찰 및 융합 가능성 중심으로-" 한국영상제작기술학회 1 (1): 63-80, 2013
2 박희복, "현대영화기술 변천과정에서 영상연기 그 방향성에 관한 연구" 한국연기예술학회 13 (13): 55-70, 2018
3 정주영, "한국 카메라 연기의 변천과정에 관한 연구" 청주대학교 대학원 2018
4 News1, "조성희, ‘승리호’, 프로덕션 비하인드…업동이 유해진 모션 캡처부터 VFX"
5 클라우드 슈밥, "제4차 산업혁명 THE NEXT" 새로운 현재 2018
6 클라우드 슈밥, "제4차 산업혁명" 새로운 현재 2016
7 Hobbyen, "유해진 "‘승리호’ 업동이로 모션캡처 연기, 새로운 경험...부딪혀보자 생각했다”"
8 유튜브, "오브 워 4 모션캡쳐 현장"
9 "영화 속 4차 산업혁명 5-사물인터넷(IOT)"
10 유튜브, "영화 [승리호] VFX 메이킹 영상 [SPACE SWEEPERS] vfx making film"
11 박지우, "연기자의 C·G 환경 수용에 대한 연구" 영상문화콘텐츠연구원 (19) : 377-404, 2020
12 "앤디 서키스, 골룸과 시저로 대표되는 배우"
13 조성덕, "애니메이션을 위한 영화연기술 연구" 한국애니메이션학회 12 (12): 191-207, 2016
14 박근수, "샌포드 마이즈너(Sanford Mesiner)의 연기 방법론에 관한 연구" 한국연극학회 (30) : 101-144, 2006
15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삶의 혁명을 가져다 줄 지능정보기술"
16 "사물인터넷의 핵심 구성 요소"
17 이지언, "디지털 아트 미학과 4차 산업혁명시대의 예술교육" 205-223, 2017
18 오재환, "공연예술의 기술 융합적 작품 실현 여건과 창의적 인재 양성 문화예술교육 강화필요" (164) : 26-35, 2017
19 한국경제신문, "‘승리호’ 유해진 “로봇 모션캡처 연기, 준비 절차 복잡해"
20 조성덕, "‘모션 캡쳐’ 과정에서 나타난 ‘디지털 액팅’의 연기미학과 연기 훈련 방법론에 대한 고찰" 한국디지털영상학회 6 (6): 167-189, 2009
21 유튜브, "The last of us-performance capture (Troy Baker and Ashley Johnson)"
22 Furht, B., "Handbook of multimedia for digital entertainment and arts" Springer & Business Media 516-, 2009
23 Lewis, J., "Andy Serkis-The man behind the mask" John Blake Publishing 82-, 2012
24 클라우드 슈밥, "4차 산업혁명의 충격" 흐름출판 2016
25 고동우, "4차 산업혁명시대의 예술적 가치를 위한 영상교육의 미래" 99-115, 2017
2015 개정 교육과정과 고등학교 『연기』 교과서 연계 분석 - 성취기준을 중심으로 -
시설 미혼모를 위한 연극치료 질적 사례분석연구 - 자기효능감을 중심으로 -
온택트(Ontact) 시대, 공연예술 산업의 온라인 플랫폼 활용에 관한 연구
동시대 연기자 교육에 있어 몸 감각의 의의 - 가르치에니체(Gardzienice) 배우훈련을 중심으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