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고등교육 책무성에 대한 대학 기능유형별 차이:교수의 인식 분석을 중심으로 = The difference of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functional types on their accountability: focusing on analyzing faculty member’s percep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50491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최근 교육환경의 변화로 고등교육 책무성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는데 비해, 이를 실증적으로 분석한 연구는 많지 않다. 본 연구는 고등교육의 핵심적 이해관계자인 대학교수를 대상으로, ...

      최근 교육환경의 변화로 고등교육 책무성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는데 비해, 이를 실증적으로 분석한 연구는 많지 않다. 본 연구는 고등교육의 핵심적 이해관계자인 대학교수를 대상으로, 책무성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으며 그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가 조사하고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통하여 우리나라 교수들은 소속대학의 기능유형별로 고등교육 책무성의 개념 및 책무성 확보기제의 적절성, 그리고 고등교육이 추구해야 할 목표와 이해관계자에 대한 책임수준에 대한 인식에서 차이를 보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정부의 고등교육 책무성 확보 정책의 유효성에 대해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소속대학의 기능유형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 영향의 유효성 정도는 직업교육중심대학, 교육중심대학, 연구중심대학 순이었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대학유형별로 인식 차이를 보이는 이슈들에대해서는 자율적으로 합의 형성을 위한 토론의 장을 제공하고 제도적 장치가 필요하다는 사실이다. 즉,본 연구가 제시한 이해관계자의 관점 차이 조율은 고등교육 책무성을 제고함에 있어 구체적이고 정교한 정책적 판단을 내리거나, 향후 조화롭고 균형적인 방향을 추구하는데 도움이 된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importance of higher education accountability has been increasing with rapidly changing educational environment. Nevertheless, there is a paucity of empirical research to examine higher education accountability. In this vein, the purpose of this s...

      The importance of higher education accountability has been increasing with rapidly changing educational environment. Nevertheless, there is a paucity of empirical research to examine higher education accountability. In this vei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xtent to which faculty members who are in a critical position of the stakeholders in relation to higher education policy perceive higher education accountability and what kind of factors affect their perceptions. The result of the current study shows that faculty members’perceptions on the level of higher education accountability are different from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functional types. In addition, this study found that the different types of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positively affect the effectiveness of higher education policy to strengthen their accountability. Thefinding of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different perception of the faculty members on higher education accountability need to have an openly debating opportunity as well as an official rule leading to a consensus. Namely, the result of the study implies that prior coordinating and tuning the different perceptions of the stakeholders will be helpful for building an accurate and concrete discussion making needed to strengthen higher education accountability and for driving the balanced future directio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서론 Ⅱ.이론적 배경 Ⅲ.연구 설계 Ⅳ.분석 결과 Ⅴ.함의 및 결론 참고문헌
      • Ⅰ.서론 Ⅱ.이론적 배경 Ⅲ.연구 설계 Ⅳ.분석 결과 Ⅴ.함의 및 결론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변기용, "현행 고등교육 책무성 확보기제에 대한 비판적 성찰과 정책방향 탐색" 교육연구소 14 (14): 163-196, 2013

      2 송경오, "한국의 초 ․ 중등교육 책무성 정책에 관한 비판적 고찰" 한국열린교육학회 21 (21): 207-235, 2013

      3 이영학, "한국의 연구중심대학 분류 방안 연구" 한국교육정치학회 19 (19): 49-71, 2012

      4 김영재, "한국 전문대학정책의 변천에 관한 연구: 제도주의적 접근을 중심으로" 한국행정사학회 (32) : 241-269, 2013

      5 최정윤, "한국 대학에서의 교수-학생 상호작용의 성격과 대학교육 학습성과에 대한 영향 분석: 대학 특성 효과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교육개발원 37 (37): 131-154, 2010

      6 고전, "한국 교육대학의 법적 책무성에 관한 연구" 한국초등교육학회 24 (24): 255-274, 2011

      7 변기용, "한국 고등교육 정책연구의 동향 분석: 연구주제 및 연구자를 중심으로" 교육연구소 11 (11): 121-145, 2010

      8 채재은, "한국 고등교육 규제실태 진단 및 개혁방안 연구" 교육인적자원부 2006

      9 김무성, "학부모의 학교교육에 관한 책무성 제고의 조건탐색 연구"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10 신현석, "학교책무성 강화를 위한 학교평가 결과 활용방안 탐색" 안암교육학회 12 (12): 59-85, 2006

      1 변기용, "현행 고등교육 책무성 확보기제에 대한 비판적 성찰과 정책방향 탐색" 교육연구소 14 (14): 163-196, 2013

      2 송경오, "한국의 초 ․ 중등교육 책무성 정책에 관한 비판적 고찰" 한국열린교육학회 21 (21): 207-235, 2013

      3 이영학, "한국의 연구중심대학 분류 방안 연구" 한국교육정치학회 19 (19): 49-71, 2012

      4 김영재, "한국 전문대학정책의 변천에 관한 연구: 제도주의적 접근을 중심으로" 한국행정사학회 (32) : 241-269, 2013

      5 최정윤, "한국 대학에서의 교수-학생 상호작용의 성격과 대학교육 학습성과에 대한 영향 분석: 대학 특성 효과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교육개발원 37 (37): 131-154, 2010

      6 고전, "한국 교육대학의 법적 책무성에 관한 연구" 한국초등교육학회 24 (24): 255-274, 2011

      7 변기용, "한국 고등교육 정책연구의 동향 분석: 연구주제 및 연구자를 중심으로" 교육연구소 11 (11): 121-145, 2010

      8 채재은, "한국 고등교육 규제실태 진단 및 개혁방안 연구" 교육인적자원부 2006

      9 김무성, "학부모의 학교교육에 관한 책무성 제고의 조건탐색 연구"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10 신현석, "학교책무성 강화를 위한 학교평가 결과 활용방안 탐색" 안암교육학회 12 (12): 59-85, 2006

      11 이차영, "학교 교육의 책무성에 대한 개념적 명료화와 발전과제" 18 (18): 33-69, 2010

      12 이영학, "카네기분류를 활용한 한국 자연계 연구중심대학 분류 연구" 한국자료분석학회 15 (15): 1709-1722, 2013

      13 강성환, "전문대학 지적자본의 구성요인과 성과와의 관계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1

      14 윤석환, "전문대학 순위평가제도의 개선방향" 한국자치행정학회 26 (26): 193-214, 2012

      15 최혜림, "연구중심대학의 교육과 연구의 관계에 대한 탐색적 연구 : 대학교수의 교육 활동 경험에 대한 인식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3

      16 박주호, "연구중심대학 정책(BK21)이 학부 교양교육과정 편성∙운영에 미친 효과 : 공과대학을 중심으로" 한국교양교육학회 6 (6): 321-356, 2012

      17 전승준, "연구중심대학 육성을 위한 기획연구" 한국학술진흥재단 2005

      18 신정철, "세계수준의 연구중심대학을 향한 도전" 교육과학사 2007

      19 류지성, "대학혁신: 7대 유형별 전략" 삼성경제연구소 2006

      20 박문수, "대학의 기업가적 역할 확대와 국내 연구중심대학의 경향: POSTECH 사례를 중심으로" 피터드러커 소사이어티 6 (6): 81-110, 2013

      21 한국대학교육협의회, "대학 특성별 자체평가 모형" 한국대학교육협의회 2010

      22 변기용, "대학 자율화 정책의 쟁점과 대안 - 5. 31교육개혁 이후의 ‘시장적’ 대학자율화 논의를 중심으로 -" 한국교육정치학회 16 (16): 135-164, 2009

      23 장회익, "대학 기능 분화를 통한 대학 교육 다양화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1995

      24 이필남, "국립대학 법인화에 관한 구성원의 인식 분석" 한국교육정치학회 17 (17): 175-202, 2010

      25 김용, "교육행정정보시스템 관련 논란에 대한 법적 검토" 한국교육행정학회 21 (21): 259-280, 2003

      26 홍주운, "교육중심 대학의 회계교육 발전에 대한 연구" 한국상업교육학회 27 (27): 21-43, 2013

      27 한국교육개발원, "교육정책 집행과정에서의 교육수요자 협력 확대 방안" 한국교육개발원 1999

      28 김규태, "교육적 책무성의 개념적 구조" 19 (19): 287-307, 2001

      29 이석열, "고등교육정책에 관한 대학교원들의 인식 및 유형화에 관한 연구" 한국교육정치학회 20 (20): 75-97, 2013

      30 교육부, "고등교육 종합발전 방안"

      31 오승현, "고등교육 자본주의(Academic Capitalism) 관점에 입각한 BK21사업 분석"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0

      32 이준, "고등교육 이러닝 책무성 강화를 위한 법제도 개선 방향 탐색" 한국교육공학회 24 (24): 1-25, 2008

      33 변기용, "고등교육 분야 책무성 정책분석: 비판적 성찰과 미래방향 탐색" 2012

      34 최상덕, "고등교육 경쟁력 강화를 위한 대학특성화방안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08

      35 Bogue, E., "What’s all this talk about accountability?" 14 : 14-19, 2006

      36 Trow, M., "Trust, markets and accountability in higher education : a comparative perspective" 9 (9): 309-324, 1996

      37 Clark, B. R., "The higher education system: Academic organization in cross-national perspective" University of California 1986

      38 Salmi, J., "The challenge of establishing World-Class Universities" The World Bank 2009

      39 Alexander, F., "The Changing Face of Accountability" 71 (71): 411-431, 2000

      40 The Carnegie Foundation for the Advancement of Teaching, "The Carnegie Classification of Institutions of Higher Education"

      41 Wößmann, L., "School accountability, autonomy, choice, and the level of student achievement: International evidence from PISA 2003" OECD 2007

      42 Alexander, C. M., "Rethinking and Reframing the Carnegie Classification" The Carnegie Foundation for the Advancement of Teaching 2005

      43 Hair, J. F., "Multivariate Data Analysis" Prentice Hall 2005

      44 Morse, A. Q., "Corporate, political, and academic perspectives on Tennessee higher education accountability policy" The university of Tennessee 2011

      45 Bogue, Grady, "Corporate, Policital, and Academin Perspectives on Higher Education Accountability Policy" 2010

      46 Hall, K., "CORPORATE, POLITICAL, AND ACADEMIC PERSPECTIVES ON HIGHER EDUCATION ACCOUNTABILITY POLICY" 2010

      47 Morest, V., "Accountability, Accreditation, and Continuous Improvement:Building a Culture of Evidence" 143 : 17-27, 2009

      48 교육부, "2013년도 대학 교육역량강화사업 기본계획" 교육부 201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43 1.43 1.6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8 1.69 2.047 0.4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