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동리정사의 문화·관광적 활용 방안 = A Cultural and Touristic Application of the Dongri-Jeongsa(Residential Space of Jaehyo Shi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65892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status of Jaehyo Shin in the history of Pansori is central as he suggested the path of pansori and implemented it in practice. The residential space of Jaehyo Shin is commonly known as Dongri-jeongsa. Considering the influence of Jaehyo Shin in the history of Pansori, restoration and management of Dongri-jeongsa will function as a significant opportunity for the general public to be involved in Korean traditional arts including Pansori. In addition, it would also work as an important guidance for studying traditional arts by compiling relevant cultural heritage. This study intends to explore the meaning of restoring the residental space of Jaehyo Shin as only the reception room (as known as Sarangchae) has been preserved. It also aims to examine any issues in the process of restoration to maximize the effect of Dongri-jeongsa as cultural and touristic assets.
      As mentioned, there is only the reception room in Dongri-jeongsa area at present, but originally, it was composed of various buildings such as living space, servants’ quarters and a reception room. The meaning of Dongri-jeongsa is pivotal considering the following facts: it was the place where pansori education was taught as a form of a folklore; Jaehyo Shin explored and established the theories of Pansori in Dongri-jeongsa; the actual implementation of these theories also took place in here; therefore, it is the place where all the important stories regarding Jaehyo Shin were realised.
      The space of these significances would be rarely found not just in the history of Pansori, but also in any other traditional arts. In that context, restoration and development of Dongri-jeongsa will certainly serve as a strong steppingstone for future studies in traditional arts. It would also contribute to establish cultural pride by preserving this important cultural heritage. Potential advantage of restoring the residential area of Jaehyo Shin not only lies in applying relevant studies based on academic context. It can certainly attract the general public who want to be more engaged in the actual space of traditional arts. In order to achieve this objective, it would be better to focus on Jaehyo Shin himself, rather than covering a broad range of Pansori in general.
      Recent trends in tourism are far more than just seeing and enjoying the place. People these days prefer to internalize the meaning of cultural spaces by exploring actual cultural experiences in practice. In that context, restoration of Dongri-jeongsa should also focus on providing more spaces to explore. In addition, building a multi cultural park by combining the existing cultural sightseeing places in Kochang-gun together with restaurants and accommodations is an essential element to generate economic effects.
      Easy access and the cooperation of the residents would also be required in making Dongri-jeongsa more culturally and economically valuable sightseeing place.
      번역하기

      The status of Jaehyo Shin in the history of Pansori is central as he suggested the path of pansori and implemented it in practice. The residential space of Jaehyo Shin is commonly known as Dongri-jeongsa. Considering the influence of Jaehyo Shin in th...

      The status of Jaehyo Shin in the history of Pansori is central as he suggested the path of pansori and implemented it in practice. The residential space of Jaehyo Shin is commonly known as Dongri-jeongsa. Considering the influence of Jaehyo Shin in the history of Pansori, restoration and management of Dongri-jeongsa will function as a significant opportunity for the general public to be involved in Korean traditional arts including Pansori. In addition, it would also work as an important guidance for studying traditional arts by compiling relevant cultural heritage. This study intends to explore the meaning of restoring the residental space of Jaehyo Shin as only the reception room (as known as Sarangchae) has been preserved. It also aims to examine any issues in the process of restoration to maximize the effect of Dongri-jeongsa as cultural and touristic assets.
      As mentioned, there is only the reception room in Dongri-jeongsa area at present, but originally, it was composed of various buildings such as living space, servants’ quarters and a reception room. The meaning of Dongri-jeongsa is pivotal considering the following facts: it was the place where pansori education was taught as a form of a folklore; Jaehyo Shin explored and established the theories of Pansori in Dongri-jeongsa; the actual implementation of these theories also took place in here; therefore, it is the place where all the important stories regarding Jaehyo Shin were realised.
      The space of these significances would be rarely found not just in the history of Pansori, but also in any other traditional arts. In that context, restoration and development of Dongri-jeongsa will certainly serve as a strong steppingstone for future studies in traditional arts. It would also contribute to establish cultural pride by preserving this important cultural heritage. Potential advantage of restoring the residential area of Jaehyo Shin not only lies in applying relevant studies based on academic context. It can certainly attract the general public who want to be more engaged in the actual space of traditional arts. In order to achieve this objective, it would be better to focus on Jaehyo Shin himself, rather than covering a broad range of Pansori in general.
      Recent trends in tourism are far more than just seeing and enjoying the place. People these days prefer to internalize the meaning of cultural spaces by exploring actual cultural experiences in practice. In that context, restoration of Dongri-jeongsa should also focus on providing more spaces to explore. In addition, building a multi cultural park by combining the existing cultural sightseeing places in Kochang-gun together with restaurants and accommodations is an essential element to generate economic effects.
      Easy access and the cooperation of the residents would also be required in making Dongri-jeongsa more culturally and economically valuable sightseeing plac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신재효는 판소리사의 중심에 서서 판소리의 나갈 길을 제시하고, 이를 구체적으로 실행한 인물이다. 따라서 그를 언급하지 않고는 판소리사가 성립될 수 없을 정도로 그의 판소리사적 위치는 확고하다. 동리정사는 그런 신재효가 거주했던 주거지를 통칭하는 용어이다. 이 동리정사를 복원하고 가꾸는 작업은 따라서 판소리를 포함하는 한국 전통예술에 일반인을 접근시킬 수 있는 중요한 계기가 될 수 있다. 또한 그와 관련된 문화유산을 집대성함으로써 전통예술을 연구함에 있어 중요한 지침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사랑채만 남아 있는 그의 고택 복원이 갖는 의미와 복원에 있어 주의하여야 할 점 등을 점검하고 정리함으로써 문화나 관광 자원으로서의 효과를 극대화시키고자 하는 의도에서 작성되었다.
      신재효의 거주지는 현재 사랑채만이 남아 있지만, 본래 여러 건축물로 이루어진 생활 공간과 행랑채, 사랑채와 같은 문화 공간이 한 울타리 안에서 조화를 이루고 있었다. 이 공간이 갖는 의미는 판소리 전승과 교육의 구체적 현장이었다는 점, 신재효가 판소리의 이론을 탐색하고 확립한 공간이라는 점, 그 이론을 구체적으로 실현해 보인 공간이라는 점, 그리고 신재효를 중심으로 이루어진 이야기의 중심이 된다는 점에서 찾을 수 있다. 이러한 의미를 갖는 공간은 판소리는 물론이고 전통예술 어느 것에서도 찾을 수 없다. 그런 점에서 이 공간을 복원하고 정리하는 것은 전통예술 연구의 구체적 거점을 마련한다는 의미를 갖는다. 또한 이로한 공간을 갖게 됨으로써 문화적인 자부심도 함께 가질 수 있게 된다.
      신재효의 고택을 복원하는 일은 단순히 연구의 활용에 머무르지 않는다. 이러한 의미를 갖는 전통예술 공간이 지금까지 제공되지 않았다는 점에서, 이 곳은 전통예술의 구체적 현장을 접하고자 하는 관광객을 유치할 수 있는 중요한 공간으로 부각될 수 있다. 이러한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판소리 전반을 다 보여주겠다는 욕심을 버리고 신재효만으로 집중화하여 조성하는 것이 필요하다.
      현대의 관광은 단순히 보고 즐기는 것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직접 그 문화를 체험하고 이를 통하여 문화 공간이 갖는 의미를 내면화하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 그런 점에서 상시 체험 공간으로 활용될 수 있는 여건을 갖추어야 할 것이다. 또한 고창군이 가지고 있는 기존 문화 공간과 연결하여 복합 문화공원으로 조성하되, 관광객을 위한 음식문화, 숙박문화의 공간도 아울러 갖추어야 경제적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이 공간으로의 접근성을 높일 수 있는 교통체계와 도로 및 도시정비와 거주민의 의식 변화 등이 이루어졌을 때 이 공간이 문화적으로나 경제적으로 의미 있는 공간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번역하기

      신재효는 판소리사의 중심에 서서 판소리의 나갈 길을 제시하고, 이를 구체적으로 실행한 인물이다. 따라서 그를 언급하지 않고는 판소리사가 성립될 수 없을 정도로 그의 판소리사적 위치...

      신재효는 판소리사의 중심에 서서 판소리의 나갈 길을 제시하고, 이를 구체적으로 실행한 인물이다. 따라서 그를 언급하지 않고는 판소리사가 성립될 수 없을 정도로 그의 판소리사적 위치는 확고하다. 동리정사는 그런 신재효가 거주했던 주거지를 통칭하는 용어이다. 이 동리정사를 복원하고 가꾸는 작업은 따라서 판소리를 포함하는 한국 전통예술에 일반인을 접근시킬 수 있는 중요한 계기가 될 수 있다. 또한 그와 관련된 문화유산을 집대성함으로써 전통예술을 연구함에 있어 중요한 지침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사랑채만 남아 있는 그의 고택 복원이 갖는 의미와 복원에 있어 주의하여야 할 점 등을 점검하고 정리함으로써 문화나 관광 자원으로서의 효과를 극대화시키고자 하는 의도에서 작성되었다.
      신재효의 거주지는 현재 사랑채만이 남아 있지만, 본래 여러 건축물로 이루어진 생활 공간과 행랑채, 사랑채와 같은 문화 공간이 한 울타리 안에서 조화를 이루고 있었다. 이 공간이 갖는 의미는 판소리 전승과 교육의 구체적 현장이었다는 점, 신재효가 판소리의 이론을 탐색하고 확립한 공간이라는 점, 그 이론을 구체적으로 실현해 보인 공간이라는 점, 그리고 신재효를 중심으로 이루어진 이야기의 중심이 된다는 점에서 찾을 수 있다. 이러한 의미를 갖는 공간은 판소리는 물론이고 전통예술 어느 것에서도 찾을 수 없다. 그런 점에서 이 공간을 복원하고 정리하는 것은 전통예술 연구의 구체적 거점을 마련한다는 의미를 갖는다. 또한 이로한 공간을 갖게 됨으로써 문화적인 자부심도 함께 가질 수 있게 된다.
      신재효의 고택을 복원하는 일은 단순히 연구의 활용에 머무르지 않는다. 이러한 의미를 갖는 전통예술 공간이 지금까지 제공되지 않았다는 점에서, 이 곳은 전통예술의 구체적 현장을 접하고자 하는 관광객을 유치할 수 있는 중요한 공간으로 부각될 수 있다. 이러한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판소리 전반을 다 보여주겠다는 욕심을 버리고 신재효만으로 집중화하여 조성하는 것이 필요하다.
      현대의 관광은 단순히 보고 즐기는 것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직접 그 문화를 체험하고 이를 통하여 문화 공간이 갖는 의미를 내면화하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 그런 점에서 상시 체험 공간으로 활용될 수 있는 여건을 갖추어야 할 것이다. 또한 고창군이 가지고 있는 기존 문화 공간과 연결하여 복합 문화공원으로 조성하되, 관광객을 위한 음식문화, 숙박문화의 공간도 아울러 갖추어야 경제적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이 공간으로의 접근성을 높일 수 있는 교통체계와 도로 및 도시정비와 거주민의 의식 변화 등이 이루어졌을 때 이 공간이 문화적으로나 경제적으로 의미 있는 공간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문화재청, "한국의 전통가옥 기록화 보고서: 고창 신재효 고택" 동천인쇄 2005

      2 김석배, "춘향전의 지평과 미학" 박이정 2010

      3 이영일, "옛 동리정사 재현과 공연학적 해석" 판소리학회 (31) : 53-94, 2011

      4 고창군, "소리를 밟는 고창읍성, 소리를 느끼는 판소리 테마공원: 고창읍성대표관광지육성사업 계획서" 2015

      5 주식회사 뮴, "소리를 밟는 고창읍성" 보고서 2015

      6 정병헌, "김세종제 <춘향가>의 판소리사적 위상" 한국공연문화학회 (27) : 321-356, 2013

      7 손태도, "광대의 가창문화" 집문당 2004

      8 고정옥, "고전작가론" 판소리학회 7 : 1996

      9 이훈상, "19세기 전라도 고창의 향리 신재효와 그의 가족, 그리고 생애 주기" 판소리학회 (39) : 295-338, 2015

      1 문화재청, "한국의 전통가옥 기록화 보고서: 고창 신재효 고택" 동천인쇄 2005

      2 김석배, "춘향전의 지평과 미학" 박이정 2010

      3 이영일, "옛 동리정사 재현과 공연학적 해석" 판소리학회 (31) : 53-94, 2011

      4 고창군, "소리를 밟는 고창읍성, 소리를 느끼는 판소리 테마공원: 고창읍성대표관광지육성사업 계획서" 2015

      5 주식회사 뮴, "소리를 밟는 고창읍성" 보고서 2015

      6 정병헌, "김세종제 <춘향가>의 판소리사적 위상" 한국공연문화학회 (27) : 321-356, 2013

      7 손태도, "광대의 가창문화" 집문당 2004

      8 고정옥, "고전작가론" 판소리학회 7 : 1996

      9 이훈상, "19세기 전라도 고창의 향리 신재효와 그의 가족, 그리고 생애 주기" 판소리학회 (39) : 295-338, 201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7-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3-18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Pansori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2 0.72 0.7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6 0.71 1.536 0.2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