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소셜미디어 네이티브 광고에 영향을 미치는 MZ세대의 소셜미디어 이용동기와 개인적 특성, 제품 유형의 역할 탐색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80348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MZ세대인 20대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소셜미디어 상에서 게재되는 네이티브 광고에 대한 태도와 공유의도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생각되는 소셜미디어 이용동기, 개인적 특성으로서의 설득지식, 제품 유형에 대해 살펴보았다. 소셜미디어 이용동기와 관련하여 20대 대학생들의 소셜미디어 이용에 대한 정보적 및 사회적 동기는 네이티브 광고 공유의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셜미디어에 대한 오락적 동기는 네이티브 광고태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 그러나 개인적 성향으로서의 소비자 설득지식은 네이티브 광고 태도 및 공유 의도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품 유형 또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셜미디어 이용동기와 설득지식이 네이티브 광고 효과에 미치는 영향이 제품 유형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소셜미디어에서 네이티브 광고를 집행하는 기업들에게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MZ세대인 20대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소셜미디어 상에서 게재되는 네이티브 광고에 대한 태도와 공유의도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생각되는 소셜미디어 이용동기, ...

      본 연구는 MZ세대인 20대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소셜미디어 상에서 게재되는 네이티브 광고에 대한 태도와 공유의도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생각되는 소셜미디어 이용동기, 개인적 특성으로서의 설득지식, 제품 유형에 대해 살펴보았다. 소셜미디어 이용동기와 관련하여 20대 대학생들의 소셜미디어 이용에 대한 정보적 및 사회적 동기는 네이티브 광고 공유의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셜미디어에 대한 오락적 동기는 네이티브 광고태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 그러나 개인적 성향으로서의 소비자 설득지식은 네이티브 광고 태도 및 공유 의도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품 유형 또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셜미디어 이용동기와 설득지식이 네이티브 광고 효과에 미치는 영향이 제품 유형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소셜미디어에서 네이티브 광고를 집행하는 기업들에게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whether and how social media usage motives and consumer persuasion knowledge influence the effectiveness of native advertising on social media. Additionally, this study investigates whether the impacts of social media usage motives and consumer persuasion knowledge on the ad effectiveness differ depending on product type. Toward that end, online survey with college students was conducted. The results showed that informational and social motives positively influenced the intention to share the ad, whereas entertaining motives positively influenced attitude toward the ad. However, the results were different depending on the product type.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are also discussed.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whether and how social media usage motives and consumer persuasion knowledge influence the effectiveness of native advertising on social media. Additionally, this study investigates whether the impacts of socia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whether and how social media usage motives and consumer persuasion knowledge influence the effectiveness of native advertising on social media. Additionally, this study investigates whether the impacts of social media usage motives and consumer persuasion knowledge on the ad effectiveness differ depending on product type. Toward that end, online survey with college students was conducted. The results showed that informational and social motives positively influenced the intention to share the ad, whereas entertaining motives positively influenced attitude toward the ad. However, the results were different depending on the product type.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are also discusse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서론
      • 2. 이론적 배경
      • 3. Method
      • 4. 연구 결과
      • 6. 결론
      • 1. 서론
      • 2. 이론적 배경
      • 3. Method
      • 4. 연구 결과
      • 6. 결론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미경, "정보 발신자 유형과 정보 속성 유형에 따른 네이티브 광고(Native ad) 효과 연구" 한국광고학회 27 (27): 29-49, 2016

      2 이은선, "유튜브 이용 동기 및 친밀도가 이용자 활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 20 (20): 114-126, 2020

      3 안순태, "온라인 네이티브 광고의 광고 표식에 대한 분석: 광고 표식의 위치, 현저성, 명료성을 중심으로" 한국광고홍보학회 21 (21): 5-31, 2019

      4 배지우, "소셜미디어 이용동기와 행복: 몰입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사회및성격심리학회 29 (29): 45-66, 2015

      5 이방형, "소셜미디어 이용 동기의 차원 분석과 마케팅 시사점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마케팅학회 28 (28): 87-108, 2013

      6 KISDI STAT, "밀레니얼 세대와 Z세대의 미디어 이용"

      7 심성욱, "대학생들의 소셜미디어 이용동기가 소셜미디어 광고 이용의향에 미치는 영향" 한국광고홍보학회 13 (13): 342-376, 2011

      8 유현중, "네이티브광고의 유형에 따른 탐색적 연구 - 미디어플랫폼을 중심으로"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20 (20): 7-14, 2020

      9 이수범, "네이티브 광고의 브랜드 및 제품 노출이수용자의 광고 인지와 태도, 공유 의도에미치는 영향" 한국광고홍보학회 (111) : 68-100, 2016

      10 이명천, "네이티브 광고의 메시지 유형에 따 른 효과: 인지욕구 및 제품 유형을 중심으로" 한국광고학회 30 (30): 115-136, 2019

      1 김미경, "정보 발신자 유형과 정보 속성 유형에 따른 네이티브 광고(Native ad) 효과 연구" 한국광고학회 27 (27): 29-49, 2016

      2 이은선, "유튜브 이용 동기 및 친밀도가 이용자 활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 20 (20): 114-126, 2020

      3 안순태, "온라인 네이티브 광고의 광고 표식에 대한 분석: 광고 표식의 위치, 현저성, 명료성을 중심으로" 한국광고홍보학회 21 (21): 5-31, 2019

      4 배지우, "소셜미디어 이용동기와 행복: 몰입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사회및성격심리학회 29 (29): 45-66, 2015

      5 이방형, "소셜미디어 이용 동기의 차원 분석과 마케팅 시사점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마케팅학회 28 (28): 87-108, 2013

      6 KISDI STAT, "밀레니얼 세대와 Z세대의 미디어 이용"

      7 심성욱, "대학생들의 소셜미디어 이용동기가 소셜미디어 광고 이용의향에 미치는 영향" 한국광고홍보학회 13 (13): 342-376, 2011

      8 유현중, "네이티브광고의 유형에 따른 탐색적 연구 - 미디어플랫폼을 중심으로"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20 (20): 7-14, 2020

      9 이수범, "네이티브 광고의 브랜드 및 제품 노출이수용자의 광고 인지와 태도, 공유 의도에미치는 영향" 한국광고홍보학회 (111) : 68-100, 2016

      10 이명천, "네이티브 광고의 메시지 유형에 따 른 효과: 인지욕구 및 제품 유형을 중심으로" 한국광고학회 30 (30): 115-136, 2019

      11 유은아, "네이티브 광고 효과 연구 : 광고인지 여부, 설득의도, 제품관여도를 중심으로" 한국광고학회 30 (30): 93-116, 2019

      12 윤각, "광고유형(네이티브 vs. 배너)이 모바일 광고의 클릭률에 미치는 영향: 제품유형과 제품 관여도의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한국광고학회 28 (28): 7-26, 2017

      13 양윤직, "광고 매체별 광고회피 수준과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광고홍보학회 (92) : 355-381, 2012

      14 대학내일, "Z세대가 광고를 대하는 뜻밖의 사실 3"

      15 Lin, K. Y., "Why people use social networking sites : An empirical study integrating network externalities and motivation theory" 27 : 1152-1161, 2011

      16 Nadkarni, A., "Why do people use Facebook?" 52 (52): 242-249, 2012

      17 Sen, S., "Why are you telling me this? An examination into negative consumer reviews on the web" 21 (21): 76-94, 2007

      18 Kim, M., "When brand-related UGC induces effectiveness on social media : The role of content sponsorship and content type" 37 (37): 105-124, 2018

      19 Hwang, Y., "This is a sponsored blog post, but all opinions are my own : The effects of sponsorship disclosure on responses to sponsored blog posts" 62 : 528-535, 2016

      20 Friestad, M., "The persuasion knowledge model : How people cope with persuasion attempts" 21 (21): 62-74, 1994

      21 Holbrook, M. B., "The experiential aspects of consumption : Consumer fantasies, feelings, and fun" 9 (9): 132-140, 1982

      22 안대천, "SNS유형별 광고속성 평가 및 태도에 관한 연구: 블로그, 트위터, 페이스북, 유튜브의 비교" 한국광고학회 23 (23): 53-84, 2012

      23 Kim, J., "Product type and spokesperson in native advertising-The role of congruency and acceptance" 17 (17): 109-123, 2017

      24 최익성, "PC와 모바일에서 나타난 소셜 미디어의 광고 유형과 이용 동기에 대한 수용자 인식 연구" 한국OOH광고학회 13 (13): 25-53, 2016

      25 Katz, E., "On the use of the mass media for important things" 38 : 164-181, 1973

      26 Laursen, J., "Native advertising trends 2016"

      27 Rubin, A. M., "Media effects: Advances in theory and research" Lawrence Elbaum Associates 525-548, 2002

      28 Kim, M., "Interplay of content type and product type in the consumer response to native advertising on social media" 29 (29): 464-482, 2019

      29 Eid, M. A. H., "Internet users’attitudes toward social media advertisements : The role of advertisement design and users’ motives" 10 : 2361-2370, 2020

      30 Ham, C., "How to measure persuasion knowledge" 34 : 17-53, 2015

      31 Wojdynski, B. W., "Going native : Effects of disclosure position and language on the recognition and evaluation of online native advertising" 45 (45): 157-168, 2016

      32 Tutaj, K., "Effects of online advertising format and persuasion knowledge on audience reactions" 18 (18): 5-18, 2012

      33 Kim, Y., "Cultural difference in motivations for using social media sites : A comparative study of American and Korean college students" 27 : 365-372, 2011

      34 Bearden, W. O., "Consumer self-confidence : Refinements in conceptualization and measurement" 28 (28): 121-134, 2001

      35 Boerman, S. C., "Consumer responses to promoted tweets sent by brands and political parties" 65 : 285-294, 2016

      36 Dhar, R. D., "Consumer choice between hedonic and utilitarian goods" 37 (37): 60-71, 2000

      37 Bearden, W. O., "Comparison price, coupon, and brand effects on consumer reactions to retail newspaper advertisements" 60 (60): 11-34, 1984

      38 Kim, M., "Brand-related user-generated content on social media : The roles of source and sponsorship" 27 (27): 1085-1103, 2017

      39 Holbrook, M. B., "Beyond attitude structure : Toward the informational determinants of attitude" 15 (15): 545-556, 1978

      40 Holbrook, M. B., "Assessing the role of emotions as mediators of consumer responses to advertising" 14 (14): 404-420, 1987

      41 Youn, S., "Adolescents’ response to social media newsfeed advertising : The interplay of persuasion knowledge, benefit-risk assessment, and ad skepticism in explaining information disclosure" 39 (39): 213-231, 2020

      42 Jung, A. R., "Ad disclosure vs. ad recognition : How persuasion knowledge influences native advertising evaluation" 19 (19): 1-14, 2019

      43 Dholakia, U., "A social influence model of consumer participation in network-and small-group-based virtual communities" 21 : 241-263, 2004

      44 Lee, J., "A double-edged sword? Predicting consumers'attitudes toward and sharing intention of native advertising on social media" 61 (61): 1425-1441, 2016

      45 KISA, "2021 KISA Report" 2021

      46 DMC Report, "2020 소셜 미디어 현황 및 전망: 국내외 소셜 미디어 시장 동향 및 소셜미디어 광고 시장 트렌드를 중심으로" 202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1-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52 1.52 1.6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54 1.6 2.393 0.2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