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요골 원위부 골절 환자에서 정형외과 의사가 시행한 초음파 유도 액와 상완 신경총 차단술 = Ultrasound-Guided Axillary Brachial Plexus Block Performed by OIrthopedic Surgeon for Distal Radius Fracture Surger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22782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usefulness of ultrasound-guided axillary brachial plexus block performed by orthopedic surgeon as an anesthetic method for distal radius fracture surgery.Methods: From October 2017 to October 2018, an ultrasound-guided axillary brachial plexus block was performed on 161 cases of distal radius fracture requiring surgery. The procedure was performed by orthopedic surgeons using solution (20 mL of lidocaine HCl in 2%, 20 mL of ropivacaine in 0.75%, and 10 mL of normal saline in 0.9%). The success rate of the anesthetic procedure, the duration of analgesic effect, and the complications were investigated. If the anesthesia induc-tion failed, additional local anesthetic methods were performed stepwise and reassessment about whether the operation could proceed was made.Results: Anesthesia was successful in 155 patients and the success rate was 96.3%. The duration of analgesic effect was 6 hours (3-10 hours). In 6 failed cases of anesthesia, local anesthesia was applied to the pain site in the operating room. In 5 cases, the operation was completed without discomfort. In 1 case complaining of pain around fracture site after the local anesthesia, ultrasound-guided radial nerve block was effective in controlling the pain.Conclusion: In open surgery of distal radius fractures, an ultrasound-guided axillary brachial plexus block performed by orthopedic surgeon allows anesthesia with high success rates. Even if the surgical anesthesia is incomplete, it is expected that the surgery cab be completed safely if the nerve is identified and the stepwise additional local anesthesia method is performed.
      번역하기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usefulness of ultrasound-guided axillary brachial plexus block performed by orthopedic surgeon as an anesthetic method for distal radius fracture surgery.Methods: From October 2017 to October 2018...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usefulness of ultrasound-guided axillary brachial plexus block performed by orthopedic surgeon as an anesthetic method for distal radius fracture surgery.Methods: From October 2017 to October 2018, an ultrasound-guided axillary brachial plexus block was performed on 161 cases of distal radius fracture requiring surgery. The procedure was performed by orthopedic surgeons using solution (20 mL of lidocaine HCl in 2%, 20 mL of ropivacaine in 0.75%, and 10 mL of normal saline in 0.9%). The success rate of the anesthetic procedure, the duration of analgesic effect, and the complications were investigated. If the anesthesia induc-tion failed, additional local anesthetic methods were performed stepwise and reassessment about whether the operation could proceed was made.Results: Anesthesia was successful in 155 patients and the success rate was 96.3%. The duration of analgesic effect was 6 hours (3-10 hours). In 6 failed cases of anesthesia, local anesthesia was applied to the pain site in the operating room. In 5 cases, the operation was completed without discomfort. In 1 case complaining of pain around fracture site after the local anesthesia, ultrasound-guided radial nerve block was effective in controlling the pain.Conclusion: In open surgery of distal radius fractures, an ultrasound-guided axillary brachial plexus block performed by orthopedic surgeon allows anesthesia with high success rates. Even if the surgical anesthesia is incomplete, it is expected that the surgery cab be completed safely if the nerve is identified and the stepwise additional local anesthesia method is performe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목적: 요골 원위부 골절 수술 시 정형외과 의사가 시행한 초음파 유도 액와 상완 신경총 차단술의 유용성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방법: 2017년 10월부터 2018년 10월까지 요골 원위부 골절 수술 전 마취 방법으로 초음파 유도 액와 상완 신경총 차단술을 시행한 16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2% lidocaine HCl 20 mL, 0.75% ropivacaine 20 mL, 0.9% nor-mal saline 10 mL의 혼합액을 이용하였으며 술기의 성공률, 무통 지속 시간 및 합병증을 조사하였다. 술기가 실패한 경우 단계적으로 추가 국소 마취를 시행한 뒤 재평가하였다. 결과: 161명 중 155명에서 마취가 성공하여 96.3%의 성공률을 보였다. 무통 지속 시간은 평균 6시간(3-10시간)이었다. 6명이 마취 실패로 수술실에서 통증 부위에 국소 마취제를 추가 투여하였으며 5명은 이후 환자의 불편감 없이 수술을 마칠 수 있었고, 1명은 초음파 유도 요골 신경 차단술을 통해 수술을 완료할 수 있었다.결론: 요골 원위부 골절 수술 시 정형외과 의사가 시행한 초음파 유도 액와 상완 신경총 차단술은 높은 마취 성공률을 보였고, 마취가 불완전 하더라도 해당 신경을 파악하여 단계적 추가 국소 마취 방법을 시행한다면 안전하게 수술을 완료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번역하기

      목적: 요골 원위부 골절 수술 시 정형외과 의사가 시행한 초음파 유도 액와 상완 신경총 차단술의 유용성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방법: 2017년 10월부터 2018년 10월까지 요골 원위부 골절 수...

      목적: 요골 원위부 골절 수술 시 정형외과 의사가 시행한 초음파 유도 액와 상완 신경총 차단술의 유용성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방법: 2017년 10월부터 2018년 10월까지 요골 원위부 골절 수술 전 마취 방법으로 초음파 유도 액와 상완 신경총 차단술을 시행한 16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2% lidocaine HCl 20 mL, 0.75% ropivacaine 20 mL, 0.9% nor-mal saline 10 mL의 혼합액을 이용하였으며 술기의 성공률, 무통 지속 시간 및 합병증을 조사하였다. 술기가 실패한 경우 단계적으로 추가 국소 마취를 시행한 뒤 재평가하였다. 결과: 161명 중 155명에서 마취가 성공하여 96.3%의 성공률을 보였다. 무통 지속 시간은 평균 6시간(3-10시간)이었다. 6명이 마취 실패로 수술실에서 통증 부위에 국소 마취제를 추가 투여하였으며 5명은 이후 환자의 불편감 없이 수술을 마칠 수 있었고, 1명은 초음파 유도 요골 신경 차단술을 통해 수술을 완료할 수 있었다.결론: 요골 원위부 골절 수술 시 정형외과 의사가 시행한 초음파 유도 액와 상완 신경총 차단술은 높은 마취 성공률을 보였고, 마취가 불완전 하더라도 해당 신경을 파악하여 단계적 추가 국소 마취 방법을 시행한다면 안전하게 수술을 완료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강찬, "족관절 골절 수술을 위한 정형외과 의사의 초음파 유도 대퇴좌골 신경 차단" 대한족부족관절학회 14 (14): 90-96, 2010

      2 김철우, "정형외과 의사가 시행한 초음파 유도액와 상완 신경총 차단술" 대한정형외과학회 53 (53): 513-521, 2018

      3 나중호, "외상 환자에서 초음파를 이용한 상완 신경총 차단술의 유용성" 대한수부외과학회 19 (19): 13-18, 2014

      4 Marhofer P, "Ultrasound-guided upper extremity blocks-tips and tricks to improve the clinical practice" 22 : 65-71, 2012

      5 Kang C, "Ultrasound-guided femorosciatic nerve block" 2 : 74-78, 2010

      6 Danelli G, "Ultrasound vs nerve stimulation multiple injection technique for posterior popliteal sciatic nerve block" 64 : 638-642, 2009

      7 Aysel I, "Ultrasound guided brachial plexus block can be advantageous in patients with avulsion type upper extremity injuries" 25 : 145-146, 2013

      8 Walker KJ, "Ultrasound guidance for peripheral nerve blockade" 7 : CD006459-, 2009

      9 Stan TC, "The incidence of neurovascular complications following axillary brachial plexus block using a transarterial approach. A prospective study of 1,000 consecutive patients" 20 : 486-492, 1995

      10 In Gyu Choi, "The Effects of Postoperative Brachial Plexus Block Using MgSO_4 on the Postoperative Pain after Upper Extremity Surgery" 대한통증학회 24 (24): 158-163, 2011

      1 강찬, "족관절 골절 수술을 위한 정형외과 의사의 초음파 유도 대퇴좌골 신경 차단" 대한족부족관절학회 14 (14): 90-96, 2010

      2 김철우, "정형외과 의사가 시행한 초음파 유도액와 상완 신경총 차단술" 대한정형외과학회 53 (53): 513-521, 2018

      3 나중호, "외상 환자에서 초음파를 이용한 상완 신경총 차단술의 유용성" 대한수부외과학회 19 (19): 13-18, 2014

      4 Marhofer P, "Ultrasound-guided upper extremity blocks-tips and tricks to improve the clinical practice" 22 : 65-71, 2012

      5 Kang C, "Ultrasound-guided femorosciatic nerve block" 2 : 74-78, 2010

      6 Danelli G, "Ultrasound vs nerve stimulation multiple injection technique for posterior popliteal sciatic nerve block" 64 : 638-642, 2009

      7 Aysel I, "Ultrasound guided brachial plexus block can be advantageous in patients with avulsion type upper extremity injuries" 25 : 145-146, 2013

      8 Walker KJ, "Ultrasound guidance for peripheral nerve blockade" 7 : CD006459-, 2009

      9 Stan TC, "The incidence of neurovascular complications following axillary brachial plexus block using a transarterial approach. A prospective study of 1,000 consecutive patients" 20 : 486-492, 1995

      10 In Gyu Choi, "The Effects of Postoperative Brachial Plexus Block Using MgSO_4 on the Postoperative Pain after Upper Extremity Surgery" 대한통증학회 24 (24): 158-163, 2011

      11 Frenkel O, "Supracondylar radial nerve block for treatment of distal radius fractures in the emergency department" 41 : 386-388, 2011

      12 Hohenberger GM, "Sensory nerve supply of the distal radio-ulnar joint with regard to wrist denervation" 42 : 586-591, 2017

      13 McClure JH, "Ropivacaine" 76 : 300-307, 1996

      14 Tetzlaff JE, "Regional anaesthetic technique and the incidence of tourniquet pain" 40 : 591-595, 1993

      15 Tetzlaff JE, "PH adjustment of mepivacaine decreases the incidence of tourniquet pain during axillary brachial plexus anaesthesia" 40 : 133-136, 1993

      16 Jupiter JB, "Operative treatment of volar intra-articular fractures of the distal end of the radius" 78 : 1817-1828, 1996

      17 Van de Pol GJ, "Innervation of the wrist joint and surgical perspectives of denervation" 31 : 28-34, 2006

      18 Andersson A, "Efficacy and safety of axillary brachial plexus block for operations on the hand" 40 : 225-229, 2006

      19 Ecoffey C, "Complications associated with 27031 ultrasoundguided axillary brachial plexus blocks : a web-based survey of 36 French centres" 31 : 606-610, 2014

      20 Bernucci F, "A prospective, randomized comparison between perivascular and perineural ultrasound-guided axillary brachial plexus block" 37 : 473-477, 2012

      21 Sultan SF, "A clinical assessment tool for ultrasound-guided axillary brachial plexus block" 56 : 616-623, 201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8-02-28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대한수부외과학회 학회지 -> Archives of Hand and Microsurgery
      외국어명 :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Surgery of the Hand -> Archives of Hand and Microsurgery
      KCI등재
      2018-01-12 통합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02 0.02 0.0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02 0.02 0.189 0.0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