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고등학생의 학습동기조절전략 사용에 따른 군집유형 = Cluster Types based on the Use of Learning Motivational Regulation Strategies among High School Studen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20373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cluster types among high school students based on the use of seven learning motivational regulation strategies presented by Lee(2003) on the basis of Schwinger, von der Laden, & Spinath’s(2007) motivational regulation strategies. In addition, this study examined the difference between cluster types on metacognitive and behavioral regula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354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and Gyunggi area were participated. Cluster analysis revealed five subgroups of students; low profile, goal-focused profile, intrinsic strategy-focused profile, high profile, and extrinsic strategy-focused profile. High profile group were used the most on metacognitive regulation such as planning, monitoring, modifying and on behavioral regulation such as behavioral control, time-management, help-seeking, which was followed by intrinsic and extrinsic strategy-focused profile group, and goal-focused profile group, whereas low profile group were used the least on them. Also, low and extrinsic strategy-focused profile groups showed the lowest grad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above two groups, on the other hand, high, intrinsic and goal-focused profile groups showed higher grade than low profile group. Finally,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번역하기

      This study examined cluster types among high school students based on the use of seven learning motivational regulation strategies presented by Lee(2003) on the basis of Schwinger, von der Laden, & Spinath’s(2007) motivational regulation strategies....

      This study examined cluster types among high school students based on the use of seven learning motivational regulation strategies presented by Lee(2003) on the basis of Schwinger, von der Laden, & Spinath’s(2007) motivational regulation strategies. In addition, this study examined the difference between cluster types on metacognitive and behavioral regula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354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and Gyunggi area were participated. Cluster analysis revealed five subgroups of students; low profile, goal-focused profile, intrinsic strategy-focused profile, high profile, and extrinsic strategy-focused profile. High profile group were used the most on metacognitive regulation such as planning, monitoring, modifying and on behavioral regulation such as behavioral control, time-management, help-seeking, which was followed by intrinsic and extrinsic strategy-focused profile group, and goal-focused profile group, whereas low profile group were used the least on them. Also, low and extrinsic strategy-focused profile groups showed the lowest grad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above two groups, on the other hand, high, intrinsic and goal-focused profile groups showed higher grade than low profile group. Finally,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Schwinger 등(2007)의 동기조절전략 척도를 토대로 이정윤(2013)이 제시한 7가지 학습동기조절전략의 사용 정도에 따라 우리나라 고등학생들이 어떻게 군집화 되는지 살펴보고, 각 군집들 간에 초인지조절과 행동조절, 그리고 학업성적에서 차이가 나는지 검토하고자 하였다. 서울과 경기 소재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 354명을 대상으로 학습동기조절전략의 사용에 따른 유형을 확인하고자 군집분석을 실시한 결과, ‘저빈도 자기조절집단’, ‘목표중심 자기조절집단’, ‘내재적 동기중심 자기조절집단’, ‘고빈도 자기조절집단’, ‘외재적 동기중심 자기조절집단’과 같은 5개 군집이 도출되었다. 그리고 자기조절전략을 가장 많이 사용하는 고빈도 집단이 계획, 점검, 조절과 같은 초인지조절 전략이나 행동통제, 시간관리, 도움요청과 같은 행동조절 전략들을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었으며, 다음으로 내재적 및 외재적 동기중심 집단, 그리고 목표중심 집단의 순이었고, 자기조절전략을 거의 사용하지 않는 저빈도 집단이 가장 적게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성적은 저빈도 집단과 외재적 동기중심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이 가장 낮은 성적을 보였고, 고빈도 집단, 내재적 동기집단, 목표중심 집단의 순으로 성적이 높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한계에 대하여 논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Schwinger 등(2007)의 동기조절전략 척도를 토대로 이정윤(2013)이 제시한 7가지 학습동기조절전략의 사용 정도에 따라 우리나라 고등학생들이 어떻게 군집화 되는지 살펴보고, 각 군집...

      본 연구는 Schwinger 등(2007)의 동기조절전략 척도를 토대로 이정윤(2013)이 제시한 7가지 학습동기조절전략의 사용 정도에 따라 우리나라 고등학생들이 어떻게 군집화 되는지 살펴보고, 각 군집들 간에 초인지조절과 행동조절, 그리고 학업성적에서 차이가 나는지 검토하고자 하였다. 서울과 경기 소재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 354명을 대상으로 학습동기조절전략의 사용에 따른 유형을 확인하고자 군집분석을 실시한 결과, ‘저빈도 자기조절집단’, ‘목표중심 자기조절집단’, ‘내재적 동기중심 자기조절집단’, ‘고빈도 자기조절집단’, ‘외재적 동기중심 자기조절집단’과 같은 5개 군집이 도출되었다. 그리고 자기조절전략을 가장 많이 사용하는 고빈도 집단이 계획, 점검, 조절과 같은 초인지조절 전략이나 행동통제, 시간관리, 도움요청과 같은 행동조절 전략들을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었으며, 다음으로 내재적 및 외재적 동기중심 집단, 그리고 목표중심 집단의 순이었고, 자기조절전략을 거의 사용하지 않는 저빈도 집단이 가장 적게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성적은 저빈도 집단과 외재적 동기중심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이 가장 낮은 성적을 보였고, 고빈도 집단, 내재적 동기집단, 목표중심 집단의 순으로 성적이 높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한계에 대하여 논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봉미미, "한국 청소년의 학습동기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문화적 요인 탐색"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14 (14): 319-348, 2008

      2 이정윤, "학습동기조절전략 척도의 예비 타당화 연구" 한국상담심리학회 25 (25): 795-812, 2013

      3 김정연, "청소년의 인터넷 사용유형 군집에 따른 정신건강, 자기효능감 및 자기조절 학습능력" 한국심리학회산하학교심리학회 10 (10): 409-428, 2013

      4 박승호, "중학생의 자기조절학습 유형에 관한 군집분석 연구" 한국교육심리학회 17 (17): 299-314, 2003

      5 조은문, "중학생의 동기조절전략과 자기결정동기 및 학업성취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산하학교심리학회 7 (7): 405-428, 2010

      6 임은미, "중고등학생의 학업동기 구조" 2 (2): 89-111, 2001

      7 김현심, "자기조절학습의 학년 간 차이 및 학업성취와의 관계" 목표대학교 2009

      8 박병기, "자기조절학습의 복합적 측정도구 개발과 타당화: 동기조절 척도의 통합을 중심으로" 한국교육심리학회 19 (19): 455-476, 2005

      9 양명희, "자기조절학습의 모형탐색과 타당화 연구" 서울대학교 2000

      10 김은영, "자기조절학습의 구성요소로서 동기조절과 학업성취화의 관계" 한국교육학회 44 (44): 101-130, 2006

      1 봉미미, "한국 청소년의 학습동기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문화적 요인 탐색"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14 (14): 319-348, 2008

      2 이정윤, "학습동기조절전략 척도의 예비 타당화 연구" 한국상담심리학회 25 (25): 795-812, 2013

      3 김정연, "청소년의 인터넷 사용유형 군집에 따른 정신건강, 자기효능감 및 자기조절 학습능력" 한국심리학회산하학교심리학회 10 (10): 409-428, 2013

      4 박승호, "중학생의 자기조절학습 유형에 관한 군집분석 연구" 한국교육심리학회 17 (17): 299-314, 2003

      5 조은문, "중학생의 동기조절전략과 자기결정동기 및 학업성취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산하학교심리학회 7 (7): 405-428, 2010

      6 임은미, "중고등학생의 학업동기 구조" 2 (2): 89-111, 2001

      7 김현심, "자기조절학습의 학년 간 차이 및 학업성취와의 관계" 목표대학교 2009

      8 박병기, "자기조절학습의 복합적 측정도구 개발과 타당화: 동기조절 척도의 통합을 중심으로" 한국교육심리학회 19 (19): 455-476, 2005

      9 양명희, "자기조절학습의 모형탐색과 타당화 연구" 서울대학교 2000

      10 김은영, "자기조절학습의 구성요소로서 동기조절과 학업성취화의 관계" 한국교육학회 44 (44): 101-130, 2006

      11 양명희, "자기조절학습 구성변인과 학업 성취와의 관계 연구" 교육연구소 3 (3): 47-70, 2002

      12 이민희, "자기결정이론을 토대로 한 학습상담 전략 탐색" 한국상담심리학회 21 (21): 703-721, 2009

      13 심우엽, "연령에 따른 학습동기의 변화" 14 (14): 19-44, 2001

      14 김은영, "여자대학생의 학업성취도에 따른 동기조절전략 연구" 한국교육심리학회 22 (22): 111-127, 2008

      15 "서울시"

      16 임효진, "대학생의 학업성취와 자기조절 학습전략: 아시안 학생을 중심으로 한 다인종 비교연구" 교육연구소 10 (10): 57-84, 2009

      17 박현정, "다차원척도법을 활용한 탐색적 프로파일 분석:중학생들의 자기조절학습 변인을 중심으로" 한국교육평가학회 20 (20): 121-137, 2007

      18 Bong, M., "Within-grade changes in Korean girls’ motivation and perceptions of the learning environment across domains and achievement levels" 97 : 656-672, 2005

      19 Pintrinch, "The role of motivation in promoting and sustaining self-regulated learning" 31 : 459-470, 1999

      20 Wolters, C. A., "The relation between students’ motivational beliefs and their use of motivational regulation strategies" 33 : 801-820, 2000

      21 Wolters, C. A., "The relation between high school students’ motivational regulation and their use of learning strategies, effort, and classroom performance" 11 : 281-299, 1999

      22 Kaplan, A., "The effect of achievement goals: Does level of perceived academic competence make a difference?" 22 : 415-435, 1997

      23 Zimmerman, B, J., "Student differences in self-regulated learning : Relating grade, sex, and giftedness to self-efficacy and strategy use" 82 : 51-59, 1990

      24 Schwinger, M., "Strategien zur Motivations regulation und ihre Erfassung[Motivational regulation strategies and their measurement]" 39 : 57-69, 2007

      25 Zimmerman, B. J., "Self-regulated learning: From teaching to self-reflective practice" Guilford Press 1-19, 1998

      26 Hofer, B. K., "Self-regulated learning: From teaching to self-reflective practice" Guilford Publications 57-85, 1998

      27 Wolters, C. A., "Self-regulated learning and college students’ regulation of motivation" 90 : 224-235, 1998

      28 Fredricks, J. A., "School engagement : Potential of the concept, state of the evidence" 74 (74): 59-109, 2004

      29 Hair, J. F., "Reading and understanding more multivariate statistics"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147-205, 2000

      30 Braten, I., "Profiling individual differences in student motivation : A longitudinal cluster-analytic study in different academic contexts" 30 : 359-396, 2005

      31 Barnard-Brak, L., "Profiles in self-regulated learning in the online learning environment" 11 : 61-79, 2010

      32 Karabenick, S. A., "Perceived achievement goal structure and college student help seeking" 96 : 569-581, 2004

      33 송미영, "PISA 2012 결과분석을 통한 우리나라 학생들의 역량향상 방안"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4

      34 Schwinger, M., "Not all roads lead to Rome : Comparing different types of motivational regulation profiles" 22 : 269-279, 2012

      35 Pintrinch, P. R., "Motivational and self-regulated learning components of classroon academic performance" 82 : 33-40, 1990

      36 Pintrinch, P. R., "Motivation in education: Theory, research and applications" Merrill Prentice Hall 2002

      37 Schwinger, M., "How do motivational regulation strategies affect achievement : Mediated by effort management and moderated by intelligence" 19 : 621-627, 2009

      38 Pintrinch, P. R., "Handbook of self-regulation" Academic Press 451-502, 2000

      39 Zimmerman, B. J., "Handbook of self-regulation" Academic Press 13-39, 2000

      40 Pintrinch, P. R., "Beyond cold conceptual change : the role of motivational beliefs and classroom contextual factors on the process of conceptual change" 63 : 167-199, 1993

      41 Bong, M., "Between-and within-domain relations of academic motivation among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 self-efficacy, task-value, and achievement goals" 93 : 23-34, 2001

      42 Barron, K. E., "Achievement goal and optional motivation : Testing multiple goal models" 80 : 706-722, 2001

      43 Pintrinch, P. R., "A motivational science perspective on the role of student motivation in learning and teaching contexts" 95 (95): 667-686, 2003

      44 통계청, "2014 청소년 통계" 201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4-09-02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Korean Counseling Association (KCA)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5-1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The korea jounal of counseling -> Korea Journal of Counseling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3-22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korea jounal of counseling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19 2.19 2.4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45 2.48 3.426 0.3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