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인의 철학적 여정에서 『바가바드기따』가 출현하기 이전의 업 관념은 대체로 무신론적 입장들과 친화적이었다. 예컨대 자이나교와 초기불교에서는 신의 존재를 요청하지 않고서 삶과...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6155707
2009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129-152(24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인도인의 철학적 여정에서 『바가바드기따』가 출현하기 이전의 업 관념은 대체로 무신론적 입장들과 친화적이었다. 예컨대 자이나교와 초기불교에서는 신의 존재를 요청하지 않고서 삶과...
인도인의 철학적 여정에서 『바가바드기따』가 출현하기 이전의 업 관념은 대체로 무신론적 입장들과 친화적이었다. 예컨대 자이나교와 초기불교에서는 신의 존재를 요청하지 않고서 삶과 죽음의 문제를 해명해 들어갔다. 거기에는 인간 자신의 주체적․자존적 능력에 대한 확신을 전제로 하는 업 관념이 자리하고 있었다. 그런데 그러한 사문 종교들의 실천적 경향은 한결같이 출세간적이었으며, 그러한 이유에서 일상적인 범부 중생의 삶을 포용하지 못하는 취약점을 안고 있었다. 바로 거기에 대응하여 등장한 『바가바드기따』에서는 유신론적 입장을 토대로 대중적인 구원의 메시지를 펼쳤다. 즉 스스로의 노력보다는 신에 대한 믿음과 은총을 통해 업의 굴레를 벗어날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사상사적 맥락에서, 이것은 신의 은총을 업의 문제에 적용한 최초의 구체적 사례가 된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그러나 『바가바드기따』는 모든 행위의 근거를 신으로부터 찾는 과정에서 계급이나 신분의 차별마저 용인하는 치명적인 과오를 범한다. 또한 바로 그러한 이유에서 일반 민중들의 삶의 전면적으로 수용하지 못하는 한계를 노출한다. 결국 이 문헌은 특정 계급에 의한 지배 질서를 강화하기 위한 수단으로 기능했다는 비난의 표적이 되기에 이르렀다. 이상과 같은 내용들을 중심으로, 본고는 『바가바드기따』에 나타나는 유신론적 업 해석의 긍정적․부정적 측면들에 대해 고찰해 보았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early interpretations about karma in the history of Indian philosophy showed the tendencies to be familiar with the atheism. But as time went by, many schools have transferred to the theistic standpoints. Especially Bhagavadgīta was the driving f...
The early interpretations about karma in the history of Indian philosophy showed the tendencies to be familiar with the atheism. But as time went by, many schools have transferred to the theistic standpoints. Especially Bhagavadgīta was the driving force in these changes. This text has given a great number of Indian the hopeful message that all human can get the salvation from the redemption of karma by the grace of God. I think this is the reason why Bhagavadgīta was so widely supported by the general public. And it also can be said that Bhagavadgīta hasgot the important academic achievements in which the theory of karma is associated with the tenet of God. But regretfully, it is true that Bhagavadgīta has defended the caste system (cāturvarṇya) which has become the target of criticism, and has regarded as the obstacle to the social development in India. Centering around these topics, I have tried to shed light on the idea of karma in Bhagavadgīta.
참고문헌 (Reference)
1 이거룡, "인도철학사 1권" 한길사 1996
2 유경희, "인도 사상의 해탈 개념: 우빠니샤드와 바가바드기따를 중심으로" 인도철학회 7 : 1997
3 이거룡, "업설과 은총의 양립 문제" 인도철학회 5 : 1995
4 임승택, "업(karma) 개념의 형성과 발달 과정에 대한 고찰 - 제식주의에서부터 초기불교까지" 대한철학회 103 : 150-180, 2007
5 이명권, "암베드카르와 현대 인도 불교" 서강대학교 2003
6 이태영, "바가바드기타의 즈나나 요가에 관한 연구" 인도철학회 1 : 1989
7 김호성, "바가바드기타에 나타난 까르마 요가의 윤리적 조명" 인도철학회 2 : 1992
8 임승택, "바가바드기타 강독" 경서원 2003
9 길희성, "바가바드기타 에 나타난 힌두교의 사회윤리: 불평등의 문제를 중심으로" 1 : 1989
10 허우성, "마하뜨마 간디의 도덕・정치사상-상" 소명 2004
1 이거룡, "인도철학사 1권" 한길사 1996
2 유경희, "인도 사상의 해탈 개념: 우빠니샤드와 바가바드기따를 중심으로" 인도철학회 7 : 1997
3 이거룡, "업설과 은총의 양립 문제" 인도철학회 5 : 1995
4 임승택, "업(karma) 개념의 형성과 발달 과정에 대한 고찰 - 제식주의에서부터 초기불교까지" 대한철학회 103 : 150-180, 2007
5 이명권, "암베드카르와 현대 인도 불교" 서강대학교 2003
6 이태영, "바가바드기타의 즈나나 요가에 관한 연구" 인도철학회 1 : 1989
7 김호성, "바가바드기타에 나타난 까르마 요가의 윤리적 조명" 인도철학회 2 : 1992
8 임승택, "바가바드기타 강독" 경서원 2003
9 길희성, "바가바드기타 에 나타난 힌두교의 사회윤리: 불평등의 문제를 중심으로" 1 : 1989
10 허우성, "마하뜨마 간디의 도덕・정치사상-상" 소명 2004
11 정승석, "리그베다" 김영사 1984
12 Rādhākrishnan, S, "The Bhagavadgītā" George Allen & Unwin Ltd 1976
13 Zaehner, R. C, "The Bhagavad-Gita: with a commentary based onthe original sources" Oxford University Press 1976
14 Silva, Lily de, "Nibbāna As Living Experience" Buddhist Publication Society 1996
15 Trenckner, V, "Majjhimanikāya (MN.), 3vols" PTS 1979
16 William K. Mahony, "Karman, in:The Encyclopedia of Religion, vol.8" Macmillan Publishing Company 1987
17 Bronkhorst, Johannes, "Karma and Teleogy: A problem and its solutions in Indian philosophy" The International Institute for Buddhist Studies of The International College for Advanced Buddhist Studies 2000
18 Wilhelm Halbfass, "Karma and Rebirth, Indian Conceptions of. in:Routledge Encyclopedia of Philosophy, vol.5." Routledge 1998
19 Wendy Doniger O'Flaherty, "Karma and Rebirth in the Vedas and Purāṇas. in:Karma and Rebirth in Classical Indian Traditions" Motilal Banarsidass 1983
20 Fausboll, V, "Fausboll, V. (Ed), Suttanipāta (Sn.), London: PTS, 1948 (reprints)"
21 Rādhākrishnan, S, "Contemporary Indian Philosophy" George Allen & Unwin Ltd. 1950
22 안옥선, "Bhagavadgītā의 Bhakti에 대한 연구" 동국대학교 1987
23 Dasgupta, Surendranath, "A History of Indian Philosophy, vol.1" Combridge University Press 1969
24 Sharma, Chandradhar, "A Critical Survey of Indian Philosophy" Motilal Banarsidass 1976
야스퍼스의 실존 조명과 프랑클의 실존 분석적 로고테라피와의 관계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8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5-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4-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1-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39 | 0.39 | 0.39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38 | 0.35 | 0.984 | 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