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윤리학과 논술 = 도덕적 근거 제시의 중요성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15570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우리가 어떻게 살아야 할 것인가에 대한 탐구를 주된 목적으로 삼고 있는 윤리학은 우리의 가치관이나 도덕적 신념 형성에 직접 결부되어 있다. 한 개인의 도덕적 신념은 그 사람의 삶의 방식을 이끌어간다. 이런 차원에서, 수많은 윤리적 쟁점에 대한 자기 해답은 자기가 살아가야 할 삶의 방식과 밀접한 관련을 맺는다. 자신의 도덕적 신념이 실린 도덕적 삶의 방식은 윤리적 주제에 대한 논술로 체계적으로 정리될 수 있다. 그러므로 윤리논술은 간과될 수 없는 중대한 학문적 방법이다. 윤리 논술의 핵은 윤리적 논증이다. 윤리적 논증 구성은 윤리적 문제의식으로부터 출발하여 윤리적 쟁점을 발굴하고 그에 대한 윤리적 결론과 함께 그에 맞는 윤리적 근거를 제시하는 일로 끝맺음된다. 따라서 윤리적 주제에 대한 논술과 그에 대한 교육의 핵심 목표 역시 윤리적 쟁점들에 대한 윤리적 논증, 즉 윤리적 결론과 함께 그에 적합한 윤리적 근거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어야 한다. 이런 까닭에, 이 글은 윤리학에서의 논술과 논술 교육이 윤리적 논증 형성이라는 핵심 목표, 특히 그 가운데서도 자신의 도덕적 신념에 대한 도덕적 근거 제시를 얼마나 정당하게 표현해내느냐에 있다고 보고, 그에 대한 효율적 방안 등을 검토하는 일에 주력하고 있다. 요컨대, 본 논문은 윤리적 쟁점을 발굴하고 그에 대해 자기 입장을 피력하는 일, 그리고 그에 대한 윤리적 근거를 제시하는 일의 중요성을 집중적으로 논의하고 있다. 그리고 이에 앞서, 논증적 글쓰기로서의 논술에 대한 기본적 정의를 마련하면서, 논술과 윤리적 주제와의 상관관계 역시 밝히고자 노력하였다.
      번역하기

      우리가 어떻게 살아야 할 것인가에 대한 탐구를 주된 목적으로 삼고 있는 윤리학은 우리의 가치관이나 도덕적 신념 형성에 직접 결부되어 있다. 한 개인의 도덕적 신념은 그 사람의 삶의 방...

      우리가 어떻게 살아야 할 것인가에 대한 탐구를 주된 목적으로 삼고 있는 윤리학은 우리의 가치관이나 도덕적 신념 형성에 직접 결부되어 있다. 한 개인의 도덕적 신념은 그 사람의 삶의 방식을 이끌어간다. 이런 차원에서, 수많은 윤리적 쟁점에 대한 자기 해답은 자기가 살아가야 할 삶의 방식과 밀접한 관련을 맺는다. 자신의 도덕적 신념이 실린 도덕적 삶의 방식은 윤리적 주제에 대한 논술로 체계적으로 정리될 수 있다. 그러므로 윤리논술은 간과될 수 없는 중대한 학문적 방법이다. 윤리 논술의 핵은 윤리적 논증이다. 윤리적 논증 구성은 윤리적 문제의식으로부터 출발하여 윤리적 쟁점을 발굴하고 그에 대한 윤리적 결론과 함께 그에 맞는 윤리적 근거를 제시하는 일로 끝맺음된다. 따라서 윤리적 주제에 대한 논술과 그에 대한 교육의 핵심 목표 역시 윤리적 쟁점들에 대한 윤리적 논증, 즉 윤리적 결론과 함께 그에 적합한 윤리적 근거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어야 한다. 이런 까닭에, 이 글은 윤리학에서의 논술과 논술 교육이 윤리적 논증 형성이라는 핵심 목표, 특히 그 가운데서도 자신의 도덕적 신념에 대한 도덕적 근거 제시를 얼마나 정당하게 표현해내느냐에 있다고 보고, 그에 대한 효율적 방안 등을 검토하는 일에 주력하고 있다. 요컨대, 본 논문은 윤리적 쟁점을 발굴하고 그에 대해 자기 입장을 피력하는 일, 그리고 그에 대한 윤리적 근거를 제시하는 일의 중요성을 집중적으로 논의하고 있다. 그리고 이에 앞서, 논증적 글쓰기로서의 논술에 대한 기본적 정의를 마련하면서, 논술과 윤리적 주제와의 상관관계 역시 밝히고자 노력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What is the argumentative writing? What is the argumentation in ethics? In this paper we will examine the notions of argumentative writing and the implications that seem to follow from it. And then we will examine the relation of ethics and argumentative writing. To clarify the relation is important for analyzing and evaluating ethical arguments. This paper is trying to give consistent and systematic ways of argumentation about ethical subjects. After this we will explore the outlines of argumentative writing in ethics, which holds to the validity of moral principles in ethical arguments. By doing these works, we can learn the ways teaching argumentive writing in ethics.
      번역하기

      What is the argumentative writing? What is the argumentation in ethics? In this paper we will examine the notions of argumentative writing and the implications that seem to follow from it. And then we will examine the relation of ethics and argumentat...

      What is the argumentative writing? What is the argumentation in ethics? In this paper we will examine the notions of argumentative writing and the implications that seem to follow from it. And then we will examine the relation of ethics and argumentative writing. To clarify the relation is important for analyzing and evaluating ethical arguments. This paper is trying to give consistent and systematic ways of argumentation about ethical subjects. After this we will explore the outlines of argumentative writing in ethics, which holds to the validity of moral principles in ethical arguments. By doing these works, we can learn the ways teaching argumentive writing in ethic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윤혜진, "환경윤리의 근본 원리에 관한 연구" 1998

      2 하병학, "탐구와 소통의 논술" (70) : 2006

      3 박찬구, "첨단 생명공학 시대의 인간과 윤리:‘인간복제’ 문제에 대한 윤리적 검토, 과학 기술 시대의 삶의 양식과 윤리" 울력 2002

      4 유병열, "정보 사회의 특징과 정보 윤리, 과학 기술 시대의 삶의 양식과 윤리" 울력 2002

      5 최용철, "인간 행위의 탐구" 자작아카데미 1999

      6 박준호, "비형식 논리학의 논증과 논증 평가 개념" 범한철학회 34 (34): 151-175, 2004

      7 박찬구, "논쟁으로 보는 윤리사상의 흐름과 주제들" 담론사 1997

      8 박정일, "논술과 토론의 개념" (69) : 2006

      9 김장한, "고전적 사례로 본 의료윤리" 지코사이언스 2007

      10 Popper,K.R, "What can Logic do for Philosophy?" 12 : 1948

      1 윤혜진, "환경윤리의 근본 원리에 관한 연구" 1998

      2 하병학, "탐구와 소통의 논술" (70) : 2006

      3 박찬구, "첨단 생명공학 시대의 인간과 윤리:‘인간복제’ 문제에 대한 윤리적 검토, 과학 기술 시대의 삶의 양식과 윤리" 울력 2002

      4 유병열, "정보 사회의 특징과 정보 윤리, 과학 기술 시대의 삶의 양식과 윤리" 울력 2002

      5 최용철, "인간 행위의 탐구" 자작아카데미 1999

      6 박준호, "비형식 논리학의 논증과 논증 평가 개념" 범한철학회 34 (34): 151-175, 2004

      7 박찬구, "논쟁으로 보는 윤리사상의 흐름과 주제들" 담론사 1997

      8 박정일, "논술과 토론의 개념" (69) : 2006

      9 김장한, "고전적 사례로 본 의료윤리" 지코사이언스 2007

      10 Popper,K.R, "What can Logic do for Philosophy?" 12 : 1948

      11 Taylor, P, "Respect for Nature" Princeton Univ. 1986

      12 Moore, G. E, "Principia Ethica" Cambridge Univ. Press 1903

      13 Johnson, Ralph H, "Manifest Rationality: A Pragmatic Theory of Argument" Lawrence Erlbaum Associates Publishers 2000

      14 Callicott, J. B, "In Defence of the Land Ethic: Essays in Environmental Philosophy" New York State Univ. 1989

      15 Searle, J. R, "How to Derive ‘Ought’ from ‘Is’. in:Theories of Ethics" Oxford Univ. 1964

      16 Eemeren, Frans H. van, "Fundamentals of Argumentation Theory: A Handbook of Historical Backgrounds and Contemporary Developments" Lawrence Erlbaum Associates Publishers 1996

      17 Hare,R.M, "Freedom and Reason" Oxford Univ. 1963

      18 Taylor,P, "Frankena on Environmental Ethics" 64 : 1981

      19 Pojman, Louis P, "Ethics: Discovering Right and Wrong" Wadsworth Publishing Company 1990

      20 Callicott, J. B, "Environmental Ethics, in:Encyclopedia of Ethics" Garland Publishing 1992

      21 Pence, Gregory, "Classic Cases in Medical Ethics: Accounts of Cases That Have Shaped Medical Ethics, with Philosophical, Legal, and Historical Backgrounds, 4th ed" McGraw-Hill 2008

      22 Hume, D, "A Treatise of Human Nature" Oxford Univ. 1960

      23 Govier, Trudy, "A Practical Study of Argument" Wadsworth 200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9 0.39 0.3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8 0.35 0.984 0.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