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의사소통장애 아동의 첫 낱말 발달과정을 명사선호성 가설을 참고로 검증해 보고자 하였다. 의사소통장애 아동의 첫낱말 발달자료를 이용하여 첫낱말 발달속도와 첫낱말 구성 특...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30042014
1997
Korean
004.720
KCI등재
학술저널
197-207(11쪽)
※ DBpia의 원문 서비스 중단에 따라, 학술지명을 클릭하여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의사소통장애 아동의 첫 낱말 발달과정을 명사선호성 가설을 참고로 검증해 보고자 하였다. 의사소통장애 아동의 첫낱말 발달자료를 이용하여 첫낱말 발달속도와 첫낱말 구성 특...
본 연구는 의사소통장애 아동의 첫 낱말 발달과정을 명사선호성 가설을 참고로 검증해 보고자 하였다. 의사소통장애 아동의 첫낱말 발달자료를 이용하여 첫낱말 발달속도와 첫낱말 구성 특성을 살펴보았다. 특히 한국어습득과 관련해 명사선호성 가설 및 동사선호성 가설을 검토하였다. 학령 전기에 있는 신경적조음장애 남아와 청각장애 여아 및 교육가능급 정신지체 남아를 대상으로 첫낱말 발달과정을 3개월에서 8개월에 걸쳐 살펴보았다. 그 결과 전체낱말에 대한 명사의 사용비율이 가장 높아 전반적으로 명사선호성 가설을 지지하였다. 한편 세 아동의 낱말 발달이 그 속도와 내용 면에서 다른 양상을 나타내어 언어발달에서 개인차를 드러내었다. 인지나 청각에 큰 문제가 없는 신경적 조음장애 아동의 발달 속도가 가장 빨랐고 발성문제를 동반한 정신지체 아동의 경우에 발달 속도가 가장 느렸다. 낱말 구성내용에 있어서는 선호하는 범주가 아동마다 달랐지만 전반적으로 사람, 동물, 일상생활용품, 필요나 요구를 나타내는 낱말들이 많았다.
난화를 이용한 자극제시 방법이 정신지체아의 언휘력 증가에 미치는 효과
"요구하기" 사회적 언어중재가 언어장애 유아의 사회적 언어 자발 표현에 미치는 효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