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재한 조선족 3세를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 = Group Counseling for the third-generation Chinese-Korean living in Korea : Group counseling for children·youths in multicultural hom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62625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재한 중국조선족에 대한 연구논문으로서 국내 거주하고 있는 조선족 3세를 대상으로 이들이 겪고 있는 정체성의 혼란과 문화, 역사관의 혼란을 극복해보고자 연구한 논문이다. 본 논문에서는 먼저 재한 중국조선족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을 제기하고, 재한 중국조선족에 대한 이해를 돕고자 중국조선족의 형성과 역사를 바탕으로 이들을 소개하고 이해하는 측면으로부터 시작하였다. 그 다음으로 현재 재한 중국조선족 3세의 자아정체성과 자아존중감의 회복과 증진을 목적으로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놀이치료의 일환으로 각종 의미 있는 놀이와 나눔을 통하여 집단정체성을 확립하고, 자신의 삶에 대한 긍정적인 요인들을 발굴하고, 자신들에게 특별히 부여된 사명과 존재의식을 확립할 수 있도록 돕고자 했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재한 중국조선족에 대한 연구논문으로서 국내 거주하고 있는 조선족 3세를 대상으로 이들이 겪고 있는 정체성의 혼란과 문화, 역사관의 혼란을 극복해보고자 연구한 논문이다. 본...

      본 연구는 재한 중국조선족에 대한 연구논문으로서 국내 거주하고 있는 조선족 3세를 대상으로 이들이 겪고 있는 정체성의 혼란과 문화, 역사관의 혼란을 극복해보고자 연구한 논문이다. 본 논문에서는 먼저 재한 중국조선족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을 제기하고, 재한 중국조선족에 대한 이해를 돕고자 중국조선족의 형성과 역사를 바탕으로 이들을 소개하고 이해하는 측면으로부터 시작하였다. 그 다음으로 현재 재한 중국조선족 3세의 자아정체성과 자아존중감의 회복과 증진을 목적으로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놀이치료의 일환으로 각종 의미 있는 놀이와 나눔을 통하여 집단정체성을 확립하고, 자신의 삶에 대한 긍정적인 요인들을 발굴하고, 자신들에게 특별히 부여된 사명과 존재의식을 확립할 수 있도록 돕고자 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research paper is a study on the third-generation of Chinese-Korean people living in Korea and it explores the possible breakthroughs to resolve their identity crisis as well as cultural and historical confusions that they might be experiencing. This research foremost purposes are: First, to explain the need for a study of Chinese-Korean people in Korea to be conducted; second, to present this ethnic group in light of their emergence and history; and last, to facilitate overall understanding of the subject. Then, it examines the present states of things for the Chinese-Korean families their third-generational offspring. This research’s aim is to propose ways to successfully assist them by devising a group-counseling program for the recovery and further development of their selfidentity, conducting play therapies for them to establish collective identity through games and group activities, and finally helping them to discover meaning and purpose in their lives.
      번역하기

      This research paper is a study on the third-generation of Chinese-Korean people living in Korea and it explores the possible breakthroughs to resolve their identity crisis as well as cultural and historical confusions that they might be experiencing. ...

      This research paper is a study on the third-generation of Chinese-Korean people living in Korea and it explores the possible breakthroughs to resolve their identity crisis as well as cultural and historical confusions that they might be experiencing. This research foremost purposes are: First, to explain the need for a study of Chinese-Korean people in Korea to be conducted; second, to present this ethnic group in light of their emergence and history; and last, to facilitate overall understanding of the subject. Then, it examines the present states of things for the Chinese-Korean families their third-generational offspring. This research’s aim is to propose ways to successfully assist them by devising a group-counseling program for the recovery and further development of their selfidentity, conducting play therapies for them to establish collective identity through games and group activities, and finally helping them to discover meaning and purpose in their live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Ⅱ. 이론적 배경
      • Ⅲ. 프로그램 내용 및 운영
      • Ⅴ. 결론
      • 참고문헌
      • Ⅰ. 서론
      • Ⅱ. 이론적 배경
      • Ⅲ. 프로그램 내용 및 운영
      • Ⅴ.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