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재한 중국조선족에 대한 연구논문으로서 국내 거주하고 있는 조선족 3세를 대상으로 이들이 겪고 있는 정체성의 혼란과 문화, 역사관의 혼란을 극복해보고자 연구한 논문이다. 본...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0626254
2014
Korean
재한 중국조선족 ; 집단상담 ; 다문화가정 ; 자아정체성 ; 자아존중감 ; 놀이치료 ; Chinese-Korean in Korea ; group counseling ; multicultural homes ; self-identity ; selfesteem ; play therapy
학술저널
51-70(20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재한 중국조선족에 대한 연구논문으로서 국내 거주하고 있는 조선족 3세를 대상으로 이들이 겪고 있는 정체성의 혼란과 문화, 역사관의 혼란을 극복해보고자 연구한 논문이다. 본...
본 연구는 재한 중국조선족에 대한 연구논문으로서 국내 거주하고 있는 조선족 3세를 대상으로 이들이 겪고 있는 정체성의 혼란과 문화, 역사관의 혼란을 극복해보고자 연구한 논문이다. 본 논문에서는 먼저 재한 중국조선족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을 제기하고, 재한 중국조선족에 대한 이해를 돕고자 중국조선족의 형성과 역사를 바탕으로 이들을 소개하고 이해하는 측면으로부터 시작하였다. 그 다음으로 현재 재한 중국조선족 3세의 자아정체성과 자아존중감의 회복과 증진을 목적으로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놀이치료의 일환으로 각종 의미 있는 놀이와 나눔을 통하여 집단정체성을 확립하고, 자신의 삶에 대한 긍정적인 요인들을 발굴하고, 자신들에게 특별히 부여된 사명과 존재의식을 확립할 수 있도록 돕고자 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research paper is a study on the third-generation of Chinese-Korean people living in Korea and it explores the possible breakthroughs to resolve their identity crisis as well as cultural and historical confusions that they might be experiencing. ...
This research paper is a study on the third-generation of Chinese-Korean people living in Korea and it explores the possible breakthroughs to resolve their identity crisis as well as cultural and historical confusions that they might be experiencing. This research foremost purposes are: First, to explain the need for a study of Chinese-Korean people in Korea to be conducted; second, to present this ethnic group in light of their emergence and history; and last, to facilitate overall understanding of the subject. Then, it examines the present states of things for the Chinese-Korean families their third-generational offspring. This research’s aim is to propose ways to successfully assist them by devising a group-counseling program for the recovery and further development of their selfidentity, conducting play therapies for them to establish collective identity through games and group activities, and finally helping them to discover meaning and purpose in their lives.
목차 (Table of Contents)
기독교적 요소를 포함한 통합예술치료 집단프로그램이 대학생에게 미치는 효과 및 필요성 연구
집단 상담을 통한 시설 입소 미혼모들의 자아효능감과 대인관계 향상에 관한 연구
솔리언또래상담 프로그램의 의사소통 향상과 학교폭력 감소 효과에 대한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