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PNF기법을 적용한 슬링운동이 만성요통환자의 통증과 균형능력에 미치는 영향 = Effect of Sling Exercise with PNF Basic Procedure for Pain and Balance Ability of Patients with Chronic Low Back Pai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14874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ling exercise with PNF basic procedure in patients with chronic low back pain. Methods : This study included 14 patients with chronic low back pain, who were performed sling exercise combined PNF basic procedure. The exercise program comprised 3 sessions of 30 minutes per week for 8 weeks. The VAS(Visual analogue Scale) and BBS(Berg Balance Scale) were evaluated before and after training. All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12.0. Results :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the chronic low back pain patient for VAS, BBS. Chronic low back pain patient improved all test. Conclusion : Sling exercise with PNF basic procedure about chronic low back pain patient is very useful and effective. It is effective in clinical practice.
      번역하기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ling exercise with PNF basic procedure in patients with chronic low back pain. Methods : This study included 14 patients with chronic low back pain, who were performed sling exercis...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ling exercise with PNF basic procedure in patients with chronic low back pain. Methods : This study included 14 patients with chronic low back pain, who were performed sling exercise combined PNF basic procedure. The exercise program comprised 3 sessions of 30 minutes per week for 8 weeks. The VAS(Visual analogue Scale) and BBS(Berg Balance Scale) were evaluated before and after training. All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12.0. Results :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the chronic low back pain patient for VAS, BBS. Chronic low back pain patient improved all test. Conclusion : Sling exercise with PNF basic procedure about chronic low back pain patient is very useful and effective. It is effective in clinical practic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병곤, "요통환자의 체간안정성 운동이 요천추부 각도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대학원 2007

      2 이종경, "요통환자의 운동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6 : 114-129, 1999

      3 김선엽, "슬링(sling) 시스템을 이용한 요부 안정화 운동" 7 : 23-39, 2001

      4 고호식, "수중재활운동이 여성 요통환자의 유연성과 복부 근력에 미치는 영향" 경희대학교 체육대학원 2001

      5 김선엽, "복횡근 강화운동이 체간 신전-굴곡 시척추 분절 운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 10 (10): 63-76, 2003

      6 남형천, "만성 요통 환자의 슬링운동과 매트운동이 요부안정화에 미치는 영향" 3 : 47-61, 2007

      7 마상렬, "기능적 전기자극과 고유수용성 신경근 촉진법 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보행 기능향상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대학원 2008

      8 진우제, "급성 통증의 평가를 위한 Visual Analogue Scale(VAS)의 신뢰성 검토" 대한응급의학회 14 (14): 61-65, 2003

      9 배성수, "고유수용성 신경근 촉진법 중 등장성수축결합의 생역학적 해석" 대한물리치료학회 14 (14): 260-265, 2002

      10 문상현, "견갑골 내전근에 대한 기능적 전기자극과 고유수용성신경근촉진법이 뇌졸중 환자의 견갑골 움직임과 상지기능 및 보행에 미치는 영향" 용인대학교 재활보건과학대학원 2010

      1 김병곤, "요통환자의 체간안정성 운동이 요천추부 각도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대학원 2007

      2 이종경, "요통환자의 운동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6 : 114-129, 1999

      3 김선엽, "슬링(sling) 시스템을 이용한 요부 안정화 운동" 7 : 23-39, 2001

      4 고호식, "수중재활운동이 여성 요통환자의 유연성과 복부 근력에 미치는 영향" 경희대학교 체육대학원 2001

      5 김선엽, "복횡근 강화운동이 체간 신전-굴곡 시척추 분절 운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 10 (10): 63-76, 2003

      6 남형천, "만성 요통 환자의 슬링운동과 매트운동이 요부안정화에 미치는 영향" 3 : 47-61, 2007

      7 마상렬, "기능적 전기자극과 고유수용성 신경근 촉진법 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보행 기능향상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대학원 2008

      8 진우제, "급성 통증의 평가를 위한 Visual Analogue Scale(VAS)의 신뢰성 검토" 대한응급의학회 14 (14): 61-65, 2003

      9 배성수, "고유수용성 신경근 촉진법 중 등장성수축결합의 생역학적 해석" 대한물리치료학회 14 (14): 260-265, 2002

      10 문상현, "견갑골 내전근에 대한 기능적 전기자극과 고유수용성신경근촉진법이 뇌졸중 환자의 견갑골 움직임과 상지기능 및 보행에 미치는 영향" 용인대학교 재활보건과학대학원 2010

      11 Byl NN, "Variations in balance and body sway in middle-aged adults : subjects with healthy backs compared with subjects with low back dysfunction" 16 : 325-330, 1991

      12 Richardson C, "Therapeutic Exercises for Spinal Segmental Stabilization in Low Back Pain" Churchill Livingstrorn 1999

      13 Gill K, "The measurement of lumbar proprioception in individuals with and without low back pain" 23 : 371-377, 1998

      14 Kabat H, "Studies on neuromuscular dysfunction. ⅩⅢ. New concpets and techniques of neuro-muscular reeducation for paralysis" 8 : 121-143, 1950

      15 Chakera TM, "Radiology and low back pain" 24 : 576-582, 1995

      16 Adler SS, "PNF in practice" Springer-Verlag 2008

      17 Dorland W, "Motor speech disorders a treatment guide" Mosby 1996

      18 Berg KO, "Measuring balance in the elderly: Preliminary development of an instrument" 41 : 304-311, 1989

      19 Kiyoshi Y, "Histochemical changes in the multifidus muscle inpatients with lumbar intervetebral disk herniation" 26 : 622-626, 2001

      20 Johansen F, "Exer-cises for chronic low back pain: A clinical trial" 2 : 52-59, 1995

      21 Alexander KM, "Difference in static balance and weight distribution between normal subjects and subjects with chronic unilateral low back pain" 28 : 378-383, 1998

      22 Arokosiki JP, "Back and abdominal muscle function during stabilization exercise" 82 : 1089-1098, 2001

      23 Kirkesola G, "Advanced musculo-skeletal course. The s-e-t concept using the terapimaster system" Course book 2001

      24 이원재, "6주간의 Sling운동과 Medx운동이 만성요통환자의 요부근력 안정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 44 (44): 485-492, 200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