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상호주관적 체험의 매체로서의 몸, 그리고 치유 가능성 - 니체와 페촐트의 몸담론을 중심으로 = Der Leib als ein Medium der Intersubjektivität und die Therapiemöglichkeit - Am Beispiel des Leib-Diskurses von Nietzsche und Petzold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06481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철학적인 인식을 통해 혁신적인 몸담론을 제시했던 니체의 몸에 대한 사유를 살펴보고 이를 토대로 보다 몸에 대한 다각적이고 새롭게 확장된 현대의 몸담론으로서 페촐트의 통...

      이 논문은 철학적인 인식을 통해 혁신적인 몸담론을 제시했던 니체의 몸에 대한 사유를 살펴보고 이를 토대로 보다 몸에 대한 다각적이고 새롭게 확장된 현대의 몸담론으로서 페촐트의 통합치료 이론에 대해 살펴보고 있다.
      니체에게 있어 몸은 사유와 감정과 의지를 실천하는 역동적 복합체이고, 이러한 몸의 역 동적 활동을 통해 병들고 잘못된 힘에서 건강하고 역동적인 조직체로 자기조절이 되는 상태가 치유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니체의 몸이론을 적극 계승하고 있는 페촐트는 몸의 건강하고 역동적인 자기조절을 위해 몸의 활동과 예술매체를 접목하여 통합치료를 구상한다. 페촐트에 따르면, 몸의 기억은 자아와 정체성을 형성하는데 토대가 되며 나와 타자(세계) 의 몸사이는 상호주관적 체험이 이루어지는 공간이 된다. 몸기억에 억압된 것이 쌓여있는 경우라면 이를 충분히 끌어내어 표현하고, 타자와의 진솔하고 깊이 있는 상호주관적 체험을 통해 자신이 인식하고 있는 기존의 서사를 다른 맥락에서 새롭게 해석해봄으로써 몸과 정서가 치유되는 새로운 경험을 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의미에서 페촐트의 몸담론은 집단치료 프로그램의 형식으로 외연화되고 있지만 우리 몸과 인식의 상호 유기적 통합과 사회적 유기체로서의 통합적 관점을 모두 촉진하는, 하나의 철학적이고 사회학적인 문화운동이자 인문치료라고 할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Diese Arbeit versucht, die Intersubjektivität des Leibes und dessen Therapie zu erörtern, und zwar insbesondere anhand der Leib-Diskurse von Nietzsche und Petzold. Dieser hat seit den 1970er Jahren auf dynamische Weise eine integrative Therapie im F...

      Diese Arbeit versucht, die Intersubjektivität des Leibes und dessen Therapie zu erörtern, und zwar insbesondere anhand der Leib-Diskurse von Nietzsche und Petzold. Dieser hat seit den 1970er Jahren auf dynamische Weise eine integrative Therapie im Fritz-Perls-Institut entwickelt.
      Nietzsche lehnt den Dualismus von Leib und Geist ab, wobei er den Leib als die große Vernunft und den Geist als kleine Vernunft definiert. Petzold hat jedoch einen informierten Leibesbegriff entwickelt und den Menschen als Leibsubjekt konstituiert.
      In der integrativen Therapie von Petzold wird der Leib als perzeptiv, expressiv und memorativ gedeutet, der den Zugang zur Umwelt und zur anderen Zwischenleiblichkeit ermöglicht.
      Petzold entwickelt mit den Methoden der therapeutischen Leibarbeit und kreativen Medien (Poesie, Malen, Tanzen usw.) eine neue Praxeologie. Die integrative Therapie fördert beispielsweise in einer Therapie-Gruppe die heilende Rekontextualsierung. Es entsteht nämlich die Zwischenleiblichkeit durch die gemeinsamen Erfahrungen der Teilnehmer/innen im Gespräch. Dabei ist die Transversalität ein Kernkonzept der integrativen Therapie, die ein offenes, pluriformes Denken, Fühlen, Wollen und Handeln fördert, um Erkenntnisshorizont und Handlungsraum zu erweitern. In diesem Sinne hat der Leib-Diskurs von Petzold einen Ansatz für eine philosophische und soziologische Kulturarbeit geschaffen.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변학수, "통합적 문학치료" 학지사 2006

      2 채연숙, "통합문학치료의 현황과 발전 방향" 한국문학치료학회 31 : 189-213, 2014

      3 이선형, "연극치료와 몸" 한국드라마학회 (35) : 306-330, 2011

      4 김안나, "몸알아차림(somatic awareness)에 기반한 요가자세 및 움직임이 갖는 자기 조절과 치유 효과에 관한 이론적 고찰" 무용역사기록학회 40 : 109-139, 2016

      5 김정현, "니체의 몸철학" 문학과 현실사 2000

      6 이상엽, "니체의 몸과 자기, 그리고 예술생리학" 한국하이데거학회 (51) : 89-116, 2018

      7 안철택, "니체의 ‘우정’ I - 니체의 ‘몸 철학’과 ‘가면’을 중심으로" 한국독일언어문학회 (84) : 85-111, 2019

      8 이진우, "니체, 몸 그리고 ‘춤추는 사유" 한국니체학회 (25) : 7-40, 2014

      9 김정현, "‘몸’ 담론의 현대적 지형과 그 철학적 의미" 한국니체학회 (35) : 113-139, 2019

      10 Nietzsche, Friedrich, "Sämtliche Werke. Kritische Studienausgabe in 15 Bänden" Walter de Gruyter 1988

      1 변학수, "통합적 문학치료" 학지사 2006

      2 채연숙, "통합문학치료의 현황과 발전 방향" 한국문학치료학회 31 : 189-213, 2014

      3 이선형, "연극치료와 몸" 한국드라마학회 (35) : 306-330, 2011

      4 김안나, "몸알아차림(somatic awareness)에 기반한 요가자세 및 움직임이 갖는 자기 조절과 치유 효과에 관한 이론적 고찰" 무용역사기록학회 40 : 109-139, 2016

      5 김정현, "니체의 몸철학" 문학과 현실사 2000

      6 이상엽, "니체의 몸과 자기, 그리고 예술생리학" 한국하이데거학회 (51) : 89-116, 2018

      7 안철택, "니체의 ‘우정’ I - 니체의 ‘몸 철학’과 ‘가면’을 중심으로" 한국독일언어문학회 (84) : 85-111, 2019

      8 이진우, "니체, 몸 그리고 ‘춤추는 사유" 한국니체학회 (25) : 7-40, 2014

      9 김정현, "‘몸’ 담론의 현대적 지형과 그 철학적 의미" 한국니체학회 (35) : 113-139, 2019

      10 Nietzsche, Friedrich, "Sämtliche Werke. Kritische Studienausgabe in 15 Bänden" Walter de Gruyter 1988

      11 Petzold, H.G, "Modalitäten der Relationalität – Affiliation, Reaktanz, Übertragung, Beziehung, Bindung – in einer „klinischen Sozialpsychologie“ für die Integrative Supervision und Therapie"

      12 Orth, I, "Klinische Theorien und Praxeologie der Integrativen Therapie. Praxis der „Dritten Welle" methodischer Weiterentwicklung. In: Polyloge"

      13 Petzold, H. G, "Interozeptivität/Eigenleibliches Spüren, Körperbilder/Body Charts – der „Informierte Leib“ öffnet seine Archive: „Komplexe Resonanzen“ aus der Lebensspanne des „body-mind-world-subject"

      14 Petzold, H. G, "Integrative Therapie – Transversalität zwischen Innovation und Vertiefung. Die „Vier WEGE der Heilung und Förderung“ und die „14 Wirkfaktoren“ als Prinzipien gesundheitsbewusster und entwicklungsfördernder Lebensführung- Komplexe Humantherapie III"

      15 Höhmann-Kost, A, "Integrative Persönlichkeitstheorie. In: Polyloge. Materialien aus der Europäischen Akademie für biopsychosoziale Gesundheit. Eine Internetzeitschrift für „Integrative Therapie"

      16 Petzold, H. G, "Freude am Lebendigen und weiser Umgang mit Natur. Die Frische, Kraft und Weisheit integrativer Garten- und Landschaftstherapie – „Green Meditation“, „Therapeutic Gürilla Gardening"

      17 Susanne Geiger, "Die Chance der Begegnung im therapeutischen Prozess. Relationalität als Heilungsweg"

      18 Petzold, H.G, "Der „informierte Leib“ – „embodied and embedded“ als Grundlage der Integrativen Leibtherapie"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5 0.25 0.2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23 0.21 0.484 0.0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