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중년기 여성이 보고하는 자아정체감의 변화  :  전업주부, 간호사, 교사에 대한 직종별 비교 Comparison among Housewives Nurses and School Teachers = Ego Identity Changes Reported by Middle Aged Wome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34806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의 목적은 중년기 여성의 직종별 자아 정체감의 차이를 해명하려는 데 있다. 전업주부 및 여성의 전형적 직업이라고 간주되는 간호사와 교사에 한정하여 자아 정체감의 6가지 영역(신체감각, 시간적 전망, 자기 확신, 유능감, 세대성, 자기평가)을 지표로 할 때 중년기 여성에게 나타나는 자아 정체감의 변화의 차이를 검토하려고 한다. 직종에 따라 변화의 내용에 다음과 같은 차이가 보여졌다.
      첫째로 전업 주부군에서는 가정외에서의 활발한 활동을 지향하는 것이 가장 뚜렷한 변화로 드러났다. 둘째로 간호사군에서는 40대가 되어서도 자아 정체감이 크게 변화하지 않는 것으로 밝혀졌다. 셋째로 교사군에서는 학생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교육상황과 자아 정체성의 변화가 서로 관련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아 정체성은 개인에 따라 중요한 외적, 심리적 상황의 기반 위에서 존립하고 상황에 따라 변화되어 간다.
      번역하기

      이 연구의 목적은 중년기 여성의 직종별 자아 정체감의 차이를 해명하려는 데 있다. 전업주부 및 여성의 전형적 직업이라고 간주되는 간호사와 교사에 한정하여 자아 정체감의 6가지 영역(...

      이 연구의 목적은 중년기 여성의 직종별 자아 정체감의 차이를 해명하려는 데 있다. 전업주부 및 여성의 전형적 직업이라고 간주되는 간호사와 교사에 한정하여 자아 정체감의 6가지 영역(신체감각, 시간적 전망, 자기 확신, 유능감, 세대성, 자기평가)을 지표로 할 때 중년기 여성에게 나타나는 자아 정체감의 변화의 차이를 검토하려고 한다. 직종에 따라 변화의 내용에 다음과 같은 차이가 보여졌다.
      첫째로 전업 주부군에서는 가정외에서의 활발한 활동을 지향하는 것이 가장 뚜렷한 변화로 드러났다. 둘째로 간호사군에서는 40대가 되어서도 자아 정체감이 크게 변화하지 않는 것으로 밝혀졌다. 셋째로 교사군에서는 학생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교육상황과 자아 정체성의 변화가 서로 관련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아 정체성은 개인에 따라 중요한 외적, 심리적 상황의 기반 위에서 존립하고 상황에 따라 변화되어 간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larify the psychological changes in middle-aged women based on three occupational groups(housewives, nurses and school teachers) from viewpoint of the Erikson's concept of ego identity(1950). Semi-structured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75 women in their 40'2: 24 housewives, 21 nurses and 30 teachers. The following results were found. First, ego identity changes were reported to occur in middle-age, and the nature of changes differed among the three groups: 1) housewives intended to get a new identity outside the home, because domestic roles were thought inappropriate as the bases of identity: 2) nurses tended to keep occupational identity built firmly in adolescence, and 3) identity changes among teachers were closely related to the quality of education in the school. Second, the four patterns of ego identity changes were suggested: a) stable home (occupational) identity → personal identity: b) unstable home (occupational) identity → personal identity: c) stable home (occupational) identity → reconfirmation and continuance: and d) unstable home (occupational) identity unable to change.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larify the psychological changes in middle-aged women based on three occupational groups(housewives, nurses and school teachers) from viewpoint of the Erikson's concept of ego identity(1950). Semi-structured interview...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larify the psychological changes in middle-aged women based on three occupational groups(housewives, nurses and school teachers) from viewpoint of the Erikson's concept of ego identity(1950). Semi-structured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75 women in their 40'2: 24 housewives, 21 nurses and 30 teachers. The following results were found. First, ego identity changes were reported to occur in middle-age, and the nature of changes differed among the three groups: 1) housewives intended to get a new identity outside the home, because domestic roles were thought inappropriate as the bases of identity: 2) nurses tended to keep occupational identity built firmly in adolescence, and 3) identity changes among teachers were closely related to the quality of education in the school. Second, the four patterns of ego identity changes were suggested: a) stable home (occupational) identity → personal identity: b) unstable home (occupational) identity → personal identity: c) stable home (occupational) identity → reconfirmation and continuance: and d) unstable home (occupational) identity unable to change.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