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의 목적은 중년기 여성의 직종별 자아 정체감의 차이를 해명하려는 데 있다. 전업주부 및 여성의 전형적 직업이라고 간주되는 간호사와 교사에 한정하여 자아 정체감의 6가지 영역(...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의 목적은 중년기 여성의 직종별 자아 정체감의 차이를 해명하려는 데 있다. 전업주부 및 여성의 전형적 직업이라고 간주되는 간호사와 교사에 한정하여 자아 정체감의 6가지 영역(...
이 연구의 목적은 중년기 여성의 직종별 자아 정체감의 차이를 해명하려는 데 있다. 전업주부 및 여성의 전형적 직업이라고 간주되는 간호사와 교사에 한정하여 자아 정체감의 6가지 영역(신체감각, 시간적 전망, 자기 확신, 유능감, 세대성, 자기평가)을 지표로 할 때 중년기 여성에게 나타나는 자아 정체감의 변화의 차이를 검토하려고 한다. 직종에 따라 변화의 내용에 다음과 같은 차이가 보여졌다.
첫째로 전업 주부군에서는 가정외에서의 활발한 활동을 지향하는 것이 가장 뚜렷한 변화로 드러났다. 둘째로 간호사군에서는 40대가 되어서도 자아 정체감이 크게 변화하지 않는 것으로 밝혀졌다. 셋째로 교사군에서는 학생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교육상황과 자아 정체성의 변화가 서로 관련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아 정체성은 개인에 따라 중요한 외적, 심리적 상황의 기반 위에서 존립하고 상황에 따라 변화되어 간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larify the psychological changes in middle-aged women based on three occupational groups(housewives, nurses and school teachers) from viewpoint of the Erikson's concept of ego identity(1950). Semi-structured interview...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larify the psychological changes in middle-aged women based on three occupational groups(housewives, nurses and school teachers) from viewpoint of the Erikson's concept of ego identity(1950). Semi-structured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75 women in their 40'2: 24 housewives, 21 nurses and 30 teachers. The following results were found. First, ego identity changes were reported to occur in middle-age, and the nature of changes differed among the three groups: 1) housewives intended to get a new identity outside the home, because domestic roles were thought inappropriate as the bases of identity: 2) nurses tended to keep occupational identity built firmly in adolescence, and 3) identity changes among teachers were closely related to the quality of education in the school. Second, the four patterns of ego identity changes were suggested: a) stable home (occupational) identity → personal identity: b) unstable home (occupational) identity → personal identity: c) stable home (occupational) identity → reconfirmation and continuance: and d) unstable home (occupational) identity unable to chan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