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데이터화된 신체’에 대한 인간학적 이해의 한계와 가능성 - 율리 체의 『범죄의 증거. 어떤 소송』을 예로 = Kritische Betrachtung zur Verdatung des Menschen und seinem sinnentleerten Ich in Juli Zehs Corpus Delicti. Ein Prozes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17514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Dieser Beitrag untersucht zunächst die Effizienz der heute vielfältig und häufig gebrauchten digitalen Self-Tracking-Technologie und versucht weiter, die Probleme zu beleuchten, die auf humanontologischer Ebene entstehen können, wenn diese Technologie im sozialen Bereich missbraucht wird. Diese Technologie ist als eine automatisierte Methode bekannt, die menschliche Aktivitäten und physische Zustände durch Sensoren erkennt und numerisch aufzeichnet, aber sie ist über diese oberflächliche Bedeutung hinaus eine Methode, die der Smart Technologien mit sich bringt, die wiederum die menschliche Dataisierung und die digitale Transformationen ermöglicht.
      Wenn diese Technologie auf sozialer Ebene missbraucht wird, können Menschen leicht überwacht und ausgebeutet werden. Beispiele für den katastrophalen Einsatz dieser Technologie finden sich speziell in dem Roman Corpus Delicti. Ein Prozess von Juli Zeh: Der verdatete Mensch ist hier kein freies eigenständiges Subjekt mehr, sondern nur noch ein ‘sinnenentleertes Ich’: Die Protagonistin lehnt schließlich die Technologie in dem Roman ab und führt dem Leser ein katastrophales Ende vor Augen. Damit verbindet die Autorin eine Warnung davor, wie blind und schädlich der Dataismus bei der Digitalisierung von Menschen und ihrer Umwelt sein kann. Diese Lösung, die die Ablehnung der Technologie und das katastrophale Ende als die Verwirklichung der menschlichen Freiheit darstellt, basiert jedoch noch auf dem traditionellen Menschenbild. Infolgedessen hat diese Einstellung Grenzen, da sie kein neues Licht auf das durch Technologie vermittelte Potenzial des Menschen als ,vernetztes Wesen‘ werfen.
      번역하기

      Dieser Beitrag untersucht zunächst die Effizienz der heute vielfältig und häufig gebrauchten digitalen Self-Tracking-Technologie und versucht weiter, die Probleme zu beleuchten, die auf humanontologischer Ebene entstehen können, wenn diese Technol...

      Dieser Beitrag untersucht zunächst die Effizienz der heute vielfältig und häufig gebrauchten digitalen Self-Tracking-Technologie und versucht weiter, die Probleme zu beleuchten, die auf humanontologischer Ebene entstehen können, wenn diese Technologie im sozialen Bereich missbraucht wird. Diese Technologie ist als eine automatisierte Methode bekannt, die menschliche Aktivitäten und physische Zustände durch Sensoren erkennt und numerisch aufzeichnet, aber sie ist über diese oberflächliche Bedeutung hinaus eine Methode, die der Smart Technologien mit sich bringt, die wiederum die menschliche Dataisierung und die digitale Transformationen ermöglicht.
      Wenn diese Technologie auf sozialer Ebene missbraucht wird, können Menschen leicht überwacht und ausgebeutet werden. Beispiele für den katastrophalen Einsatz dieser Technologie finden sich speziell in dem Roman Corpus Delicti. Ein Prozess von Juli Zeh: Der verdatete Mensch ist hier kein freies eigenständiges Subjekt mehr, sondern nur noch ein ‘sinnenentleertes Ich’: Die Protagonistin lehnt schließlich die Technologie in dem Roman ab und führt dem Leser ein katastrophales Ende vor Augen. Damit verbindet die Autorin eine Warnung davor, wie blind und schädlich der Dataismus bei der Digitalisierung von Menschen und ihrer Umwelt sein kann. Diese Lösung, die die Ablehnung der Technologie und das katastrophale Ende als die Verwirklichung der menschlichen Freiheit darstellt, basiert jedoch noch auf dem traditionellen Menschenbild. Infolgedessen hat diese Einstellung Grenzen, da sie kein neues Licht auf das durch Technologie vermittelte Potenzial des Menschen als ,vernetztes Wesen‘ werfe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오늘날 상용화되고 있는 디지털 자기기록 기술의 의미를 먼저 다면적으로 살펴보고 나아가 이 기술이 오용될 경우 야기될 수 있는 문제점을 인간의 존재론적 차원에서 조명하고자 하였다.
      이 기술은 센서를 통해 인간의 활동 및 신체 상태를 감지하고 자동으로 수치로 기록하는 방식인데, 더 나아가 이 스마트 기술은 인간의 데이터화를 유도하고 인간의 디지털적 변형을 가져온다. 이 기술이 사회적 차원에서 오용될 경우 인간은 쉽게 감시와 착취의 대상이 될 수도 있다. 이에 대한 예는 율리 체의 소설 『범죄의 증거. 어떤 소송』 (2009)에서 구체적으로 체현되고 있다. 여기서 데이터화된 인간은 더 이상 자유로운 독립적 주체가 아니며, ‘아무런 의미도 없는 텅빈 자아’일 뿐이다. 작가는 이 소설에서 인간과 환경 모두를 디지털화하는 데이터주의가 얼마나 맹목적이고 위험할 수 있는지 경고하고 있다. 그리고 기술을 거부함으로써 독립적이고 자유로운 인간을 회복할 수 있다고 암시한다. 그러나 이러한 해결 방식은 기술에 의해 매개되고 ‘연결된 존재’로서 인간의 가능성을 새롭게 조명하기보다는 결국 전통적으로 확립된 인간 개념에 기대어 파국을 대가로 한 인간 자유의 구현이라는 점에서 한계를 지니고 있다.
      번역하기

      이 논문은 오늘날 상용화되고 있는 디지털 자기기록 기술의 의미를 먼저 다면적으로 살펴보고 나아가 이 기술이 오용될 경우 야기될 수 있는 문제점을 인간의 존재론적 차원에서 조명하고...

      이 논문은 오늘날 상용화되고 있는 디지털 자기기록 기술의 의미를 먼저 다면적으로 살펴보고 나아가 이 기술이 오용될 경우 야기될 수 있는 문제점을 인간의 존재론적 차원에서 조명하고자 하였다.
      이 기술은 센서를 통해 인간의 활동 및 신체 상태를 감지하고 자동으로 수치로 기록하는 방식인데, 더 나아가 이 스마트 기술은 인간의 데이터화를 유도하고 인간의 디지털적 변형을 가져온다. 이 기술이 사회적 차원에서 오용될 경우 인간은 쉽게 감시와 착취의 대상이 될 수도 있다. 이에 대한 예는 율리 체의 소설 『범죄의 증거. 어떤 소송』 (2009)에서 구체적으로 체현되고 있다. 여기서 데이터화된 인간은 더 이상 자유로운 독립적 주체가 아니며, ‘아무런 의미도 없는 텅빈 자아’일 뿐이다. 작가는 이 소설에서 인간과 환경 모두를 디지털화하는 데이터주의가 얼마나 맹목적이고 위험할 수 있는지 경고하고 있다. 그리고 기술을 거부함으로써 독립적이고 자유로운 인간을 회복할 수 있다고 암시한다. 그러나 이러한 해결 방식은 기술에 의해 매개되고 ‘연결된 존재’로서 인간의 가능성을 새롭게 조명하기보다는 결국 전통적으로 확립된 인간 개념에 기대어 파국을 대가로 한 인간 자유의 구현이라는 점에서 한계를 지니고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찬국, "제4차 산업혁명과 함께 인간은 더 행복해질 것인가. 제4차 산업혁명과 새로운 사회윤리 인공지능과 포스트휴먼 사회의 규범 1" 아카넷 59-98, 2017

      2 남정애, "전체주의적 디스토피아를 통해 성찰되는 자유에 관한 고찰- 율리 체의 『범죄의 증거』를 중심으로" 한국독일어문학회 25 (25): 77-94, 2017

      3 브루노라투르, "인간과 기계에 대한 발칙한 생각. ANT의 기술론. 인간, 사물, 동맹" 이음 출판사 125-154, 2010

      4 라투르, 브루노, "인간, 사물, 동맹. 행위자네트워크 이론과 테크노사이언스" 이음 2010

      5 박인원, "유리인간으로서의 ‘호모 사누스’ - 디스토피아 장르의 문법을 중심으로 본 율리 체의 「죄체. 어떤 소송」" 한국카프카학회 (39) : 27-45, 2018

      6 하대청, "웨어러블 자기추적 기술의 배치와 각본: 초연결 시대의 건강과 노동" 생명의료법연구소 10 (10): 87-106, 2017

      7 체, 율리, "어떤 소송" 민음사 2013

      8 라투르, 브뤼노, "브뤼노 라투르의 과학인문학 편지" 사월의 책 2012

      9 이동후, "모바일 미디어 환경과 인간" 커뮤니케이션북스 2018

      10 아이작슨, 월터, "레오나르도 다빈치" 아르테 2019

      1 박찬국, "제4차 산업혁명과 함께 인간은 더 행복해질 것인가. 제4차 산업혁명과 새로운 사회윤리 인공지능과 포스트휴먼 사회의 규범 1" 아카넷 59-98, 2017

      2 남정애, "전체주의적 디스토피아를 통해 성찰되는 자유에 관한 고찰- 율리 체의 『범죄의 증거』를 중심으로" 한국독일어문학회 25 (25): 77-94, 2017

      3 브루노라투르, "인간과 기계에 대한 발칙한 생각. ANT의 기술론. 인간, 사물, 동맹" 이음 출판사 125-154, 2010

      4 라투르, 브루노, "인간, 사물, 동맹. 행위자네트워크 이론과 테크노사이언스" 이음 2010

      5 박인원, "유리인간으로서의 ‘호모 사누스’ - 디스토피아 장르의 문법을 중심으로 본 율리 체의 「죄체. 어떤 소송」" 한국카프카학회 (39) : 27-45, 2018

      6 하대청, "웨어러블 자기추적 기술의 배치와 각본: 초연결 시대의 건강과 노동" 생명의료법연구소 10 (10): 87-106, 2017

      7 체, 율리, "어떤 소송" 민음사 2013

      8 라투르, 브뤼노, "브뤼노 라투르의 과학인문학 편지" 사월의 책 2012

      9 이동후, "모바일 미디어 환경과 인간" 커뮤니케이션북스 2018

      10 아이작슨, 월터, "레오나르도 다빈치" 아르테 2019

      11 김상민, "디지털 자기기록의 문화와 기술" 커뮤니케이션스 북스 2016

      12 김상민, "나 자신의 데이터가 되다: 디지털 자기-기록 활동과 데이터 주체" (가을) : 57-74, 2016

      13 하이데거, 마르틴, "기술에 대한 물음. 강연과 논문" 이학사 9-49, 2008

      14 조르그너, 슈테판, "견고한 인간중심주의를 넘어서. 인간과 포스트휴머니즘"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2013

      15 Lupton, Debora, "The Qualified Self" Polity Press 2016

      16 Wolf, Gary, "The Data Driven Life" 2010

      17 Rettberg, Jill Walker, "Seeing Ourselves through Technology. How we use Selfies, Blogs and wearable Devices to see and shapes ourselves" Palgrave/Pivot 2014

      18 Selke, Stefan, "Digital Self-Tracking and Lifelogging -Between Disruptive Technology and Cultural Transformation" 1-21, 2016

      19 Meißner, Stefan, "Digital Self-Tracking and Lifelogging" 235-248, 2016

      20 Heyen, Nils B, "Digital Self-Tracking and Lifelogging" 284-304, 2016

      21 Müller, Lothar, "Die kranke Seele und das Licht der Erkenntnis" Athenaeum 1987

      22 Han, Byung-Chul, "Dataismus und Nihilismus"

      23 Zeh, Juli, "Corpus Delicti. Ein Prozess" 2009

      24 백종현, "4차 산업혁명과 사회윤리적 과제. 제4차 산업혁명과 새로운 사회윤리 인공지능과 포스트휴먼 사회의 규범 1" 아카넷 25-58, 201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2-21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nische Gesellschaft Fuer Germanistik -> Koreanische Gesellschaft für Germanistik KCI등재
      2018-01-19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독일문학 -> 독어독문학
      외국어명 : DOKIL MUNHAK -> Koreanische Zeitschrift für Germanistik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1-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8 0.28 0.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22 0.2 0.459 0.1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