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지능사회의 패러다임 변화 전망과 정책적 함의 = Paradigms of the Intelligent Society : Analysis and Policy Implication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55938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Radical paradigm shift is being expected due to the coming of the so-called intelligent society. In the intelligent society, things or machines are able to use intelligence for the first time in history and this will bring about fundamental changes at every corner of human society. This article analyzes views of the world in order to figure out basic directions of this paradigm shift. A dualistic view of world mediated by technology is suggested for a new world view of the intelligent society, based on comparison of a traditional dualistic view of world between human-nature and a tripartite view of world between human-machine-nature. This article summarizes paradigms of the intelligent society into four ; externalization of intelligence, productivity explosion, platform society, and self-organizing society. These new paradigms will provide lots of benefits such as intelligence augmentation, production capacity increase, and self-organizing effect. But at the same time, it will increase risks of system failure because of loss of human control on technologies. In conclusion, it is argued that human choices and efforts will decide the future of the intelligent society becuase the paradigm shift is value neutral in essence.
      번역하기

      Radical paradigm shift is being expected due to the coming of the so-called intelligent society. In the intelligent society, things or machines are able to use intelligence for the first time in history and this will bring about fundamental changes at...

      Radical paradigm shift is being expected due to the coming of the so-called intelligent society. In the intelligent society, things or machines are able to use intelligence for the first time in history and this will bring about fundamental changes at every corner of human society. This article analyzes views of the world in order to figure out basic directions of this paradigm shift. A dualistic view of world mediated by technology is suggested for a new world view of the intelligent society, based on comparison of a traditional dualistic view of world between human-nature and a tripartite view of world between human-machine-nature. This article summarizes paradigms of the intelligent society into four ; externalization of intelligence, productivity explosion, platform society, and self-organizing society. These new paradigms will provide lots of benefits such as intelligence augmentation, production capacity increase, and self-organizing effect. But at the same time, it will increase risks of system failure because of loss of human control on technologies. In conclusion, it is argued that human choices and efforts will decide the future of the intelligent society becuase the paradigm shift is value neutral in essenc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지능사회의 등장은 급격한 패러다임 변화를 몰고올 것으로 예상된다. 역사상 처음으로 사물이 지능을 갖게 되고, 그 결과 사회의 모든 영역에서 예상치 못한 변화가 초래될 것으로 보인다. 이 글은 지능사회의 변화 방향을 전망하기 위해 우선 세계관의 변화 이슈를 분석하였다. 인간과 자연을 두 축으로 하는 이원적 세계관과 인간-기계-자연으로 이루어진 삼원적 세계관을 비교한 후‘기술이 매개하는 이원적 세계관’을 지능사회의 세계관으로 제안하였다. 이 세계관에 기초하여 지능사회의 패러다임 변화방향을 네 가지로 요약하여 전망하였다. 1. 지능의 외부화, 2. 생산성 폭발, 3. 플랫폼 사회, 4. 자기조직화 사회가 그것이다. 지능기술의 발전으로 인간은 지능증강, 생산능력 제고, 자기조직화 효과 등 다양한 이점을 누리겠지만, 다른한편으로 기술에 대한 통제력이 약화되어 시스템 실패 가능성도 높아진다. 결론적으로 지능사회의 변화는 가치중립적이기 때문에 인간의 선택과 노력에 따라 유토피아가 될 수도 있고 디스토피아가 될 수도 있다.
      번역하기

      지능사회의 등장은 급격한 패러다임 변화를 몰고올 것으로 예상된다. 역사상 처음으로 사물이 지능을 갖게 되고, 그 결과 사회의 모든 영역에서 예상치 못한 변화가 초래될 것으로 보인다. ...

      지능사회의 등장은 급격한 패러다임 변화를 몰고올 것으로 예상된다. 역사상 처음으로 사물이 지능을 갖게 되고, 그 결과 사회의 모든 영역에서 예상치 못한 변화가 초래될 것으로 보인다. 이 글은 지능사회의 변화 방향을 전망하기 위해 우선 세계관의 변화 이슈를 분석하였다. 인간과 자연을 두 축으로 하는 이원적 세계관과 인간-기계-자연으로 이루어진 삼원적 세계관을 비교한 후‘기술이 매개하는 이원적 세계관’을 지능사회의 세계관으로 제안하였다. 이 세계관에 기초하여 지능사회의 패러다임 변화방향을 네 가지로 요약하여 전망하였다. 1. 지능의 외부화, 2. 생산성 폭발, 3. 플랫폼 사회, 4. 자기조직화 사회가 그것이다. 지능기술의 발전으로 인간은 지능증강, 생산능력 제고, 자기조직화 효과 등 다양한 이점을 누리겠지만, 다른한편으로 기술에 대한 통제력이 약화되어 시스템 실패 가능성도 높아진다. 결론적으로 지능사회의 변화는 가치중립적이기 때문에 인간의 선택과 노력에 따라 유토피아가 될 수도 있고 디스토피아가 될 수도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난경, "헬스케어 정보기술 분야의 연구 프레임워크 및 연구동향" 한국정보화진흥원 21 (21): 3-32, 2014

      2 조화순, "집단지성의 정치 - 지식패러다임의 변화와 민주주의의 가능성 -" 한국정보화진흥원 17 (17): 61-79, 2010

      3 김병운, "인공지능 동향분석과 국가차원 정책제언" 한국정보화진흥원 23 (23): 74-93, 2016

      4 이계원, "사회적 약자를 위한 u-City 서비스" 한국정보화진흥원 16 (16): 40-58, 2009

      5 주정민, "사물인터넷(IoT)에 관한 국내 연구 동향 분석" 한국정보화진흥원 22 (22): 3-15, 2015

      6 윤영석, "사물인터넷 신뢰 연구와 시사점: EU FP7을 중심으로" 한국정보화진흥원 23 (23): 56-73, 2016

      7 박서기, "빅데이터 보안 분야의 연구동향 분석" 한국정보화진흥원 23 (23): 3-19, 2016

      8 윤건, "규제와 진흥 관점에서 바라본 ICT 거버넌스 개편방향 연구" 한국정보화진흥원 20 (20): 20-38, 2013

      9 Hook, Leslie, "Year in a world: Gig economy"

      10 Suroweicki, James, "The Wisdom of Crowds: Why the Many Are Smarter Than the Few and How Collective Wisdom Shapes Business, Economies, Societies and Nations" Little, Brown 2004

      1 이난경, "헬스케어 정보기술 분야의 연구 프레임워크 및 연구동향" 한국정보화진흥원 21 (21): 3-32, 2014

      2 조화순, "집단지성의 정치 - 지식패러다임의 변화와 민주주의의 가능성 -" 한국정보화진흥원 17 (17): 61-79, 2010

      3 김병운, "인공지능 동향분석과 국가차원 정책제언" 한국정보화진흥원 23 (23): 74-93, 2016

      4 이계원, "사회적 약자를 위한 u-City 서비스" 한국정보화진흥원 16 (16): 40-58, 2009

      5 주정민, "사물인터넷(IoT)에 관한 국내 연구 동향 분석" 한국정보화진흥원 22 (22): 3-15, 2015

      6 윤영석, "사물인터넷 신뢰 연구와 시사점: EU FP7을 중심으로" 한국정보화진흥원 23 (23): 56-73, 2016

      7 박서기, "빅데이터 보안 분야의 연구동향 분석" 한국정보화진흥원 23 (23): 3-19, 2016

      8 윤건, "규제와 진흥 관점에서 바라본 ICT 거버넌스 개편방향 연구" 한국정보화진흥원 20 (20): 20-38, 2013

      9 Hook, Leslie, "Year in a world: Gig economy"

      10 Suroweicki, James, "The Wisdom of Crowds: Why the Many Are Smarter Than the Few and How Collective Wisdom Shapes Business, Economies, Societies and Nations" Little, Brown 2004

      11 Coyle, Diane, "The Weightless World : Strategies for Managing the Digital Economy" Capstone 1997

      12 Kurzweil, Ray, "The Singularity is Near" Penguin Group 2005

      13 Brynjolfsson, Erik, "The Second Machine Age : Work, Progress, and Prosperity in a Time of Brilliant Technologies" 2014

      14 Frey, Carl Benedikt, "The Future of Employment : How Susceptible are Jobs to Computerization?"

      15 Schwab, Klaus,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World Economic Forum 2016

      16 Pasquale, Frank, "The Black Box Society : The Secret Algorithms that Control Money and Information" Harvard University Press 2015

      17 Wikipedia, "Technological singularity"

      18 Eisenmann, Thomas, "Strategies for Two-Sided Markets" 2006

      19 Wikipedia, "Self-organization"

      20 Graetz, Georg, "Robots at Work"

      21 Russell, Stuart, "Research Priorities for Robust and Beneficial Artificial Intelligence" (Winter) : 2015

      22 Brynjolfsson, Erik, "Race against the Machine" Digital Frotier Press 2011

      23 Wikipedia, "Post-scarcity economy"

      24 Business Wire, "Panasonic Contributes to Singapore’s Self-Sufficiency Level of Vegetables with First Indoor Vegetable Farm"

      25 The White House, "Occupational Licensing : A Framework for Policymakers"

      26 OECD, "OECD Compendium of Productivity Indicators 2015"

      27 Hollinger, Peggy, "Meet the cobots: humans and robots together on the factory floor"

      28 Suroweicki, James, "Mass Intelligence"

      29 Sheehan, Brendan, "Introduction to the Economics of Abundance : Working Paper for the Post-Keynesian Study Group"

      30 Commons, John R., "Institutional Economics" 21 : 1931

      31 성태윤, "IT를 통한 고용창출: 정책 이슈와 제안" 한국정보화진흥원 16 (16): 27-46, 2009

      32 Nilsson, Nils J., "Human-Level Artificial Intelligence? Be Serious!" (Winter) : 2005

      33 West, Darrell M., "How technology is changing manufacturing"

      34 Hickman, Leo, "How algorithms rule the world"

      35 Ticoll, David, "Get Self-Organized" 2014

      36 Muller, Vincent C., "Fundamental Issues of Artificial Intelligence" Springer 2016

      37 CFTC, "Findings Regarding The Market Events of May 6, 2010 : Report of the Staffs of the CFTC and SEC to the Joint Advisory Committee on Emerging Regulatory Issues"

      38 Claeys, Luc, "Externalization of human intelligence affects the brain"

      39 Murray, Cameron K., "Economies of scale do not equal productivity"

      40 The White House, "Economic Report of the President"

      41 McKinsey, "Digital Globalization : The New Era of Global Flows" 2016

      42 The Verge, "DeepMind founder Demis Hassabis on how AI will shape the future"

      43 Wikipedia, "Collective intelligence"

      44 Kenney, Martin, "Choosing a Future in the Platform Economy: The Implications and Consequences of Digital Platform" 2015

      45 Russell, Stuart, "Artificial Intelligence : A Modern Approach" Prentice Hall 2010

      46 진상기, "An Analysis of the Impact of National ICT Development on Economic Growth" 한국정보화진흥원 19 (19): 64-93, 201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11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정보사회진흥원 -> 한국정보화진흥원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6-1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Informatization Policy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4-19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전산원 -> 한국정보사회진흥원
      영문명 : 미등록 -> 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
      KCI등재
      2005-05-28 학술지등록 한글명 : 정보화정책
      외국어명 : 미등록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0-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55 1.55 1.5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44 1.31 1.756 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