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문제 본 연구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설정한 구체적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소비자가 패션제품을 처음 접한 시점에서 나타나는 심미성 반응을 웨어러블 기기를 통해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G3713475
2016년
Korean
한국연구재단(NRF)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연구문제 본 연구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설정한 구체적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소비자가 패션제품을 처음 접한 시점에서 나타나는 심미성 반응을 웨어러블 기기를 통해 ...
연구문제
본 연구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설정한 구체적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소비자가 패션제품을 처음 접한 시점에서 나타나는 심미성 반응을 웨어러블 기기를 통해 측정하여, 새로운 측정도구로서의 가능성을 탐색한다.
연구문제 2. 웨어러블 기기를 통해 측정된 심미성 반응과 자기 기입식 설문에 의한 경험적 방법을 비교하여 웨어러블 기기에 의한 측정을 검증한다.
연구문제 3. 웨어러블 기기를 통해 측정된 심미성 반응과 기존의 생리적 측정방법에 의해 측정된 데이터를 비교하여 웨어러블 기기에 의한 측정을 검증한다.
연구내용
본 연구에서는 2차례에 걸쳐 실험 연구를 진행하며, Study 1에서는 연구문제 1과 2, Study 2에서는 연구문제 3에 대한 답을 얻고자 한다. 연구는 가상매장에서 패션제품을 쇼핑하는 상황에서 소비자의 생리적 반응을 측정한 후, 설문에 응답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연구에 사용될 가상매장과 패션제품 자극물은 제작, 사전조사, 수정의 과정을 반복하여 결정하고자 한다.
Study 1 개요
피험자가 가상매장에서 패션제품을 둘러보는 동안, 웨어러블이 심박수와 전기전도도를 측정하게 된다. 쇼핑이 끝나면, 피험자는 제품에 대한 흥미와 미적 평가에 대한 설문에 응답하며, 환경적, 개인적 특성의 영향을 고려하기 위해 매장환경에 대한 흥미와 즐거움, 제품선호, 패션관여도, 인구통계적 특성을 추가적으로 측정한다.
분석과정에서 생리적 데이터(심박수, 심박수의 변산, 피부전기도, 피부전기도의 변산)가 큰 제품들과 낮은 제품들간 차이를 분산분석을 통해 확인하여, 웨어러블이 소비자의 심미성 지각을 실제로 측정할 수 있는지 확인한다(연구문제 1). 이후, 생리적 데이터를 독립변수, 흥미와 미적 평가 설문 측정치를 종속변수로 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하며, 이들간의 상관관계도 분석한다. 이를 통해 웨어러블 측정치와 소비자가 응답한 심미성 지각간 관계를 확인하여 웨어러블의 측정 가능성을 보이고자 한다(연구문제 2).
Study 2 개요
패션제품은 Study 1과 동일하되, 피험자가 매장 안에서 이동하는 상황으로 가상매장을 구성하여 실제 쇼핑환경을 반영하고자 한다. Study 2에서는 피험자의 생리적 반응을 기존의 생리적 측정도구인 BIOPAC과 웨어러블을 동시에 사용하여 측정한다.
웨어러블로 측정된 생리적 데이터와 BIOPAC로 측정된 데이터간의 상관관계 분석, 회귀분석을 통해 두 방법의 관계를 확인함으로써 웨어러블의 측정가능성을 다시 한번 증명하고자 한다(연구문제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