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웹 기반을 통한 현대중국어 중간언어 말뭉치 개발과 응용 방안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G373370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제목은 ‘웹 기반을 통한 현대중국어 중간언어 말뭉치 개발과 응용 방안 연구(A00565)’로 2009, 2010년 2년 동안 진행된 연구과제이다. 연구의 목적은 모국어가 한국어인 중국어 학습자의 현대중국어 중간언어(Inter-language) 말뭉치(Corpus)를 개발하고, 이를 기반으로 한 응용 방안의 모색에 있다. 다시 말하자면, 본 연구는 웹을 기반으로 하는, 한국어가 모국어인 중국어 학습자의 학습과정 중에서 발생되는 여러 가지 언어 자료를 모아놓은 집합체를 만드는 것이다.
      다년도 연구 실행 결과를 간략하게 정리하자면, 1차년도(2009년 11월∼2010년 10월까지)의 연구 목표는 한국어 모국어자의 중국어 중간언어 말뭉치 자료 수정, 웹상에 중간언어 말뭉치 설계, 품사 태깅 작업이다. 이를 통해 만든 연구 결과물은 http://jit.jj.ac.kr:8080/corpus/index.jsp 이다. 이 말뭉치의 제목은 ‘모국어가 한국어인 중국어 학습자의 중간언어 말뭉치’이다.
      2차년도(2010년 11월∼2011년 10월까지)의 연구 목표는 완성된 말뭉치를 활용한 중국어교육 분야의 연구 형태 개발에 중점을 두었다. 연구자는 말뭉치를 사용하여 모국어가 한국어인 중국어 학습자의 문법항목 빈도와 중국에서 중국인을 조사한 문법항목 빈도와 비교를 하였다. 조사는 한자 영역, 문법 영역, 어휘 영역으로 나누어 조사하였다. 조사 결과는 한국어 학습자에게 적합한 중국어 문법항목의 선정을 다시 만들어야 한다는 결과를 얻었다. 이 연구결과는 「중국어 학습자의 문법항목 빈도 조사 小考」라는 제목으로 중국어문학논집 제67호(2011.4)에 발표되었다. 그리고 현재 또 다른 연구 결과물로 「韓籍漢語學習者‘了’的習得研究」가 논문심사 중에 있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은 사회적 기여가 있으리라 생각된다.
      1) 학문적․사회적 기여도
      본 연구의 학문적․사회적 기여도는 다음의 2가지 방향으로 생각해 볼 수 있다.
      첫째, 중국어교육 연구를 위한 기초 자료로서의 공헌이다. 박용진(2005)의 조사에 의하면, 1993-2004년까지 발표된 중국어학 관련 논문은 1,500편 정도이며, 이 중 중국어교육에 관련된 연구논문은 150편에 해당한다. 비록 1993년 이후 조금씩 성장하다가 2000년도 들어 비약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지만, 아직도 중국어교육이라는 분야에 대한 인식이 부족하다. 그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겠지만, 본 연구자가 생각하기에 그 주된 이유는 중국어교육 연구자의 연구 태도에 있다고 본다. 다시 말하자면, 중국어교육 연구에 있어서 경험은 중요한 기반이 되지만, 관찰․기술․실험이 병행된 연구가 되어야 하는데, 그렇지 못한 관계로 연구논문에 보이는 데이터에 대한 신뢰도가 아주 떨어진다. 그리고 관찰과 실험도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 이런 이유 때문에 대부분의 교육논문의 결론은 ‘이런 식으로 교육하는 것이 좋겠다.’, ‘좋을 것이다.’, ‘사용할 만하다.’와 같은 의견제시 투로 결론이 맺어진다. 이에 본 연구 자료는 교육연구에 객관적인 자료를 제공하는 중요한 초석이 되리라 생각한다.
      둘째, 중국어교육 분야가 중국어학 분야에서 벗어나 독립된 한 분야로 설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한다. 지금까지 중국어교육 연구 내용을 살펴보면, 중국어교육 분야가 아직 중국어학의 틀에서 벗어나지 못하여, 많은 연구논문에서 어학에 대한 토론은 많은 부분을 차지하지만, 교육에 대한 토론은 대부분 간결하게 정리하고 결
      번역하기

      본 연구의 제목은 ‘웹 기반을 통한 현대중국어 중간언어 말뭉치 개발과 응용 방안 연구(A00565)’로 2009, 2010년 2년 동안 진행된 연구과제이다. 연구의 목적은 모국어가 한국어인 중국어 학습...

      본 연구의 제목은 ‘웹 기반을 통한 현대중국어 중간언어 말뭉치 개발과 응용 방안 연구(A00565)’로 2009, 2010년 2년 동안 진행된 연구과제이다. 연구의 목적은 모국어가 한국어인 중국어 학습자의 현대중국어 중간언어(Inter-language) 말뭉치(Corpus)를 개발하고, 이를 기반으로 한 응용 방안의 모색에 있다. 다시 말하자면, 본 연구는 웹을 기반으로 하는, 한국어가 모국어인 중국어 학습자의 학습과정 중에서 발생되는 여러 가지 언어 자료를 모아놓은 집합체를 만드는 것이다.
      다년도 연구 실행 결과를 간략하게 정리하자면, 1차년도(2009년 11월∼2010년 10월까지)의 연구 목표는 한국어 모국어자의 중국어 중간언어 말뭉치 자료 수정, 웹상에 중간언어 말뭉치 설계, 품사 태깅 작업이다. 이를 통해 만든 연구 결과물은 http://jit.jj.ac.kr:8080/corpus/index.jsp 이다. 이 말뭉치의 제목은 ‘모국어가 한국어인 중국어 학습자의 중간언어 말뭉치’이다.
      2차년도(2010년 11월∼2011년 10월까지)의 연구 목표는 완성된 말뭉치를 활용한 중국어교육 분야의 연구 형태 개발에 중점을 두었다. 연구자는 말뭉치를 사용하여 모국어가 한국어인 중국어 학습자의 문법항목 빈도와 중국에서 중국인을 조사한 문법항목 빈도와 비교를 하였다. 조사는 한자 영역, 문법 영역, 어휘 영역으로 나누어 조사하였다. 조사 결과는 한국어 학습자에게 적합한 중국어 문법항목의 선정을 다시 만들어야 한다는 결과를 얻었다. 이 연구결과는 「중국어 학습자의 문법항목 빈도 조사 小考」라는 제목으로 중국어문학논집 제67호(2011.4)에 발표되었다. 그리고 현재 또 다른 연구 결과물로 「韓籍漢語學習者‘了’的習得研究」가 논문심사 중에 있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은 사회적 기여가 있으리라 생각된다.
      1) 학문적․사회적 기여도
      본 연구의 학문적․사회적 기여도는 다음의 2가지 방향으로 생각해 볼 수 있다.
      첫째, 중국어교육 연구를 위한 기초 자료로서의 공헌이다. 박용진(2005)의 조사에 의하면, 1993-2004년까지 발표된 중국어학 관련 논문은 1,500편 정도이며, 이 중 중국어교육에 관련된 연구논문은 150편에 해당한다. 비록 1993년 이후 조금씩 성장하다가 2000년도 들어 비약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지만, 아직도 중국어교육이라는 분야에 대한 인식이 부족하다. 그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겠지만, 본 연구자가 생각하기에 그 주된 이유는 중국어교육 연구자의 연구 태도에 있다고 본다. 다시 말하자면, 중국어교육 연구에 있어서 경험은 중요한 기반이 되지만, 관찰․기술․실험이 병행된 연구가 되어야 하는데, 그렇지 못한 관계로 연구논문에 보이는 데이터에 대한 신뢰도가 아주 떨어진다. 그리고 관찰과 실험도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 이런 이유 때문에 대부분의 교육논문의 결론은 ‘이런 식으로 교육하는 것이 좋겠다.’, ‘좋을 것이다.’, ‘사용할 만하다.’와 같은 의견제시 투로 결론이 맺어진다. 이에 본 연구 자료는 교육연구에 객관적인 자료를 제공하는 중요한 초석이 되리라 생각한다.
      둘째, 중국어교육 분야가 중국어학 분야에서 벗어나 독립된 한 분야로 설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한다. 지금까지 중국어교육 연구 내용을 살펴보면, 중국어교육 분야가 아직 중국어학의 틀에서 벗어나지 못하여, 많은 연구논문에서 어학에 대한 토론은 많은 부분을 차지하지만, 교육에 대한 토론은 대부분 간결하게 정리하고 결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following research was conducted from 2009 to 2010 for two years under the title of "The Development of Web-Based Chinese Inter-language Corpus and its application(A00565)." The objectives for the first stage(from November 2009 to October 2010) of this research were to edit the data of the Chinese interlanguage corpus for native speakers of Korean, design an interlanguage corpus website, and tag them according to parts of speech. The results were published in The Journal of Chinese Language and Literature Vol. 67(2010.6) under the title of "The Development of Web-Based Chinese interlanguage Corpus and its application." The address of the website for Chinese interlanguage corpus for native Korean speakers who are learning Chinese is http://jit.jj.ac.kr:8080/corpus/index.jsp.
      The second stage(From November 2010 to October 2011) of the research focused on developing and improving the methods of research in the field of Chinese language by utilizing the completed corpu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was published in The Journal of Chinese Language and Literature Vol. 67(2011.4) under the title of "The Search of the Grammar points for L2 Chinese." Additionally, another research paper titled "The Acquisition of ‘了 Le’ in L2 Chinese for Korean Learners" is under the review process. With these three research papers, along with the development of an interlanguage corpus of native Korean speakers learning Chinese, I firmly believe an intuitive research model has been developed in the Chinese language field.
      This body of research is a significant contribution to the Chinese language education area of study and I believe this data can help the field of Chinese Language Education branch off into its own discipline from Chinese Language Studies. I believe this research will have a profound effect in Chinese language study, instruction and research.
      번역하기

      The following research was conducted from 2009 to 2010 for two years under the title of "The Development of Web-Based Chinese Inter-language Corpus and its application(A00565)." The objectives for the first stage(from November 2009 to October 2010) of...

      The following research was conducted from 2009 to 2010 for two years under the title of "The Development of Web-Based Chinese Inter-language Corpus and its application(A00565)." The objectives for the first stage(from November 2009 to October 2010) of this research were to edit the data of the Chinese interlanguage corpus for native speakers of Korean, design an interlanguage corpus website, and tag them according to parts of speech. The results were published in The Journal of Chinese Language and Literature Vol. 67(2010.6) under the title of "The Development of Web-Based Chinese interlanguage Corpus and its application." The address of the website for Chinese interlanguage corpus for native Korean speakers who are learning Chinese is http://jit.jj.ac.kr:8080/corpus/index.jsp.
      The second stage(From November 2010 to October 2011) of the research focused on developing and improving the methods of research in the field of Chinese language by utilizing the completed corpu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was published in The Journal of Chinese Language and Literature Vol. 67(2011.4) under the title of "The Search of the Grammar points for L2 Chinese." Additionally, another research paper titled "The Acquisition of ‘了 Le’ in L2 Chinese for Korean Learners" is under the review process. With these three research papers, along with the development of an interlanguage corpus of native Korean speakers learning Chinese, I firmly believe an intuitive research model has been developed in the Chinese language field.
      This body of research is a significant contribution to the Chinese language education area of study and I believe this data can help the field of Chinese Language Education branch off into its own discipline from Chinese Language Studies. I believe this research will have a profound effect in Chinese language study, instruction and research.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