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한국인의 나이와 성별, 지역에 따른 골밀도의 변화(2003~2004) = Age-, Gender- and Region- Related Changes in Bone Mineral Density of Korean Adult (2003~2004)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59910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목적: 골다공증의 유병률은 증가하고 있으나 우리의 골다공증 진단 기준이 없는 것이 현실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우리 골밀도 자료를 아이와 지역, 성별, 부위에 따라 분석하여 보았다.

      방법: 2003~2004년에 시행한 골밀도 검사 50,208 예의 요추와 50,026 예의 대퇴골의 골밀도를 각 연령군으로 나누어서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골밀도 검사는 DEXA-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결과: 여성 요추 골밀도는 35~44세 군에서 0.985 ±0.129 g/cm2로 가장 높았고 이후 감소하기 시작하여 폐경기에 골밀도의 감소가 가장 컸다. 남성에서는 25~34세의 골밀도(1.011±0.118 g/cm2)가 가장 높았다. 대퇴골의 골밀도는 여성의 경우 35~44세에서 0.864±0.114 g/cm2로, 남성의 경우 25~34세에서 골밀도가 0.960±0.133 g/cm2로 가장 높았다. 지역에 따라서는 서울 이외의 지역의 peak BMD가 높았으나 오히려 골밀도의 감소 속도는 빨랐다.

      결론: 우리나라인구 집단에서의 골밀도는 남성에서는 30살 전후로 여성에서는 40세 전후로 최대 골밀도에 도달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으며 서울보다 서울 이외의 지역에서의 골밀도의 감소가 심하였다.
      번역하기

      목적: 골다공증의 유병률은 증가하고 있으나 우리의 골다공증 진단 기준이 없는 것이 현실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우리 골밀도 자료를 아이와 지역, 성별, 부위에 따라 분석하여 보았다. ...

      목적: 골다공증의 유병률은 증가하고 있으나 우리의 골다공증 진단 기준이 없는 것이 현실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우리 골밀도 자료를 아이와 지역, 성별, 부위에 따라 분석하여 보았다.

      방법: 2003~2004년에 시행한 골밀도 검사 50,208 예의 요추와 50,026 예의 대퇴골의 골밀도를 각 연령군으로 나누어서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골밀도 검사는 DEXA-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결과: 여성 요추 골밀도는 35~44세 군에서 0.985 ±0.129 g/cm2로 가장 높았고 이후 감소하기 시작하여 폐경기에 골밀도의 감소가 가장 컸다. 남성에서는 25~34세의 골밀도(1.011±0.118 g/cm2)가 가장 높았다. 대퇴골의 골밀도는 여성의 경우 35~44세에서 0.864±0.114 g/cm2로, 남성의 경우 25~34세에서 골밀도가 0.960±0.133 g/cm2로 가장 높았다. 지역에 따라서는 서울 이외의 지역의 peak BMD가 높았으나 오히려 골밀도의 감소 속도는 빨랐다.

      결론: 우리나라인구 집단에서의 골밀도는 남성에서는 30살 전후로 여성에서는 40세 전후로 최대 골밀도에 도달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으며 서울보다 서울 이외의 지역에서의 골밀도의 감소가 심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덕윤, "골밀도 측정의 올바른 임상 적용" 대한핵의학회 38 (38): 275-281, 2004

      2 "Who are candidates for prevention and treatment for osteoporosis?" 7 : 1-6, 1997

      3 Zmuda JM, "Vitamin D receptor gene polymorphisms, bone turnover, and rates of bone loss in older African-American women" 12 : 1446-1452, 1997

      4 Nordin BE, "The relative contributions of age and years since menopause to postmenopausal bone loss" 70 : 83-88, 1990

      5 Arden NK, "The heritability of bone mineral density, ultrasound of the calcaneus and hip axis length: a study of postmenopausal twins" 11 : 530-534, 1996

      6 Vogel JM, "The effects of smoking on bone mass and the rates of bone loss among elderly Japanese- American men" 12 : 1495-1501, 1997

      7 Kanis JA, "The diagnosis of osteoporosis" 9 : 1137-1141, 1994

      8 Pouilles JM, "Risk factors of vertebral osteoporosis. Results of a study of 2279 women referred to a menopause clinic" 58 : 169-177, 1991

      9 Høiberg M, "Population-based reference values for bone mineral density in young men" 18 : 1507-1514, 2007

      10 "NIH Consensus Development Panel on Osteoporosis Prevention, Diagnosis, and Therapy, March 7- 29, 2000: highlights of the conference" 94 : 569-573, 2001

      1 김덕윤, "골밀도 측정의 올바른 임상 적용" 대한핵의학회 38 (38): 275-281, 2004

      2 "Who are candidates for prevention and treatment for osteoporosis?" 7 : 1-6, 1997

      3 Zmuda JM, "Vitamin D receptor gene polymorphisms, bone turnover, and rates of bone loss in older African-American women" 12 : 1446-1452, 1997

      4 Nordin BE, "The relative contributions of age and years since menopause to postmenopausal bone loss" 70 : 83-88, 1990

      5 Arden NK, "The heritability of bone mineral density, ultrasound of the calcaneus and hip axis length: a study of postmenopausal twins" 11 : 530-534, 1996

      6 Vogel JM, "The effects of smoking on bone mass and the rates of bone loss among elderly Japanese- American men" 12 : 1495-1501, 1997

      7 Kanis JA, "The diagnosis of osteoporosis" 9 : 1137-1141, 1994

      8 Pouilles JM, "Risk factors of vertebral osteoporosis. Results of a study of 2279 women referred to a menopause clinic" 58 : 169-177, 1991

      9 Høiberg M, "Population-based reference values for bone mineral density in young men" 18 : 1507-1514, 2007

      10 "NIH Consensus Development Panel on Osteoporosis Prevention, Diagnosis, and Therapy, March 7- 29, 2000: highlights of the conference" 94 : 569-573, 2001

      11 Kaptoge S, "Geographical variation in DXA bone mineral density in young European men and women. Results from the Network in Europe on Male Osteoporosis (NEMO) study" 43 : 332-339, 2008

      12 Lotz JC, "Fracture prediction for the proximal femur using finite element models: Part I--Linear analysis" 113 : 353-360, 1991

      13 Henry YM, "Ethnic and gender differences in bone mineral density and bone turnover in young adults: effect of bone size" 11 : 512-517, 2000

      14 Liu ZH, "Epidemiological investigation of peak bone density and the incidence of osteoporosis in China" 12 : 245-, 1997

      15 Haapasalo H, "Effect of longterm unilateral activity on bone mineral density of female junior tennis players" 13 : 310-319, 1998

      16 Ryu Gun-Chun, "Determinants and Macro-efficiency of the National Health Expenditure: The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17 "Consensus development conference: diagnosis, prophylaxis, and treatment of osteoporosis" 94 : 646-650, 1993

      18 Kanis JA, "A reference standard for the description of osteoporosis" 42 : 467-475, 200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16-05-01 평가 학술지 통합(기타)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기타) KCI등재후보
      2011-05-24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OSTEOPOROSIS</br>외국어명 :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steoporosis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