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금석문은 한국고대사 연구에 유익하게 활용되고 있다. 그럼에도 그것은 국내 금석문에 비해 관련 자료의 양이 적을뿐더러 포괄하는 내용 또한 다양하지 못하다. 특히 중국 금석문은 신...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5048694
2017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179-209(31쪽)
6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중국 금석문은 한국고대사 연구에 유익하게 활용되고 있다. 그럼에도 그것은 국내 금석문에 비해 관련 자료의 양이 적을뿐더러 포괄하는 내용 또한 다양하지 못하다. 특히 중국 금석문은 신...
중국 금석문은 한국고대사 연구에 유익하게 활용되고 있다. 그럼에도 그것은 국내 금석문에 비해 관련 자료의 양이 적을뿐더러 포괄하는 내용 또한 다양하지 못하다. 특히 중국 금석문은 신라의 대당외교와 전쟁, 문화교류와 인적왕래 같은 한중교류사에 한정되고, 국내의 정치, 경제, 사회, 문화에 관한 내용은 찾아보기 어렵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특성을 감안하여 나당교류사를 중심으로 신라사의 일부를 보완하였다.
우선 「당평백제비」를 활용하여 나당연합군의 구성과 운용에 대한 몇 가지 사실을 보완하였고, 「곽행절묘지」를 통하여 大同江口에서 벌어진 나당간 해전의 실상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만년궁명비」를 이용하여 金仁問의 입당 행적을 추적하였고, 중국의 여러 묘지명을 분석하여 당 사절의 신라 내왕을 보다 구체적으로 재구성하였다. 또한 「곤유산무염선원비」를 통해 재당 신라인의 활동을 보정하였고, 「혜각선사비」를 통하여 최치원이 언급한 신라의 西化 구법승 ‘常山 慧覺’의 실체를 확인하였다.
신라 관련 중국 금석문은 고구려와 백제 관련 자료에 비해 양적, 질적으로 매우 빈약하다. 본고에서는 얼마 되지 않는 신라 관련 중국 금석문을 통해 나름의 유의미한 결론을 도출하려고 시도하였다. 이러한 시도가 신라를 넘어 백제와 고구려 관련 중국 금석문까지 넓혀진다면, 한국고대사는 더욱 풍성해질 것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Chinese epigraphy has been used for the study of Silla history. Although there are not many quantities of related data, they have an important value in complementing Silla’s foreign affairs, wars, cultural exchanges and human traffics with T’a...
The Chinese epigraphy has been used for the study of Silla history. Although there are not many quantities of related data, they have an important value in complementing Silla’s foreign affairs, wars, cultural exchanges and human traffics with T’ang China. In this paper, I supplemented some of Silla history with the use of Chinese epigraphy.
I supplemented some facts about the composition and operation of the allied troops of Silla and T’ang using the Tangpyeongbaekjebi(당평 백제비), and confirmed the actual situation of the naval battle at the Daedong River estuary through the Gwak-haengjeol memorial inscription(곽행절묘지)". And we traced the diplomatic activities of Kim-Inmoon(김인문) using Manyeongungbi(만년궁명비), reconstructed the T’ang embassy visiting to the Silla in detail by analyzing the various epitaphs in China.
In addition, I supplemented the activities of the Silla residents in T’ang China through the Gonyusan muyeomseonwonbi(곤유산무염선원비), and confirmed the reality of Sangsan Hyegag(상산 혜각) who had died in China through the Hyegagseonsabi(혜각선사비).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서영교, "羅唐戰爭史 硏究" 아세아문화사 2006
2 권덕영, "중국 산동성 무염원에 대한 몇가지 문제" 신라문화연구소 (28) : 143-165, 2006
3 박현규, "원탁본〈唐无染禪院碑〉고찰" 신라사학회 (12) : 327-338, 2008
4 민덕식, "연구논문 : 당 시장군 정사초당비에 대한 검토" 백제문화연구소 (31) : 155-189, 2002
5 권덕영, "신라의 바다 황해" 일조각 2012
6 권덕영, "신라사 補正을 위한 당 金石文 기초 연구" 신라사학회 (38) : 147-180, 2016
7 許重權, "신라 통일전쟁사의 군사학적 연구" 韓國敎員大學校 大學院 1995
8 루정호, "새로 發見된 新羅 入唐求法僧 惠覺禪師의 碑銘" 역사연구소 (73) : 1-35, 2011
9 노태돈, "삼국통일전쟁사" 서울대학교 출판문화원 2009
10 이희진, "백제의 멸망과정에 나타난 군사상황의 재검토" 64 : 2001
1 서영교, "羅唐戰爭史 硏究" 아세아문화사 2006
2 권덕영, "중국 산동성 무염원에 대한 몇가지 문제" 신라문화연구소 (28) : 143-165, 2006
3 박현규, "원탁본〈唐无染禪院碑〉고찰" 신라사학회 (12) : 327-338, 2008
4 민덕식, "연구논문 : 당 시장군 정사초당비에 대한 검토" 백제문화연구소 (31) : 155-189, 2002
5 권덕영, "신라의 바다 황해" 일조각 2012
6 권덕영, "신라사 補正을 위한 당 金石文 기초 연구" 신라사학회 (38) : 147-180, 2016
7 許重權, "신라 통일전쟁사의 군사학적 연구" 韓國敎員大學校 大學院 1995
8 루정호, "새로 發見된 新羅 入唐求法僧 惠覺禪師의 碑銘" 역사연구소 (73) : 1-35, 2011
9 노태돈, "삼국통일전쟁사" 서울대학교 출판문화원 2009
10 이희진, "백제의 멸망과정에 나타난 군사상황의 재검토" 64 : 2001
11 이상훈, "나당전쟁 연구" 주류성 출판사 2012
12 池內宏, "高句麗滅亡後の遺民の叛亂及び唐と新羅との關係" 12 : 1930
13 中國社會科學院考古硏究所, "隋仁壽宮・唐九成宮-考古發掘報告" 科學出版社 2008
14 張忠植, "金泉 彌勒庵 柴將軍碑의 調査" 15 : 1999
15 南東信, "譯註 韓國古代金石文" 가락국사적개발연구원 1992
16 岑仲勉, "證史補遺-萬年宮碑碑陰補證" 12 : 1947
17 拜根興, "萬年宮銘碑陰題名与新羅使者金仁問" 寶鷄市九成宮文化硏究會 2012
18 張維慎, "萬年宮銘碑陰三品以上從官題名考" 寶鷄市九成宮文化硏究會 2012
19 拜根興, "石刻墓誌與唐代東亞交流硏究" 과학출판사 2015
20 拜根興, "新羅眞德王代的對唐外交" 102 (102): 2001
21 권덕영, "新羅 관련 唐 金石文의 기초적 검토" 한국사연구회 (142) : 33-67, 2008
22 李宗勳, "張保皐 해양경영사연구" 이진 1993
23 劉永智, "山東省文登市崑崳山无染寺(院)系新羅人金淸資助所建造" 中州古籍出版社 1994
24 권덕영, "在唐 新羅人社會와 赤山 法花院" 62 : 2001
25 閔泳珪, "四川講壇" 又半 1994
26 山崎 覺士, "唐末五代における杭州と浙地方 -9-10世紀中港都市と河口域-" 중국사학회 (40) : 131-152, 2006
27 拜根興, "唐朝与新羅往來硏究二題" (3) : 2011
28 拜根興, "唐含資道惚管柴將軍精舍草堂之銘考釋" 23 : 2000
29 植田喜兵成智, "唐人郭行節墓誌からみえる羅唐戰爭-671年の新羅征討軍派遣問題を中心に" 96 (96): 2014
30 魏益壽, "唐九成宮" 三秦出版社 2005
31 권덕영, "唐 墓誌의 고대 한반도 삼국 명칭에 대한 검토" 한국고대사학회 (75) : 105-138, 2014
32 권덕영, "唐 九成宮의 김인문 친필 書跡" 신라사학회 (34) : 301-333, 2015
33 麟游縣人民政府, "九成宮槪覽" 石鼓編輯部 2010
34 문동석, "660년 7월 백제와 신라의 황산벌 전투" 신라사학회 (38) : 39-63, 2016
16-17세기 포르투갈의 對동아시아 무역의 성쇠: 마카오를 중심으로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52 | 0.52 | 0.56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65 | 0.67 | 1.012 | 0.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