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환경침해의 위법성 판단과 수인한도의 법리에 관한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638078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e judicial relief on environmental invasion, an illegality is an important element. The Judgement of an illegality in general settles the theory of the endurance limit. An illegality is to be against the endurance limit. As an illegality standard, we have to bear a certain level of environmental invasion each other in our communal living but for illegal environmental pollution above a certain level; it has been considered the endurance limit as a standard. This theory, attempt to determine when environmental invasion exceeds the endurance limit, taking into account all relevant circumstances, including as the extent of the harm involved, the character of the harm involved and social valuation thereof, the suitability of the conduct to the character of the locality, priority in utilization of land, practicability of preventing or avoiding the invasion, the matters relating to breach of public law, and so forth. Basically it balances all relevant interests, heavily relying on the fundamental concept of equity. Any judgment on whether environmental invasion exceeds the endurance limit should be conducted by balancing all relevant factors, such as the specific characteristic and types of interests violated against factors of nuisance.
      번역하기

      In the judicial relief on environmental invasion, an illegality is an important element. The Judgement of an illegality in general settles the theory of the endurance limit. An illegality is to be against the endurance limit. As an illegality standard...

      In the judicial relief on environmental invasion, an illegality is an important element. The Judgement of an illegality in general settles the theory of the endurance limit. An illegality is to be against the endurance limit. As an illegality standard, we have to bear a certain level of environmental invasion each other in our communal living but for illegal environmental pollution above a certain level; it has been considered the endurance limit as a standard. This theory, attempt to determine when environmental invasion exceeds the endurance limit, taking into account all relevant circumstances, including as the extent of the harm involved, the character of the harm involved and social valuation thereof, the suitability of the conduct to the character of the locality, priority in utilization of land, practicability of preventing or avoiding the invasion, the matters relating to breach of public law, and so forth. Basically it balances all relevant interests, heavily relying on the fundamental concept of equity. Any judgment on whether environmental invasion exceeds the endurance limit should be conducted by balancing all relevant factors, such as the specific characteristic and types of interests violated against factors of nuisanc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 Ⅱ. 위법성의 판단방법과 수인한도 법리의 발전
      • 1. 위법성 판단방법에 관한 검토
      • 2. 수인한도와 위법성의 관계
      • Ⅲ. 수인한도의 구체적 판단요소 검토
      • Ⅰ. 서 론
      • Ⅱ. 위법성의 판단방법과 수인한도 법리의 발전
      • 1. 위법성 판단방법에 관한 검토
      • 2. 수인한도와 위법성의 관계
      • Ⅲ. 수인한도의 구체적 판단요소 검토
      • 1. 수인한도 판단요소와 소송구조
      • 2. 구체적 판단요소
      • Ⅳ. 결 언
      • 참 고 문 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재호, "환경피해의 구제(Ⅰ)" 충남대학교 법학연구소 14 (14): 1992

      2 손 윤 하, "환경침해를 원인으로 한 민사소송에 관한 문제" 한국법학원 (81) : 120-152, 2004

      3 법원행정처, "환경재판실무편람" 2003

      4 윤철홍, "환경이익침해에 대한 사법적 구제" 7 (7): 2000

      5 최상회, "환경오염의 민사책임법리" 충북대학교 2001

      6 구연창, "환경오염의 민사상 책임, 손해배상의 제문제[황적인박사 화갑기념논문집]" 박영사 1990

      7 한영표, "환경오염으로 인한 배상책임의 구조" 부산판례연구회 13 : 2002

      8 최상호, "환경오염에 있어서의 위법성" 계명대학교 법학연구소 2 : 1998

      9 오석락, "환경소송의 제문제" 삼영사 1996

      10 서희원, "환경소송에 관한 연구" 조선대학교 2003

      1 김재호, "환경피해의 구제(Ⅰ)" 충남대학교 법학연구소 14 (14): 1992

      2 손 윤 하, "환경침해를 원인으로 한 민사소송에 관한 문제" 한국법학원 (81) : 120-152, 2004

      3 법원행정처, "환경재판실무편람" 2003

      4 윤철홍, "환경이익침해에 대한 사법적 구제" 7 (7): 2000

      5 최상회, "환경오염의 민사책임법리" 충북대학교 2001

      6 구연창, "환경오염의 민사상 책임, 손해배상의 제문제[황적인박사 화갑기념논문집]" 박영사 1990

      7 한영표, "환경오염으로 인한 배상책임의 구조" 부산판례연구회 13 : 2002

      8 최상호, "환경오염에 있어서의 위법성" 계명대학교 법학연구소 2 : 1998

      9 오석락, "환경소송의 제문제" 삼영사 1996

      10 서희원, "환경소송에 관한 연구" 조선대학교 2003

      11 조은래, "환경권과 생활방해에 대한 위법성판단의 연구" 한국법학회 18 (18): 929-954, 2005

      12 김시승, "환경권과 그 침해에 대한 사법적 구제" 부산판례연구회 12 : 2001

      13 尹庸碩, "토지소유권의 침해와 수인의무" 법학연구소 48 (48): 901-928, 2007

      14 이은영, "채권각론" 박영사 2007

      15 곽윤직, "채권각론" 박영사 2007

      16 김상용, "채권각론" 법문사 2003

      17 전경운, "주석민법[채권각칙(8)]"

      18 김태봉, "일조권침해로 인한 손해배상청구" 대한민사법학회 8 : 2000

      19 오현규, "위법성의 판단기준으로서의 수인한도" 박영사 25 : 2003

      20 이용우, "수인한도론 소고:공해의 위법성론" 법조협회 27 : 1978

      21 김재형, "소유권과 환경보호, 한국 민법이론의 발전(Ⅰ)[이영준 화갑기념논문집]" 박영사 1999

      22 김상용, "불법행위법" 법문사 1997

      23 유원규, "민법주해(Ⅴ)" 박영사 1992

      24 지원림, "민법강의" 홍문사 2007

      25 이용우, "공해의 위법성:공해소송의 이익형량" 법원행정처 10 : 1979

      26 허상수, "공해소송의 실무상 제문제" 법원도서관 23 : 1996

      27 박승진, "공해소송에서 수인한도의 판단기준" 서울고등검찰청 5 : 2001

      28 加藤一郞, "公害法の生成と展開" 岩波書店 1970

      29 澤井裕, "公害差止の法理" 日本評論社 197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4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20-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재인증) KCI등재후보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6-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7-02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법학연구 -> 원광법학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7 0.47 0.3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8 0.35 0.545 0.3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