필화는 권력 장치의 의도에 의해 촉발되고, 이에 맞서는 문학예술의 능동적인 진취성으로 인해 빚어진 갈등으로 현재에도 계속되고 있다. 20세기 한국 필화문학 연구가 대상으로 삼고 있는 2...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G3621501
-
2008년
Korean
20세기 한국 필화 문학 ; 이념 ; 갈등 ; 검열 ; 압수 ; 삭제 ; 판매금지 ; 권력 ; 주류 문학 담론 ; 다큐멘터리 ; 금서 ; 개벽 ; 김지하 ; 대한매일신보 ; 조선일보 ; 동아일보 ; 중외일보 ; 신건설사 ; 맑스주의 ; KAPF ; 신생활 ; 신여자 ; 신천지 ; 폐허 이후 ; 신민 ; 일제 강점기 ; 총독부 ; 한국전쟁 ; 분단 ; 이념적 대립 ; 황성신문 ; 장지연 ; 시일야방성대곡 ; 방정환 ;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 ; 누구를 위한 벅차는 우리의 젊음이냐 ; 임화 ; 찬가 ; 응향 사건 ; 구상 ; 남정현 ; 분지 ; 정공채 ; 미8군의 차 ; 오적 ; 비어 ; 사상계 ; 민주전선 ; 반공주의 ; 겨울 공화국 ; 순이 삼촌 ; 한라산 ; 4 ; 3사건 ; 광주민중항쟁 ; 아아 광주여 우리나라의 십자가여 ; 욕망의 거리 ; 민중교육지 사건 ; 오월시 ; 삶의 문학 ; 붉은 산 검은 피 ; 조정래 ; 태백산맥 ; 자유부인 ; 마광수 ; 즐거운 사라 ; 장정일 ; 내게 거짓말을 해봐 ; 자기검열 ; 억압 ; 표현의 자유
한국연구재단(NRF)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필화는 권력 장치의 의도에 의해 촉발되고, 이에 맞서는 문학예술의 능동적인 진취성으로 인해 빚어진 갈등으로 현재에도 계속되고 있다. 20세기 한국 필화문학 연구가 대상으로 삼고 있는 2...
필화는 권력 장치의 의도에 의해 촉발되고, 이에 맞서는 문학예술의 능동적인 진취성으로 인해 빚어진 갈등으로 현재에도 계속되고 있다. 20세기 한국 필화문학 연구가 대상으로 삼고 있는 20세기 한국에서는 시대별로 서로 다른 원인에 의해 필화가 발생했다. 따라서 필화문학 연구는 한국 사회의 주류 담론과 이에 대립하는 문학 담론과의 관계를 심도 있게 고찰하는 계기가 되었다.
20세기 한국 필화문학 연구의 목적은 필화 및 필화문학의 개념을 재정립하고, 20세기 한국 필화문학을 총망라하여, 20세기 한국 필화문학의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다큐멘터리를 제작하는 것이다. 필화문학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체계적이고 종합적인 연구가 시도되지 않았기 때문에 필화의 대상 자료는 집대성되지 못했다. 사라져 가는 필화문학 작품 및 필화 당사자의 증언이나 사건 기록에 대한 보존이 시급한 상황이므로, 이를 위해서는 필화문학의 개념을 재정립하고 체계적인 연구를 시도해 20세기 한국 필화문학의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하였다. 또한 20세기 한국 필화문학에 대한 다큐멘터리를 제작하여 필화문학에 대한 연구 성과를 대중에게 널리 알리고, 대중과 함께 소통하고 호흡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 구체적인 연구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1900년에서 2000년에 이르는 동안 발생된 필화에 대한 자료를 수집했다. 둘째, 수집된 자료를 분류하여 토픽 맵(topic map)의 형식으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였다. 셋째, 구축된 20세기 한국 필화문학 데이터베이스를 바탕으로 20세기 한국 필화문학에 대한 자료집 [20세기 한국 필화문학 연구Ⅰ]을 제작하였다. 넷째, 20세기 한국 필화문학에 관한 다큐멘터리를 제작하였다. 다섯째, 20세기 한국 필화문학에 대해 다양한 층위에서 고찰한 연구논문들을 수록한 단행본 [20세기 한국 필화문학 연구Ⅱ]를 발간하였다.
20세기 한국 필화문학 연구는 위의 연구 내용을 수행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 방법을 활용하였다. 우선 문서 취재와 인물 취재를 통해 20세기 한국 필화문학에 관한 자료들을 수집하였다. 필화를 입은 문학작품은 물론이고, 당시 필화사건에 관한 법정 기록 및 신문의 보도 내용, 해당 작가 및 주변인들의 증언, 필화를 입은 문인의 고백 등 20세기 한국 필화문학에 관한 모든 자료를 총망라하여 수집하였다. 일제 강점기의 필화문학의 경우에는 해당 자료가 유실된 것이 많아서 신문기사는 물론 총독부의 검열 및 삭제⋅압수 관련 기록을 참조하였다. 둘째, 수집된 자료들을 분류⋅분석하여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다큐멘터리를 제작하고 자료집 및 논문집을 발간하였다. 셋째, 다섯 단계의 데이터베이스 구축 방법을 활용하였다. 그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필화 사건을 목록화하여 자료에 대한 접근의 용이성을 높인다. 2) 필화문학사 텍스트를 유형별로 분류한다. 3) 필화문학사에 관련된 기타 자료를 유형화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한다. 텍스트, 관련 보도문 및 기사, 재판 기록, 참관기, 인터뷰, 기타의 증언 자료 등등으로 분류한다. 4) 이러한 데이터베이스는 토픽 맵(topic map)의 형식으로 운용한다. 5) 데이터베이스 중 필화문학에 대한 이미지 자료와 다큐멘터리 자료는 인터넷 홈페이지에 탑재하여 접근 및 활용을 용이하게 한다.
이상의 연구 방법을 활용하여 20세기 한국 필화문학 연구의 과제를 수행하였다. 20세기 한국 필화문학에 대해 총망라한 자료 및 체계적인 연구 성과를 토대로 필화문학에 대한 후속 연구들이 지속되기를 기대한다.
국문 초록 (Abstract)
1. 연구개요 1.1 연구 목적 및 배경 1.2 연구 내용, 범위 및 방법 2. 연구내용 2.1 연구계획 2.2 연구방법 3. 2차년도 연구 계획 3.1 연구의 목적 : 데이터 베이스 구축․다큐멘터리 제작 ...
1. 연구개요
1.1 연구 목적 및 배경
1.2 연구 내용, 범위 및 방법
2. 연구내용
2.1 연구계획
2.2 연구방법
3. 2차년도 연구 계획
3.1 연구의 목적 : 데이터 베이스 구축․다큐멘터리 제작
3.2 연구의 내용, 범위 및 방법
3.3 학문․사회 발전에의 기여 및 연구 결과의 활용 방안
4.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