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인도네시아 케이팝 인기의 현황 분석 및 제언 = Analysis and Proposals Regarding the Current State of K-Pop Popularity in Indonesi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92698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동남아시아 국가 중 인도네시아는 인구와 경제력으로 볼 때, 케이팝 소비에 있어 우리에게 매우 중요한 나라이자 시장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인도네시아 내 케이팝 인기의 현황과 요인...

      동남아시아 국가 중 인도네시아는 인구와 경제력으로 볼 때, 케이팝 소비에 있어 우리에게 매우 중요한 나라이자 시장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인도네시아 내 케이팝 인기의 현황과 요인을 분석해 인도네시아 시장에서 케이팝의 위상을 고찰하고자 한다. 인도네시아 케이팝의 현황을 보다 정확히 알아보기 위해 연구 대상은 현재 케이팝 댄스 팀을 운영하거나 댄스 팀에 가입해 왕성하게 활동하고 있는 현지인 16명으로 선정하였고, 면담조사법을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총 15개의 세부 질문의 답변들을 통해 추출된 언어적 의미를 분석하여 유의미한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다양한 스타일의 케이팝 생산과 실력까지 겸비된 케이팝 아이돌이 출현해야 한다. 둘째, 각국의 문화와 종교를 존중한 케이팝을 생산해야 한다. 셋째, 인도네시아 내 케이팝 팬덤 확장을 위한 다양한 국가 주도의 케이팝 관련 수업을 개설하고 행사를 많이 개최해야 한다. 본고의 제한점은 족자카르타를 비롯한 일부 지역의 소수만 연구에 참여했기 때문에 이들의 답변이 인도네시아인 전체의 의견으로 일반화할 수 없다는 점이다. 본고는 인도네시아 시장 내 케이팝 마니아들의 인터뷰를 바탕으로 추후의 현지 전략을 재고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또한 지속적인 인도네시아 케이팝 현황 연구에 이바지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Out of all Southeast Asian countries, Indonesia is an extremely important country and market in terms of K-pop consumption from a population and economic power standpoint. Therefore, the present study attempts to examine the status of K-pop in the Ind...

      Out of all Southeast Asian countries, Indonesia is an extremely important country and market in terms of K-pop consumption from a population and economic power standpoint. Therefore, the present study attempts to examine the status of K-pop in the Indonesian market by analyzing the current state and factors pertaining to the popularity of K-pop in Indonesia. The study selected 16 locals who are either operating or active members of a K-pop dance team and collected data using an interview investigation method in order to accurately identify the current state of K-pop in Indonesia. The study then drew a significant conclusion by analyzing the linguistic meanings extracted from the answers to the 15 specific questions. First, there must emerge K-pop productions in a variety of styles and K-pop idols who also possess skills. Second, K-pop must be produced in a way that respects the culture and religion of each country. Third, various government-led classes related to K-pop must be opened and many events must be hosted in order to expand K-pop fandom within Indonesia. The limitations of the present study include the fact that it is difficult to generalize the answers of research participants in a few regions including Yogyakarta as the overall opinion of Indonesians. The present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can reconsider local strategy in the future based on interviews with K-pop fans in the Indonesian market. Furthermore, the study is expected to continuously contribute to the study of the current state of K-pop in Indonesia.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머리말 2. 인도네시아 케이팝의 현황 3. 인도네시아 케이팝의 미래 4. 맺음말
      • 1. 머리말 2. 인도네시아 케이팝의 현황 3. 인도네시아 케이팝의 미래 4. 맺음말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KOFICE, "해외한류실태조사 2021" 2021

      2 임지선, "해외에서의 K-Pop 지도에 관한 연구" 세종대학교 융합예술대학원 2019

      3 문효진, "한류콘텐츠의 인기 요인, 소비 경로 및 효과에 관한 연구:인도네시아 시장을 중심으로" 국제문화기술진흥원 5 (5): 201-206, 2019

      4 KOFICE, "한류백서 2020"

      5 KOFICE, "한류백서 2019"

      6 KOFICE, "한류백서 2018"

      7 이시림, "한국 아이돌, 그들은 어떻게 살아남는가?: 한국 아이돌 산업 생태계의 생존과 성공 요인" 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34 (34): 51-98, 2019

      8 양상재, "페스티벌을 통해 바라본 케이팝의 세계화 방안 고찰" 경희대학교 대학원 2020

      9 이수완, "케이팝(K-Pop), Korean과 Pop Music의 기묘한 만남 - K-Pop의 한국 대중음악적 진정성에 대한 탐구" 인문학연구원 73 (73): 77-103, 2016

      10 고광수, "인도네시아시장에서 한국 수출상품의 국제 경쟁력 분석" 한국통상정보학회 22 (22): 267-286, 2020

      1 KOFICE, "해외한류실태조사 2021" 2021

      2 임지선, "해외에서의 K-Pop 지도에 관한 연구" 세종대학교 융합예술대학원 2019

      3 문효진, "한류콘텐츠의 인기 요인, 소비 경로 및 효과에 관한 연구:인도네시아 시장을 중심으로" 국제문화기술진흥원 5 (5): 201-206, 2019

      4 KOFICE, "한류백서 2020"

      5 KOFICE, "한류백서 2019"

      6 KOFICE, "한류백서 2018"

      7 이시림, "한국 아이돌, 그들은 어떻게 살아남는가?: 한국 아이돌 산업 생태계의 생존과 성공 요인" 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34 (34): 51-98, 2019

      8 양상재, "페스티벌을 통해 바라본 케이팝의 세계화 방안 고찰" 경희대학교 대학원 2020

      9 이수완, "케이팝(K-Pop), Korean과 Pop Music의 기묘한 만남 - K-Pop의 한국 대중음악적 진정성에 대한 탐구" 인문학연구원 73 (73): 77-103, 2016

      10 고광수, "인도네시아시장에서 한국 수출상품의 국제 경쟁력 분석" 한국통상정보학회 22 (22): 267-286, 2020

      11 박지현, "인도네시아 한류 수용의 변화와 특성"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6

      12 하재훈, "인도네시아 족자카르타주의 새마을사업 : 마을 리더십의 성격과 역할" 한국구술사학회 3 (3): 165-201, 2012

      13 경의영, "인도네시아 무슬림 젊은이들의 ‘세계성’과 ‘종교성’의 문제 - 케이팝 댄스 커버와 히즈라 케이팝 현상" 한국이슬람연구소 14 (14): 115-156, 2021

      14 공미나, "인도네시아 들썩…목표 그래미” 시크릿넘버, 케이팝 새 바람 일으킬까"

      15 송정은, "인도네시아 내 한류의 의미 분석과 향후 발전방안 모색" 한국예술경영학회 (26) : 107-135, 2013

      16 Palupi, Niken Widoretno Dyah, "사회적 동조성과 한류에 대한 태도 연구 : 인도네시아 수용자를 중심으로"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20

      17 박갑룡, "동남아시아의 한류 동향과 신남방정책 관련 과제 연구: 한국문화사업교류재단의 한류백서를 중심으로" 재외한인학회 (52) : 83-120, 2020

      18 김수정, "동남아시아 반한류에 나타난 문화적 갈등과 특성:인도네시아와 베트남을 중심으로" 한국동남아학회 26 (26): 1-50, 2016

      19 KOFICE, "글로벌 한류 트렌드 2020" 2020

      20 KOFICE, "글로벌 한류 트렌드 2019" 2019

      21 최승은, "국내외 K-POP 스타 팬덤의 패션 뷰티 이미지 수용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22 문화체육관광부 해외문화홍보원, "국가이미지조사 보고서 2019" 2019

      23 이규탁, "갈등하는 케이, 팝" 스리체어스 2020

      24 김원장, "‘라리사’에 열광하는 태국, 총리까지 “소프트 파워”"

      25 Wiendu Nuryanti, "The Role of Cultural Heritage in Tourism and Development: Yogyakarta Case"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