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사례의 내담자는 외출 후 혼자 집에 들어가지 못하고, 현관 앞에 서면 집안에 무슨 나쁜 일이 있을 것 같은 불안으로 키 비밀번호를 누르지 못하고, 동행인을 기다리고, 집 안에 절대 혼...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5783103
2016
-
338
학술저널
83-96(14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사례의 내담자는 외출 후 혼자 집에 들어가지 못하고, 현관 앞에 서면 집안에 무슨 나쁜 일이 있을 것 같은 불안으로 키 비밀번호를 누르지 못하고, 동행인을 기다리고, 집 안에 절대 혼...
본 사례의 내담자는 외출 후 혼자 집에 들어가지 못하고, 현관 앞에 서면 집안에 무슨 나쁜
일이 있을 것 같은 불안으로 키 비밀번호를 누르지 못하고, 동행인을 기다리고, 집 안에 절대
혼자 있지 못하며 가족 구성원이 집에 있어도 현관의 잠금장치 3개를 열고 잠그는 확인 행동을
1시간 이내로 수시로 반복하는‘강박증’이 자신에게 있다고 했다.
내담자는 남녀가 어울리는 모임이 불안해 어울리기 어렵고, 얼마 전 아버지와 의견대립을 하
며 호흡곤란, 경련, 마비를 경험하였고, 대중교통이나 거리이동 시 이상한 느낌이 들면 호흡이
곤란하고 불안이 심해져 반드시 친구를 동행하거나 가족에게 전화해 동행요구를 해야만 생활이
가능한 때문에 자신 뿐 아니라 가족 구성원 모두가 일상생활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본 연구자는 내담자가 생활 패턴에 영향을 주지 않는 편한 상담 시간을 합의하여 매 회기상
담을 80분씩, 총 3회의 상담을 하기로 하였다.
내담자는 상담을 통해 ‘강박증’을 ‘강박적인 사고와 행동을 하는 경향’이라 재명명하고, 1회 상
담 후 혼자 집에 들어가 처음으로 외출복을 갈아입고, 책을 읽고 과제를 하며 집안에서 현관의
잠금장치를 열었다 닫는 행동을 하지 않으면서 혼자 거리를 이동할 수 있는 등의 변화를 겪으
며 `상담을 통해 변하지 않게 될까봐 불안했는데도 불구하고 자신이 변해서 상담이 참 행복한 시간”이였다고 하며 3회기 상담을 종결한 과정에 대한 사례연구이다.
목차 (Table of Contents)
외상 사건 생존자의 외상후 성장 촉진을 위한 해결중심상담전략 탐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