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19세기 조선 지식인의 서양과학 이해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G375252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How did 19th century Korean scholars understand western modern astronomy Although many believe that modern science can be transmitted without any fundamental changes, I argue that western science introduced in 19th century Korea can only be understood by examining the Korean intellectual context. Ch’oe Han-gi 崔漢綺(1803-1877), an enlightened Korean Confucian scholar and his Sŏnggi unhwa 星氣運化(Dynamic Change of Stellar Air, 1867) which depended heavily on John Herschel(1792-1871)’s Outlines of Astronomy shows how an indigenous context influences the understanding of a foreign science text.
      The fourth edition of Outlines of Astronomy was translated in China in 1859 by Li Shanlan 李善蘭(1811-1882), a Chinese mathematician, and Alexander Wylie(1815-1887), an English missionary to China. Tantian 談天(Conversation about the Sky, 1859), the Chinese version of Herschel’s book, was then imported into Korea during the 1860s. Ch’oe, who was an enthusiastic collector of books imported from China, must have been the first Korean to read Tantian. Although he generally praised modern Western astronomy highly, he nonetheless argued that this work lacked some important parts. In his Sŏnggi unhwa he added those missing parts, which included deliberate distortions and numerous mistakes.
      Why could Ch’oe, who was more versed in the newest western knowledge than any other contemporary Korean intellectual, not understand it correctly First, Ch’oe’s primary concern was his philosophy of Qi(氣學, Kihak). His ‘Kihak’ emphasized the universal principle that covers the whole universe, from human body to celestial bodies. From around 1850, he had already reached the conclusion that the universal principle is based on two lower principles—the principle of cosmological uniformity and the mechanism of air-globe. Therefore, when he read Herschel’s astronomy in 1860s, he deliberately distorted scientific facts and theories in order to validate his own principle of the universe.
      Second, Ch’oe did not have sufficient background knowledge to understand Herschel’s astronomy correctly. He studied Jesuit astronomy that had been introduced in Korea from China during the 17th and 18th centuries. Much of this knowledge, however, was based on old and even obsolete scientific facts and theories that are not consistent with modern astronomy. Worse, he did not recognize the difference between old and new astronomy in the West. This led him to select scientific facts in modern astronomy for his philosophical discourse freely.
      Third, traditional Confucian scholars did not regard astronomy as a major subject for scholarly pursuit. Confucian scholars in 19th century Korea used astronomy to strengthen their own philosophical ideas. Ch’oe was not an exception to this general trend. Even though he claimed astronomy was an important part of universal knowledge, he considered it to be a secondary knowledge.
      Ch’oe’s understanding of Herschel’s astronomy demonstrates a typical case of how modern science was accepted in 19th century Korea and how a scientific text was understood differently in a different context.
      번역하기

      How did 19th century Korean scholars understand western modern astronomy Although many believe that modern science can be transmitted without any fundamental changes, I argue that western science introduced in 19th century Korea can only be underst...

      How did 19th century Korean scholars understand western modern astronomy Although many believe that modern science can be transmitted without any fundamental changes, I argue that western science introduced in 19th century Korea can only be understood by examining the Korean intellectual context. Ch’oe Han-gi 崔漢綺(1803-1877), an enlightened Korean Confucian scholar and his Sŏnggi unhwa 星氣運化(Dynamic Change of Stellar Air, 1867) which depended heavily on John Herschel(1792-1871)’s Outlines of Astronomy shows how an indigenous context influences the understanding of a foreign science text.
      The fourth edition of Outlines of Astronomy was translated in China in 1859 by Li Shanlan 李善蘭(1811-1882), a Chinese mathematician, and Alexander Wylie(1815-1887), an English missionary to China. Tantian 談天(Conversation about the Sky, 1859), the Chinese version of Herschel’s book, was then imported into Korea during the 1860s. Ch’oe, who was an enthusiastic collector of books imported from China, must have been the first Korean to read Tantian. Although he generally praised modern Western astronomy highly, he nonetheless argued that this work lacked some important parts. In his Sŏnggi unhwa he added those missing parts, which included deliberate distortions and numerous mistakes.
      Why could Ch’oe, who was more versed in the newest western knowledge than any other contemporary Korean intellectual, not understand it correctly First, Ch’oe’s primary concern was his philosophy of Qi(氣學, Kihak). His ‘Kihak’ emphasized the universal principle that covers the whole universe, from human body to celestial bodies. From around 1850, he had already reached the conclusion that the universal principle is based on two lower principles—the principle of cosmological uniformity and the mechanism of air-globe. Therefore, when he read Herschel’s astronomy in 1860s, he deliberately distorted scientific facts and theories in order to validate his own principle of the universe.
      Second, Ch’oe did not have sufficient background knowledge to understand Herschel’s astronomy correctly. He studied Jesuit astronomy that had been introduced in Korea from China during the 17th and 18th centuries. Much of this knowledge, however, was based on old and even obsolete scientific facts and theories that are not consistent with modern astronomy. Worse, he did not recognize the difference between old and new astronomy in the West. This led him to select scientific facts in modern astronomy for his philosophical discourse freely.
      Third, traditional Confucian scholars did not regard astronomy as a major subject for scholarly pursuit. Confucian scholars in 19th century Korea used astronomy to strengthen their own philosophical ideas. Ch’oe was not an exception to this general trend. Even though he claimed astronomy was an important part of universal knowledge, he considered it to be a secondary knowledge.
      Ch’oe’s understanding of Herschel’s astronomy demonstrates a typical case of how modern science was accepted in 19th century Korea and how a scientific text was understood differently in a different context.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먼저 최한기의 후기 사상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 개념들인 '기'와 '기륜'이라는 개념형성과정을 초기사상에서부터 추적하였고, 근대서양천문학의 한역서인 [담천]과 이 내용에 기초하여 최한기 자신의 우주론적 관점을 덧붙여 저술한 [성기운화]를 정밀 분석하여 최한기가 서양과학을 어떻게 이해했는지를 알아보았다. 지금까지 서양천문학 혹은 서양과학과 최한기 사상과의 관련성을 밝히는 연구에서 기본적인 시각으로 취해왔던 ‘최한기의 사상에 미친 서양과학의 영향’과 같은 주제의식을 접어두고, 서양에서 탄생한 과학적 텍스트가 맥락이 다른 동아시아 전통사회에 놓여졌을 때 전통사회 지식인이 이것을 읽어내는 양상을 먼저 보고자 했기 때문이다.
      지금까지 최한기에 대한 연구들은 대체로 사상사적 시각에서 전개되어, 최한기의 사상과 서양과학의 연관성을 밝히기 위해, ‘최한기 사상에 미친 서양과학의 영향’을 알아본다는 목표로 행해져 왔다. 이들 연구에서는 서양과학이 어떠한 역사적·사회적·사상적 맥락에 구애되지 않는 고정되고 완성된 실체로서 존재한다는 점을 은연중에 전제하고 있었던 것이다. 따라서 이들 연구에서는 서양과학의 특정 내용과 특정 요소가 최한기의 특정 사유를 형성하는데 어떤 영향을 미쳤는가를 따지는 일만이 중요한 관심사였다.
      그러나 최한기의 사상에 영향을 미쳤다고 할 수 있는 서양과학의 특정 내용과 특정 요소들은, 오늘날 현대과학의 이론이나 이론적 특성처럼, 어떤 역사적·사회적·문화적 맥락에서나 공통적으로 인식되고 수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었다. 오늘날 한국사회는 서양과학의 내용과 과학적 특성을 공유하고 있지만, 전통사회, 즉 최한기가 살았던 사회에서는 서양과학이 서양에서 만들어지고 텍스트화된 그대로 읽힐 수가 없었다. 전통시대 조선의 지식인들은 그들에게 전해진 漢譯된 서양과학서적을 서양적 맥락 그대로로 읽어낼 수가 없었던 것이다. 따라서 그들은 그들 자신의 맥락으로 서양과학 텍스트를 읽어냈고, 이해했으며, 이것을 자신의 논의 속으로 끌어들였다. 따라서 그들이 읽고, 이해하고, 이용했던 서양과학은 서양의 원래 그것이 아니었다. 서양과 공통된 의미와 해석의 맥락이 없었던 전통사회 지식인들은 서양과학의 텍스트를 자신들의 주관적인 지적 맥락에서 읽어냈던 것이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먼저 최한기의 후기 사상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 개념들인 '기'와 '기륜'이라는 개념형성과정을 초기사상에서부터 추적하였고, 근대서양천문학의 한역서인 [담천]과 이 내용에 기...

      본 연구는 먼저 최한기의 후기 사상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 개념들인 '기'와 '기륜'이라는 개념형성과정을 초기사상에서부터 추적하였고, 근대서양천문학의 한역서인 [담천]과 이 내용에 기초하여 최한기 자신의 우주론적 관점을 덧붙여 저술한 [성기운화]를 정밀 분석하여 최한기가 서양과학을 어떻게 이해했는지를 알아보았다. 지금까지 서양천문학 혹은 서양과학과 최한기 사상과의 관련성을 밝히는 연구에서 기본적인 시각으로 취해왔던 ‘최한기의 사상에 미친 서양과학의 영향’과 같은 주제의식을 접어두고, 서양에서 탄생한 과학적 텍스트가 맥락이 다른 동아시아 전통사회에 놓여졌을 때 전통사회 지식인이 이것을 읽어내는 양상을 먼저 보고자 했기 때문이다.
      지금까지 최한기에 대한 연구들은 대체로 사상사적 시각에서 전개되어, 최한기의 사상과 서양과학의 연관성을 밝히기 위해, ‘최한기 사상에 미친 서양과학의 영향’을 알아본다는 목표로 행해져 왔다. 이들 연구에서는 서양과학이 어떠한 역사적·사회적·사상적 맥락에 구애되지 않는 고정되고 완성된 실체로서 존재한다는 점을 은연중에 전제하고 있었던 것이다. 따라서 이들 연구에서는 서양과학의 특정 내용과 특정 요소가 최한기의 특정 사유를 형성하는데 어떤 영향을 미쳤는가를 따지는 일만이 중요한 관심사였다.
      그러나 최한기의 사상에 영향을 미쳤다고 할 수 있는 서양과학의 특정 내용과 특정 요소들은, 오늘날 현대과학의 이론이나 이론적 특성처럼, 어떤 역사적·사회적·문화적 맥락에서나 공통적으로 인식되고 수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었다. 오늘날 한국사회는 서양과학의 내용과 과학적 특성을 공유하고 있지만, 전통사회, 즉 최한기가 살았던 사회에서는 서양과학이 서양에서 만들어지고 텍스트화된 그대로 읽힐 수가 없었다. 전통시대 조선의 지식인들은 그들에게 전해진 漢譯된 서양과학서적을 서양적 맥락 그대로로 읽어낼 수가 없었던 것이다. 따라서 그들은 그들 자신의 맥락으로 서양과학 텍스트를 읽어냈고, 이해했으며, 이것을 자신의 논의 속으로 끌어들였다. 따라서 그들이 읽고, 이해하고, 이용했던 서양과학은 서양의 원래 그것이 아니었다. 서양과 공통된 의미와 해석의 맥락이 없었던 전통사회 지식인들은 서양과학의 텍스트를 자신들의 주관적인 지적 맥락에서 읽어냈던 것이다.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