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말라리아 진단용 LDH 단클론항체 및 진단키트 개발을 위한 형광체 대량 생산
가. 말라리아의 LDH 단백질의 항원 반응성이 좋은 부위에 대해 단클론항체를 제조하였음.
나. 제조된 단클론항...
1. 말라리아 진단용 LDH 단클론항체 및 진단키트 개발을 위한 형광체 대량 생산
가. 말라리아의 LDH 단백질의 항원 반응성이 좋은 부위에 대해 단클론항체를 제조하였음.
나. 제조된 단클론항체를 대량 생산(20 mg)하였음.
다. 형광면역진단법 개발에 활용될 소형 광원 기반 형광체를 대량 생산(20 mg)하였음.
2. 열대열 및 삼일열말라리아에 대한 유용성 평가(민감도 및 특이도 평가)
가. 아프리카 우간다와 아시아 미얀마로부터 열대열말라리아 환자 혈액 샘플을 총 53개 확보함.
나. 한국질병관리본부 국립보건원 말라리아기생충과로부터 삼일열말라리아 혈액 샘플을 총 30개 확보함.
다. 확보된 삼일열 및 열대열말라리아 환자의 혈액을 이용해 현미경진단법, PCR, RDT, ELISA test를 통해 양성 진단을 평가함.
라. 개발된 형광체-단클론항체 축합체를 이용해 확진된 양성 샘플에 대해 FLISA 방식으로 진단 민감도를 측정한 결과 10%의 진단민감도를 얻었음.
마. 다양한 원충 혈증을 보이는 삼일열말라리아 환자 샘플로 FICT를 수행한 결과, 높은 진단 민감 도를 확인할 수 있었음.
바. 혈액 내에 원충의 수가 결정된 미얀마 환자의 열대열말라리아 표준 샘플을 이용해 정량적 형 광면역진단을 수행한 결과, 원충의 수가 증가할수록 형광값이 증가함을 확인하였음.
3. 말라리아 감염 여부의 형광면역진단을 위한 정량 기기 설계 및 제작
가. 형광체의 wavelength에 맞는 광원을 사용하여 설계하였음.
나. 고감도 PMT를 수광소자로 사용하여 설계하였음.
다. 분석용 PC 소프트웨어를 제작하여 정량적 분석이 가능하도록 설계하였음.
라. 혈액 시료 샘플을 이용하여 형광 peak이 나오는 것을 확인하였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