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실시간 진단 모니터링시스템 구축을 위한 말라리아 신속진단키트 개발 (2012) = Development of malaria rapid diagnosis kit for real-time monitoring system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E166359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1. The mas production of P lasmodium falciparum lactate dehydrogenase (PfLDH) specific monoclonal antibodies and fluorophore for malaria diagnosis
      A. We have analyzed the antigenic activitied of several peptides in PfLDH.
      B. We have produced about 20 mg of PfLDH specific monoclonal antibodies.
      C. We have produced about 20 mg of fluorophore for FLISA diagnosis.
      2. The evaluation of malaria patient (FLISA and FICT-based diagnosis)
      A. Fifty thre samples of P . falciparum patients colected from Uganda and Myanmar have ben used for evaluation of our detection system.
      B. Thirty samples of P . viviax patients colected from Korea CDC have ben used for evaluation of detection system.
      C. Microscopic method, PCR, RDT and ELISA test have ben used to detect malaria parasites from malaria patient blod samples.
      D. We have tested malaria clinical samples with FLISA using bioconjugate of coumarin-MAb #2 and its sensitivity of test was 10%.
      E. FICT has ben conducted using P . viviax patient samples and its sensitivity was high.
      F. The quantitative FLISA has ben performed using standard blod samples of P . falciparum from Myanmar and we have found the relative fluorescence was increased by the number of parasites.
      3. The development of quantitative measurement system for fluorescence signals
      A. Light source has ben aplied for suitable wavelength of fluorophore.
      B. PMT has ben adapted for fluorescence acepting device.
      C. PC software has ben managed to quantitative/y analyze the fluorescent signal.
      D. Serialy diluted fluorescent solution has ben analyzed with system and the fluorescent peaks have ben sucesfuly observed with coresponding intensities.
      번역하기

      1. The mas production of P lasmodium falciparum lactate dehydrogenase (PfLDH) specific monoclonal antibodies and fluorophore for malaria diagnosis A. We have analyzed the antigenic activitied of several peptides in PfLDH. B. We have produced about 20 ...

      1. The mas production of P lasmodium falciparum lactate dehydrogenase (PfLDH) specific monoclonal antibodies and fluorophore for malaria diagnosis
      A. We have analyzed the antigenic activitied of several peptides in PfLDH.
      B. We have produced about 20 mg of PfLDH specific monoclonal antibodies.
      C. We have produced about 20 mg of fluorophore for FLISA diagnosis.
      2. The evaluation of malaria patient (FLISA and FICT-based diagnosis)
      A. Fifty thre samples of P . falciparum patients colected from Uganda and Myanmar have ben used for evaluation of our detection system.
      B. Thirty samples of P . viviax patients colected from Korea CDC have ben used for evaluation of detection system.
      C. Microscopic method, PCR, RDT and ELISA test have ben used to detect malaria parasites from malaria patient blod samples.
      D. We have tested malaria clinical samples with FLISA using bioconjugate of coumarin-MAb #2 and its sensitivity of test was 10%.
      E. FICT has ben conducted using P . viviax patient samples and its sensitivity was high.
      F. The quantitative FLISA has ben performed using standard blod samples of P . falciparum from Myanmar and we have found the relative fluorescence was increased by the number of parasites.
      3. The development of quantitative measurement system for fluorescence signals
      A. Light source has ben aplied for suitable wavelength of fluorophore.
      B. PMT has ben adapted for fluorescence acepting device.
      C. PC software has ben managed to quantitative/y analyze the fluorescent signal.
      D. Serialy diluted fluorescent solution has ben analyzed with system and the fluorescent peaks have ben sucesfuly observed with coresponding intensiti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1. 말라리아 진단용 LDH 단클론항체 및 진단키트 개발을 위한 형광체 대량 생산
      가. 말라리아의 LDH 단백질의 항원 반응성이 좋은 부위에 대해 단클론항체를 제조하였음.
      나. 제조된 단클론항체를 대량 생산(20 mg)하였음.
      다. 형광면역진단법 개발에 활용될 소형 광원 기반 형광체를 대량 생산(20 mg)하였음.
      2. 열대열 및 삼일열말라리아에 대한 유용성 평가(민감도 및 특이도 평가)
      가. 아프리카 우간다와 아시아 미얀마로부터 열대열말라리아 환자 혈액 샘플을 총 53개 확보함.
      나. 한국질병관리본부 국립보건원 말라리아기생충과로부터 삼일열말라리아 혈액 샘플을 총 30개 확보함.
      다. 확보된 삼일열 및 열대열말라리아 환자의 혈액을 이용해 현미경진단법, PCR, RDT, ELISA test를 통해 양성 진단을 평가함.
      라. 개발된 형광체-단클론항체 축합체를 이용해 확진된 양성 샘플에 대해 FLISA 방식으로 진단 민감도를 측정한 결과 10%의 진단민감도를 얻었음.
      마. 다양한 원충 혈증을 보이는 삼일열말라리아 환자 샘플로 FICT를 수행한 결과, 높은 진단 민감 도를 확인할 수 있었음.
      바. 혈액 내에 원충의 수가 결정된 미얀마 환자의 열대열말라리아 표준 샘플을 이용해 정량적 형 광면역진단을 수행한 결과, 원충의 수가 증가할수록 형광값이 증가함을 확인하였음.
      3. 말라리아 감염 여부의 형광면역진단을 위한 정량 기기 설계 및 제작
      가. 형광체의 wavelength에 맞는 광원을 사용하여 설계하였음.
      나. 고감도 PMT를 수광소자로 사용하여 설계하였음.
      다. 분석용 PC 소프트웨어를 제작하여 정량적 분석이 가능하도록 설계하였음.
      라. 혈액 시료 샘플을 이용하여 형광 peak이 나오는 것을 확인하였음.
      번역하기

      1. 말라리아 진단용 LDH 단클론항체 및 진단키트 개발을 위한 형광체 대량 생산 가. 말라리아의 LDH 단백질의 항원 반응성이 좋은 부위에 대해 단클론항체를 제조하였음. 나. 제조된 단클론항...

      1. 말라리아 진단용 LDH 단클론항체 및 진단키트 개발을 위한 형광체 대량 생산
      가. 말라리아의 LDH 단백질의 항원 반응성이 좋은 부위에 대해 단클론항체를 제조하였음.
      나. 제조된 단클론항체를 대량 생산(20 mg)하였음.
      다. 형광면역진단법 개발에 활용될 소형 광원 기반 형광체를 대량 생산(20 mg)하였음.
      2. 열대열 및 삼일열말라리아에 대한 유용성 평가(민감도 및 특이도 평가)
      가. 아프리카 우간다와 아시아 미얀마로부터 열대열말라리아 환자 혈액 샘플을 총 53개 확보함.
      나. 한국질병관리본부 국립보건원 말라리아기생충과로부터 삼일열말라리아 혈액 샘플을 총 30개 확보함.
      다. 확보된 삼일열 및 열대열말라리아 환자의 혈액을 이용해 현미경진단법, PCR, RDT, ELISA test를 통해 양성 진단을 평가함.
      라. 개발된 형광체-단클론항체 축합체를 이용해 확진된 양성 샘플에 대해 FLISA 방식으로 진단 민감도를 측정한 결과 10%의 진단민감도를 얻었음.
      마. 다양한 원충 혈증을 보이는 삼일열말라리아 환자 샘플로 FICT를 수행한 결과, 높은 진단 민감 도를 확인할 수 있었음.
      바. 혈액 내에 원충의 수가 결정된 미얀마 환자의 열대열말라리아 표준 샘플을 이용해 정량적 형 광면역진단을 수행한 결과, 원충의 수가 증가할수록 형광값이 증가함을 확인하였음.
      3. 말라리아 감염 여부의 형광면역진단을 위한 정량 기기 설계 및 제작
      가. 형광체의 wavelength에 맞는 광원을 사용하여 설계하였음.
      나. 고감도 PMT를 수광소자로 사용하여 설계하였음.
      다. 분석용 PC 소프트웨어를 제작하여 정량적 분석이 가능하도록 설계하였음.
      라. 혈액 시료 샘플을 이용하여 형광 peak이 나오는 것을 확인하였음.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