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즈벡 마콤은 고대의 한국음악과 관련된 음악형식을 가진 음악으로 신라시대 당나라의 음악 중에 대곡(大曲)과 관련된 곡이라고 필자는 추정하고 있다. 중국에서 호악 이라는 명칭으로 전...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G3648543
2011년
Korean
한국연구재단(NRF)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우즈벡 마콤은 고대의 한국음악과 관련된 음악형식을 가진 음악으로 신라시대 당나라의 음악 중에 대곡(大曲)과 관련된 곡이라고 필자는 추정하고 있다. 중국에서 호악 이라는 명칭으로 전...
우즈벡 마콤은 고대의 한국음악과 관련된 음악형식을 가진 음악으로 신라시대 당나라의 음악 중에 대곡(大曲)과 관련된 곡이라고 필자는 추정하고 있다. 중국에서 호악 이라는 명칭으로 전해지는 것이 중앙아시아의 음악을 지칭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는데, 당나라 때에 완성된 십부기(十部技) 중에서 오부기(五部技: 龜玆, 康國, 梳勒, 安國, 高昌의 각 음악)가 중앙아시아 도시국가의 이름으로 불리고 있어서 각 독자적 음악 양식을 가지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우즈벡 샤쉬마콤(Shash maqom)은 6개의 마콤이라는 뜻으로 Buzruk, Post, Navo,Dugokh, Segokh, Iroq와 같이 6개의 대단위?l 조곡형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6개의 큰 조곡으로 구성되어 있는 샤쉬마콤은 전체가 약 260여 곡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 명칭의 소단위 마콤은 크게 3부분으로 나뉘어져 있다,첫째부분은 기악서곡(무쉬킬롯, Mushikilot)으로 족곡과 같이 7-9개의 곡으로 연결되어 있다. 둘째와 셋쩨부분은 성악곡(Nasr)이다. 성악곡의 첫번째 곡인 수바를 연창으로 부르고 마지막 노래 우화르(Ufar)는 3박자 계통의 빠른 속도로 연주가는 樂歌舞를 위한 곡이다.
실크로드 음악에서 중앙아시아의 음악은 당나라 음악에 영향을 주었고, 삼국시대는 물론 이후 조선시대에 까지 영향을 끼쳤다. 고구려의 악기를 나타낸 高麗記에 표시된 악기들과 속독, 안국의 악기로 표시된 서역악기들이 고구려 악기들과 공통적으로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서역음악과 한국음악과의 연관성을 암시하고 있다.
본 연구는 우즈벡 마콤의 음악구조를 통해 한국의 종묘제례악, 가곡 등의 정악과 판소리, 산조 등의 민속악에 나타나는 음악형식들과 서역음악 간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찾아내는 토대연구가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