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심리생리검사기 檢査結果의 證據能力 관한 연구 = Study for the admissibility of evidence about the inspection results of a polygraph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644208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거짓말을 탐지하기 위한 최초의 시도는 1895년에 이탈리아의 범죄심리학자 롬브로조(Cesare Lombroso)이다. 그는 형사피의자가 조사받고 있는 사건에 관한 심문을 받을 때 일어나는 혈압파동의 ...

      거짓말을 탐지하기 위한 최초의 시도는 1895년에 이탈리아의 범죄심리학자 롬브로조(Cesare Lombroso)이다. 그는 형사피의자가 조사받고 있는 사건에 관한 심문을 받을 때 일어나는 혈압파동의 변화를 가지고 진실 또는 거짓을 결정하려는 연구를 하였다. 최초의 시도이후 110년이 넘는 시간동안 과학기술의 발전과 함께 거짓말을 탐지하는 기술도 비약적으로 발전하였다. 최근에는 뇌파를 직접 분석하는 뇌파분석기까지 수사에 이용 되고 있다.
      거짓말을 탐지하는 기계인 심리생리검사기는 범죄수사의 효율성을 상당히 높여주었다. 그러나 100%의 신뢰성을 가지고 있지 못하다는 기술적 약점으로 인해 재판에서 단독으로 증거능력을 인정받지 못하고 있다. 물론 직접증거가 존재할 경우 일부분 정황증거(간접증거)로는 인정되고 있다. 외국의 경우에는 인정하는 국가와 인정하지 않는 국가로 나뉘어 있다. 인정하는 국가도 전면적 인정이라기보다는 부분적 인정에 그치고 있다.
      심리생리검사기에 불완전성이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현재 수사기관에서는 일정한 요건에 따라 광범위하게 이용되고 있으며 이용빈도는 향후 증가할 것이다. 심리생리검사기의 증거능력의 문제는 뇌파분석기 및 향후 등장할 새로운 검사장비의 증거능력에도 중대한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많다. 심리생리검사기가 인간의 신체적 특성을 이용한 거짓말 탐지관련 검사장비의 시초라고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수사기관의 입장에서는 증거 능력을 인정받고 싶을 것이다. 그러나 아직은 시기상조라는 반대논리도 상당한 설득력을 가지고 있으며 현재 법원은 증거능력을 부인하고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first attempt for detecting a lie was tried by the criminology psychologist in Italy, Cesare Lombroso in 1895. He investigated whether there was true or not through the variation of the blood pressure wave occurring on the condition that the acc...

      The first attempt for detecting a lie was tried by the criminology psychologist in Italy, Cesare Lombroso in 1895. He investigated whether there was true or not through the variation of the blood pressure wave occurring on the condition that the accused was examined about the pertinent case. After the first attempt, with the development of scientific technology over 110 years, techniques that detect a lie were made rapid progress. Recently, brain waves analyzer assaying brain waves directly also has been utilized for criminal investigation.
      The polygraph that a instrument detects a lie raises the efficiency of criminal investigation considerably. However, because of the technical fault that has not the reliability of 100 percentage, it has not been approved the admissibility of evidence independently in court. Undoubtedly, in the case of existing the direct evidence, it has been admitted the circumstantial evidence partially. In the foreign cases, countries that approve it and do not are divided. The countries that do it also admit partially rather than generally.
      In spite of the opinions that the polygraph exists the imperfection, current investigation authorities utilize it extensively according to the definite conditions and their frequency in use will increase hence. The problem of the admissibility of evidence about the polygraph significantly has the possibility that it will affect the brain waves analyzer and the admissibility of evidence of new emerging inspecting equipments. Because the polygraph is the original inspecting equipment relating to detecting a lie through human physical quality. In the position of the criminal authorities, they would like to be admitted the admissibility of evidence. However, the counter-objections that opponents regard it as being to early yet are convinced fairly and the court of justice denies the admissibility of evidence at present.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요약]
      • Ⅰ. 問題의 提起
      • Ⅱ. 심리생리검사기에 대한 理論的 考察
      • Ⅲ. 比較法的 檢討
      • Ⅳ. 심리생리검사기 檢査結果의 證據能力 및 判例
      • [국문요약]
      • Ⅰ. 問題의 提起
      • Ⅱ. 심리생리검사기에 대한 理論的 考察
      • Ⅲ. 比較法的 檢討
      • Ⅳ. 심리생리검사기 檢査結果의 證據能力 및 判例
      • Ⅴ. 심리생리검사기 檢査와 관련된 問題點 및 개선방안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