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성인 기초 문해력 조사문항 개발을 위한 문해 영역 및 수준 설계 = A Study on the Survey Design of the Domains & Levels of Literacy for Developing Adult Literacy Assessment Item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31475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성인 문해교육 지원 정책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국민들의 문해력 수준에 대한 실증적 데이터가 필요하다. 오늘날 국제적으로 과거의 자기 응답식 조사 방법이 아니라 수준별 문해력 측정을 위한 조사를 통해 이런 요구에 부응하고 있다.
      본 연구는 성인 문해력 조사 문항 개발에 필요한 기본적인 문해 영역과 문해 수준을 설계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관련 이론과 국내외 유사 조사도구 분석을 통해 문해 영역과 수준에 대한 질문지를 개발하고, 관련 분야 전문가을 대상으로 델파이 조사와 AHP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문해 영역, 문항 형식 및 생활 영역에 대한 전문가 합의를 도출하였으며, 문해 영역별 중요도, 문해 측정 영역, 문해 영역별 문항 난이도 수준을 확정하였다.
      향후 성인 문해력 조사를 위한 문항 개발, 성인 문해력 조사 문제은행 구축, 성인 문해력 진단 도구 개발 등에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문해 영역과 문해 수준을 적극적으로 고려할 필요가 있으며, 성인 문해교육 정책의 실효성 있는 데이터 생산을 위하여 사회 환경 변화를 반영한 추후 연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번역하기

      성인 문해교육 지원 정책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국민들의 문해력 수준에 대한 실증적 데이터가 필요하다. 오늘날 국제적으로 과거의 자기 응답식 조사 방법이 아니라 수준별 문해력 ...

      성인 문해교육 지원 정책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국민들의 문해력 수준에 대한 실증적 데이터가 필요하다. 오늘날 국제적으로 과거의 자기 응답식 조사 방법이 아니라 수준별 문해력 측정을 위한 조사를 통해 이런 요구에 부응하고 있다.
      본 연구는 성인 문해력 조사 문항 개발에 필요한 기본적인 문해 영역과 문해 수준을 설계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관련 이론과 국내외 유사 조사도구 분석을 통해 문해 영역과 수준에 대한 질문지를 개발하고, 관련 분야 전문가을 대상으로 델파이 조사와 AHP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문해 영역, 문항 형식 및 생활 영역에 대한 전문가 합의를 도출하였으며, 문해 영역별 중요도, 문해 측정 영역, 문해 영역별 문항 난이도 수준을 확정하였다.
      향후 성인 문해력 조사를 위한 문항 개발, 성인 문해력 조사 문제은행 구축, 성인 문해력 진단 도구 개발 등에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문해 영역과 문해 수준을 적극적으로 고려할 필요가 있으며, 성인 문해교육 정책의 실효성 있는 데이터 생산을 위하여 사회 환경 변화를 반영한 추후 연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s aimed to design the domains and levels of adult literacy for developing adult literacy assessment. For the purpose, the related documents and surveys are analyzed and the assessment on the adult literacy domains and levels are developed. It is examined by the specialists in the field of adult literacy education through Delphi method and AHP analysis.
      As the results, the adult literacy domains, the form of question and the consensus of everyday life domains by the specialists are derived. And the level of importance and difficulty by adult literacy domains are confirmed. Therefore, the framework of the assessment on literacy domains and the assignment of the questions by levels are designed.
      This framework would be the base of developing the measurement and the assessment of adult literacy. It suggests that there are needs to conduct the following research for collecting data of adult literacy and to produce the empirical data reflecting the social and cultural changes in adult literacy education.
      번역하기

      This study is aimed to design the domains and levels of adult literacy for developing adult literacy assessment. For the purpose, the related documents and surveys are analyzed and the assessment on the adult literacy domains and levels are developed....

      This study is aimed to design the domains and levels of adult literacy for developing adult literacy assessment. For the purpose, the related documents and surveys are analyzed and the assessment on the adult literacy domains and levels are developed. It is examined by the specialists in the field of adult literacy education through Delphi method and AHP analysis.
      As the results, the adult literacy domains, the form of question and the consensus of everyday life domains by the specialists are derived. And the level of importance and difficulty by adult literacy domains are confirmed. Therefore, the framework of the assessment on literacy domains and the assignment of the questions by levels are designed.
      This framework would be the base of developing the measurement and the assessment of adult literacy. It suggests that there are needs to conduct the following research for collecting data of adult literacy and to produce the empirical data reflecting the social and cultural changes in adult literacy educatio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Ⅰ. 서론
      • Ⅱ. 이론적 배경
      • Ⅲ. 연구방법
      • Ⅳ. 연구결과
      • 요약
      • Ⅰ. 서론
      • Ⅱ. 이론적 배경
      • Ⅲ. 연구방법
      • Ⅳ. 연구결과
      • Ⅴ. 결론 및 시사점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종서, "현로김종서박사 논문선집" 교육과학사 361-387, 1987

      2 최운실, "한국인의 문해 실태 조사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1989

      3 이희수, "한국성인의 문해실태에 관한 OECD 국제비교 조사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01

      4 정지웅, "한국농촌여성의 문해수준" 21 (21): 1-7, 1989

      5 이희수, "한국 성인의 문해실태 조사" 한국교육개발원 2002

      6 변종임, "한국 성인 문해교육의 발전과정과 성과" 교육과학기술부·한국교육개발원 2012

      7 황종건, "한국 도시여성의 기능적 문해실태에 관한 연구"

      8 이지혜, "학습사회에서 성인문해의 의미" 한국평생교육학회 9 (9): 57-74, 2003

      9 허준, "학습사회론에 비추어 본 문해교육 법제화의 의미" 한국평생교육학회 14 (14): 57-81, 2008

      10 이지혜, "평생학습정책 기반 조성을 위한 성인 문해력 조사 비교 연구 - 영국, 프랑스, 독일 사례를 중심으로 -" 한국비교교육학회 24 (24): 101-125, 2014

      1 김종서, "현로김종서박사 논문선집" 교육과학사 361-387, 1987

      2 최운실, "한국인의 문해 실태 조사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1989

      3 이희수, "한국성인의 문해실태에 관한 OECD 국제비교 조사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01

      4 정지웅, "한국농촌여성의 문해수준" 21 (21): 1-7, 1989

      5 이희수, "한국 성인의 문해실태 조사" 한국교육개발원 2002

      6 변종임, "한국 성인 문해교육의 발전과정과 성과" 교육과학기술부·한국교육개발원 2012

      7 황종건, "한국 도시여성의 기능적 문해실태에 관한 연구"

      8 이지혜, "학습사회에서 성인문해의 의미" 한국평생교육학회 9 (9): 57-74, 2003

      9 허준, "학습사회론에 비추어 본 문해교육 법제화의 의미" 한국평생교육학회 14 (14): 57-81, 2008

      10 이지혜, "평생학습정책 기반 조성을 위한 성인 문해력 조사 비교 연구 - 영국, 프랑스, 독일 사례를 중심으로 -" 한국비교교육학회 24 (24): 101-125, 2014

      11 조근태, "앞서가는 리더들의 계층분석적 의사결정" 동현출판사 2005

      12 허경철, "성인중학교 교육과정 총론 개발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07

      13 정태화, "성인의 직업기초능력 조사: OECD ALL project를 중심으로"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3

      14 임언, "성인의 직업기초능력 조사 연구: OECD ALL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4

      15 허준, "성인 문해교육 중장기 발전계획 수립을 위한지원사업 성과분석 연구" 국가평생교육진흥원 2011

      16 허준, "성인 기초 문해력 조사 측정 도구 개발" 국가평생교육진흥원 2013

      17 김종서, "문맹자 조사: 1959년 12월 31일 현재" 중앙교육연구소 1961

      18 이종성, "델파이 방법" 교육과학사 2006

      19 국립국어원, "국민 기초 문해력 조사" 국립국어원 2008

      20 이훈병, "교육연구에서 계층분석과정의 활용가능성 연구" 한국유아교육ㆍ보육복지학회 12 (12): 115-137, 2008

      21 백순근, "계층분석과정(AHP)을 이용한 중등교사 교수역량 척도의 하위 요인 간 상대적 중요도 분석" 한국교육평가학회 25 (25): 389-409, 2012

      22 Druine, N., "The vacational turn in adult literacy education and the impact of the international adult literacy survey" 46 (46): 391-405, 2000

      23 UIS, "The next generation of literacy statistics: implementing the literacy assessment and monitoring programme (LAMP)" Unesco Institute for Statistics 2009

      24 Hamilton, M., "The international adult literacy survey: what does it really measure?" 46 (46): 377-389, 2000

      25 DfES, "The Skills for Life survey: A national needs and impact survey of literacy, numeracy and ICT skills" Department for Education and Skills 2003

      26 DfES, "Skills for life: The national strategy for improving adult literacy and numeracy skills" Department for Education and Skills 2001

      27 OECD, "OECD Skills Outlook 2013"

      28 Satty, T. L., "Models, methods, concepts &applications of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Kluwer Academic Publishers 2001

      29 OECD & Statistics Canada, "Literacy, economy and society: results of the first international adult literacy survey" OECD & Statistics Canada 1995

      30 Freire, P., "Literacy, Reading the World & the World" Bergin & Garvey 1987

      31 OECD, "Literacy skills for the knowledge society: further results from the international adult literacy survey" OECD & HUMAN RESOURCES DEVELOPMENT CANADA 1997

      32 Scribner, S., "Literacy in three metaphors" 93 : 6-21, 1984

      33 OECD & Statistics Canada, "Literacy in the information age: final report of the international adult literacy survey" OECD &Statistics Canada 2000

      34 Harman, D., "Illiteracy: Overview" 40 (40): 226-243, 1970

      35 Jeantheau, J. P., "IVQ: more than a national survey, more a basis for an indicators net" 2013

      36 ANLCI, "I lliteracy: the statistics" ANLCI 2011

      37 Center for Literacy, "Adult literacy testing in Germany" Hamburg University 2013

      38 Youngman, F., "Adult literacy and the mode of production. In Peter Jarvis, From Adult Education to the Learning Society" Routledge 54-68, 2006

      39 Wagner, D., "Adult literacy : monitering and evaluation for practice and policy" 54 : 651-672, 2008

      40 고용노동부, "2013년 OECD 국제 성인역량 조사(PIAAC) 주요 결과 발표 보도 자료"

      41 오혁진, "1950년대 ‘전국문맹퇴치교육’의 사회교육사적 의미" 한국평생교육학회 17 (17): 265-291, 201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6-08-23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al of Lifelong Education -> Journal of Lifelong Education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등재후보1차)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66 1.66 1.5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49 1.59 1.892 0.1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