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도농간 비형식학습 참여 격차의 요인분해 = The Decomposition of Participation Differentials on Informal Learning between Urban and Rural Adul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31475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도농간 비형식학습 참여수준 격차에 대해 도농간 평생교육 인프라에 따른 구조적 차이 수준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었다. 분석결과, 도시지역에 비해 농어촌 거주 성인의 경우 참여수준이 낮았으며, 이러한 격차는 도시지역과 농어촌 거주 성인의 개인특성에 의한 설명보다는 구조적 문제의 의해 설명되는 비중이 많았다. 학력수준은 도농간 거주 성인의 차이에 의해 비형식학습 참여수준 격차를 높였으나, 가구소득 수준의 경우 도농간 격차를 줄여주고 있어 농어촌 가구소득 증대를 통한 인적자본 제고효과를 보일 수 있다는 시사점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통해 도시와 농촌 지역 간의 비형식학습 인프라 확충을 위한 정책적 투자가 요구되며, 농어촌 지역의 지속적인 소득향상 및 학력증진을 위한 정책적 관심과 투자를 통한 농어촌 거주 성인의 비형식학습 참여 활성화를 모색할 필요가 있음을 제언하였다.
      번역하기

      이 연구는 도농간 비형식학습 참여수준 격차에 대해 도농간 평생교육 인프라에 따른 구조적 차이 수준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었다. 분석결과, 도시지역에 비해 농어촌 거주 성인의 경우 참...

      이 연구는 도농간 비형식학습 참여수준 격차에 대해 도농간 평생교육 인프라에 따른 구조적 차이 수준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었다. 분석결과, 도시지역에 비해 농어촌 거주 성인의 경우 참여수준이 낮았으며, 이러한 격차는 도시지역과 농어촌 거주 성인의 개인특성에 의한 설명보다는 구조적 문제의 의해 설명되는 비중이 많았다. 학력수준은 도농간 거주 성인의 차이에 의해 비형식학습 참여수준 격차를 높였으나, 가구소득 수준의 경우 도농간 격차를 줄여주고 있어 농어촌 가구소득 증대를 통한 인적자본 제고효과를 보일 수 있다는 시사점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통해 도시와 농촌 지역 간의 비형식학습 인프라 확충을 위한 정책적 투자가 요구되며, 농어촌 지역의 지속적인 소득향상 및 학력증진을 위한 정책적 관심과 투자를 통한 농어촌 거주 성인의 비형식학습 참여 활성화를 모색할 필요가 있음을 제언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s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structural differentials on participation level of informal learning between urban and rural ad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relatively lower participation level, participation probability including learning time, and learning expense of rural adults against urban adults. Specially, these differentials was explained a structural differences between urban and rural area rather than observed characteristics. Education level increased the differentials of participation level between urban and rural adults, but house income decreased it. This result showed that there was the effect of enhancing human capital through increasing incomes of rural households. The above results implicated that it was necessarily to expand the investments for lifelong learning infrastructure, and elevate the concerns and political programs for increment of rural household income and education level.
      번역하기

      The purposes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structural differentials on participation level of informal learning between urban and rural ad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relatively lower participation level, participation probability includi...

      The purposes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structural differentials on participation level of informal learning between urban and rural ad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relatively lower participation level, participation probability including learning time, and learning expense of rural adults against urban adults. Specially, these differentials was explained a structural differences between urban and rural area rather than observed characteristics. Education level increased the differentials of participation level between urban and rural adults, but house income decreased it. This result showed that there was the effect of enhancing human capital through increasing incomes of rural households. The above results implicated that it was necessarily to expand the investments for lifelong learning infrastructure, and elevate the concerns and political programs for increment of rural household income and education level.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Ⅰ. 서론
      • Ⅱ. 이론적 배경
      • Ⅲ. 분석 자료 및 방법
      • Ⅳ. 분석결과
      • 요약
      • Ⅰ. 서론
      • Ⅱ. 이론적 배경
      • Ⅲ. 분석 자료 및 방법
      • Ⅳ. 분석결과
      • Ⅴ. 결론 및 시사점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국교육개발원, "한국 성인의 평생학습 실태" 2011

      2 김남선, "평생학습도시 유형별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 대도시형, 중소도시형, 농촌형을 중심" 한국평생교육학회 13 (13): 25-49, 2007

      3 박혜영, "평생학습도시 교육프로그램 서비스 질 측정:Edu-Qual기법의 개발과 적용" 한국평생교육ㆍHRD연구소 5 (5): 23-52, 2009

      4 이정표, "평생직업교육훈련 종합대책(I)"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0

      5 교육인적자원부, "평생교육진흥기본계획(2008-2012)" 2008

      6 이병희, "직업능력개발사업의 평가와 정책과제" 한국노동연구원 2000

      7 변종임, "지역평생학습정책 성과분석 및 개선방안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11

      8 김강호, "중소기업에서의 학습지향성, 학습행동, 조직환경 및 학습성과의 인과관계"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8

      9 기획재정부, "제2차 농림어업인 삶의 질 향상 및 농산어촌 지역개발 5개년 기본계획(2010-2014)" 2009

      10 나영선, "저학력․저숙련 계층의 성인학습 현황과 과제"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3

      1 한국교육개발원, "한국 성인의 평생학습 실태" 2011

      2 김남선, "평생학습도시 유형별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 대도시형, 중소도시형, 농촌형을 중심" 한국평생교육학회 13 (13): 25-49, 2007

      3 박혜영, "평생학습도시 교육프로그램 서비스 질 측정:Edu-Qual기법의 개발과 적용" 한국평생교육ㆍHRD연구소 5 (5): 23-52, 2009

      4 이정표, "평생직업교육훈련 종합대책(I)"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0

      5 교육인적자원부, "평생교육진흥기본계획(2008-2012)" 2008

      6 이병희, "직업능력개발사업의 평가와 정책과제" 한국노동연구원 2000

      7 변종임, "지역평생학습정책 성과분석 및 개선방안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11

      8 김강호, "중소기업에서의 학습지향성, 학습행동, 조직환경 및 학습성과의 인과관계"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8

      9 기획재정부, "제2차 농림어업인 삶의 질 향상 및 농산어촌 지역개발 5개년 기본계획(2010-2014)" 2009

      10 나영선, "저학력․저숙련 계층의 성인학습 현황과 과제"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3

      11 손준종, "성인학습자의 직업교육훈련 참여결정요인 분석: 임금근로자와 미취업자를 중심으로" 10 (10): 109-128, 2004

      12 김영화, "성인학습 기회와 참여의 형평성: 실태와 과제" 7 (7): 41-68, 2001

      13 임언, "성인의 평생학습 참여 및 요구 요인"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5

      14 임언, "성인의 평생학습 참여 및 요구 요인"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5

      15 박대식, "삶의 질 향상 기본․실행계획 추진 평가 및 제3차 기본계획 수립 연구"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9

      16 장홍근, "비정규직 근로자의 직업능력개발 지원 대책: 제조업 생산직 근로자를 중심으로"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1

      17 이희수, "비전 3.0시대의 평생교육진흥종합계획을 기다리며" 2010

      18 정현옥, "도시형과 농촌형 평생학습도시 운영 모델 비교 연구"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19 정철영, "농업인 평생학습체계 구축을 위한 농업인교육 발전방안 연구" 한국농·산업교육학회 40 (40): 1-31, 2008

      20 마상진, "농어촌 영향평가 전문평가-평생학습정책/응급의료정책"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12

      21 김정섭, "농어촌 영향 관리 가이드라인 제도 도입 방안" 농림수산식품부·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10

      22 교육인적자원부, "국가인적자원개발기본계획의 실행을 위한 평생학습진흥종합계획" 2002

      23 Blinder, A. S., "Wage discrimination: Reduced fom and structural estimates" 8 : 436-455, 1973

      24 Belanger, P., "The emergence of a learning society. Who participates in adult learning?" Pergamon Press 1997

      25 Winship, C., "Regression models with ordinal variables" 49 : 512-525, 1984

      26 Cotton, J., "On the decomposition of wage differentials" 70 : 236-243, 1988

      27 Oaxaca, R., "Male-female wage differentials in urban labor martkets" 14 : 693-709, 1973

      28 Longworth, N., "Lifelong learning" Kogan Page 1996

      29 Reimers, C. W., "Labor market discrimination against Hispanic and black men" 65 : 570-579, 1983

      30 Eurostat, "European Union Labor Force Survey" 2002

      31 OECD, "Beyond Rhetoric: Adult learning policies and practices" 2003

      32 Lengrand, P., "An Introduction to Lifelong Education" Unesco 1970

      33 Statistics Canada, "A Report on Adult Education and Training in Canada" 2001

      34 교육부, "100세 시대 국가평생학습체제 구축을 위한 제3차 평생교육진흥기본계획(안)" 201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6-08-23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al of Lifelong Education -> Journal of Lifelong Education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등재후보1차)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66 1.66 1.5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49 1.59 1.892 0.1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