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후기 러시아 포스트모더니즘 소설과 "모스크바 신화"의 탈신화화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1990년대 러시아 포스트모더니즘 문학의 대표 작가들인 블라디미르 마카닌, 류드밀라 페트루쉐프스카야, 빅토르 펠레빈의 모스크바 텍스트를 분석 대상으로 삼아 그 안에 나타난 도시 모스크바의 ‘반공간성’을 중심으로 모스크바 신화의 탈신화화 양상들을 분석 고찰한다.
      본 연구의 첫 번째 부분을 형성하는 <블라디미르 마카닌의 모스크바와 광기의 공간>에서는 마카닌의 대표적인 포스트모더니즘 소설들인 『구멍』과 『언더그라운드, 혹은 우리 시대의 영웅』에서 모스크바 도시 공간이 과거 모스크바 신화를 대표하는 신화소들인 ‘유기성’, ‘통합성’, ‘현실성’, ‘환대성’ 대신 ‘혼돈성’, ‘분열성’, ‘환상성’, ‘적대성’으로 강하게 특징지어 지는 양상들을 살펴본다. 이를 통해서 마카닌의 두 소설에 나타난 도시 모스크바의 ‘반공간적’, ‘반신화적’ 성격을 규명해본다.
      본 연구의 두 번째 부분을 형성하는 <류드밀라 페트루쉐프스카야의 모스크바와 목가적 공간의 해체>에서는 모스크바 공간을 소설의 외적 배경으로 삼고 있지만, 러시아 문학의 페테르부르크 텍스트와 신화(예를 들면, 도스토예프스키의 작품들과 지하생활자)를 모스크바 신화의 탈신화화 전략의 내적 서브텍스트로 풍부하게 담고 있는 소설 『시간 밤』을 분석한다. 여기서는 페트루쉐프스카야가 이상적 ‘목가의 크로노토프’에 대한 신랄한 공간적 패러디를 통해서 전통적인 모스크바 신화의 ‘가정성’과 ‘목가성’을 전복시키고 해체하는 과정을 살펴본다.
      본 연구의 세 번째 부분을 형성하는 <빅토르 펠레빈의 모스크바와 시뮬라크르의 세계>에서는 소설 『오몬 라』와 『P 세대』를 분석한다. 『오몬 라』에 대한 분석을 통해서는 펠레빈이 모스크바 도시 공간을 개인들이 자동 기계인간으로 축소되는 거대한 비인간적 구조물로 비유하며 신랄하게 풍자, 비판하는 양상을 살펴한다. 또한 『P 세대』에 대한 분석을 통해서는 소설 텍스트 곳곳에 걸쳐 때로는 주인공의 꿈이나 환각, 시뮬라크르의 세계를 통해서, 때로는 작가의 고도로 계산된 언어유희를 통해서 직간접으로 제시되는 고대 도시 바빌론과 그 신화적 이미지에 중첩되는 도시 모스크바의 희화적 변형 과정을 살펴본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1990년대 러시아 포스트모더니즘 문학의 대표 작가들인 블라디미르 마카닌, 류드밀라 페트루쉐프스카야, 빅토르 펠레빈의 모스크바 텍스트를 분석 대상으로 삼아 그 안에 나타난 ...

      본 연구는 1990년대 러시아 포스트모더니즘 문학의 대표 작가들인 블라디미르 마카닌, 류드밀라 페트루쉐프스카야, 빅토르 펠레빈의 모스크바 텍스트를 분석 대상으로 삼아 그 안에 나타난 도시 모스크바의 ‘반공간성’을 중심으로 모스크바 신화의 탈신화화 양상들을 분석 고찰한다.
      본 연구의 첫 번째 부분을 형성하는 <블라디미르 마카닌의 모스크바와 광기의 공간>에서는 마카닌의 대표적인 포스트모더니즘 소설들인 『구멍』과 『언더그라운드, 혹은 우리 시대의 영웅』에서 모스크바 도시 공간이 과거 모스크바 신화를 대표하는 신화소들인 ‘유기성’, ‘통합성’, ‘현실성’, ‘환대성’ 대신 ‘혼돈성’, ‘분열성’, ‘환상성’, ‘적대성’으로 강하게 특징지어 지는 양상들을 살펴본다. 이를 통해서 마카닌의 두 소설에 나타난 도시 모스크바의 ‘반공간적’, ‘반신화적’ 성격을 규명해본다.
      본 연구의 두 번째 부분을 형성하는 <류드밀라 페트루쉐프스카야의 모스크바와 목가적 공간의 해체>에서는 모스크바 공간을 소설의 외적 배경으로 삼고 있지만, 러시아 문학의 페테르부르크 텍스트와 신화(예를 들면, 도스토예프스키의 작품들과 지하생활자)를 모스크바 신화의 탈신화화 전략의 내적 서브텍스트로 풍부하게 담고 있는 소설 『시간 밤』을 분석한다. 여기서는 페트루쉐프스카야가 이상적 ‘목가의 크로노토프’에 대한 신랄한 공간적 패러디를 통해서 전통적인 모스크바 신화의 ‘가정성’과 ‘목가성’을 전복시키고 해체하는 과정을 살펴본다.
      본 연구의 세 번째 부분을 형성하는 <빅토르 펠레빈의 모스크바와 시뮬라크르의 세계>에서는 소설 『오몬 라』와 『P 세대』를 분석한다. 『오몬 라』에 대한 분석을 통해서는 펠레빈이 모스크바 도시 공간을 개인들이 자동 기계인간으로 축소되는 거대한 비인간적 구조물로 비유하며 신랄하게 풍자, 비판하는 양상을 살펴한다. 또한 『P 세대』에 대한 분석을 통해서는 소설 텍스트 곳곳에 걸쳐 때로는 주인공의 꿈이나 환각, 시뮬라크르의 세계를 통해서, 때로는 작가의 고도로 계산된 언어유희를 통해서 직간접으로 제시되는 고대 도시 바빌론과 그 신화적 이미지에 중첩되는 도시 모스크바의 희화적 변형 과정을 살펴본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plores the demythologization of the "Moscow myth," concentrating mainly on the anti-spaciality of the city Moscow as reflected in the Moscow texts of three Russian writers, Vladimir Makanin, Liudmila Petrushevskaia and Viktor Pelevin, who represent late Russian postmodernism in the 1990s.
      In the first part of this study <Vladimir Makanin’s Moscow and the Space of Madness> I analyze the two postmodernist novels of Makanin, The Manhole and Underground, or Hero of Our Time, representative of late Russian postmodernist fiction in many respects. In these two novels, the urban space of Moscow is strongly characterized by chaos, fragmentariness, fantasy, hostility, as opposed to such traditional mythologemes of the "Moscow myth" as organicity, unity, reality, hospitality. The anti-spatial character reveals itself in Makanin's depiction of the urban space of Moscow.
      In the second part of this study <Liudmila Petrushevskaia’s Moscow and the deconstruction of Idyllic Space> I examine in detail the novella Time: Night that takes an important place within the contexts of late Russian postmodernist fiction and the demythologization of the "Moscow myth." The urban space of Moscow is not only the external constituent element in the spatial structure of Time: Night, but it also functions as the key subtext in the narrative strategy demythologizing the "Moscow Myth" which is essential to the so-called "Peterburg Text and Myth" of Russian literature. Here I analyze how Petrushevskaia subverts and deconstructs the idyllic and familial character of the traditional "Moscow Myth," bitterly parodies what Mikhail Bakhtin called the "chronotope of idyll."
      In the third and final part of this study <Viktor Pelevin’s Moscow and the World of Simulacrum> I analyze Pelevin’s anti-utopian novel Omon Ra and Generation P that best show the narrative technique of subversion and deconstruction in the 1990s' Russian postmodernist fiction. In his first novel Omon Ra Pelevin satirically criticizes the urban space of Moscow where individuals are reduced to automatons. In this way the writer transforms the urban space of Moscow traditionally regarded as a holy space in Russian culture into a huge inhuman structure. In the novel Generation P the urban space of Moscow is ridiculously transformed into the ancient city Babylon, sometimes through the hero's dreams and fantasy, sometimes through the world of simulacrum surrounding him. In this manner, ultimately, Pelevin turns "Moscow-the Third Rome" into "Moscow-the Third World" and implies the city Moscow as the empty center or the anti-spiritual center.
      번역하기

      This study explores the demythologization of the "Moscow myth," concentrating mainly on the anti-spaciality of the city Moscow as reflected in the Moscow texts of three Russian writers, Vladimir Makanin, Liudmila Petrushevskaia and Viktor Pelevin, who...

      This study explores the demythologization of the "Moscow myth," concentrating mainly on the anti-spaciality of the city Moscow as reflected in the Moscow texts of three Russian writers, Vladimir Makanin, Liudmila Petrushevskaia and Viktor Pelevin, who represent late Russian postmodernism in the 1990s.
      In the first part of this study <Vladimir Makanin’s Moscow and the Space of Madness> I analyze the two postmodernist novels of Makanin, The Manhole and Underground, or Hero of Our Time, representative of late Russian postmodernist fiction in many respects. In these two novels, the urban space of Moscow is strongly characterized by chaos, fragmentariness, fantasy, hostility, as opposed to such traditional mythologemes of the "Moscow myth" as organicity, unity, reality, hospitality. The anti-spatial character reveals itself in Makanin's depiction of the urban space of Moscow.
      In the second part of this study <Liudmila Petrushevskaia’s Moscow and the deconstruction of Idyllic Space> I examine in detail the novella Time: Night that takes an important place within the contexts of late Russian postmodernist fiction and the demythologization of the "Moscow myth." The urban space of Moscow is not only the external constituent element in the spatial structure of Time: Night, but it also functions as the key subtext in the narrative strategy demythologizing the "Moscow Myth" which is essential to the so-called "Peterburg Text and Myth" of Russian literature. Here I analyze how Petrushevskaia subverts and deconstructs the idyllic and familial character of the traditional "Moscow Myth," bitterly parodies what Mikhail Bakhtin called the "chronotope of idyll."
      In the third and final part of this study <Viktor Pelevin’s Moscow and the World of Simulacrum> I analyze Pelevin’s anti-utopian novel Omon Ra and Generation P that best show the narrative technique of subversion and deconstruction in the 1990s' Russian postmodernist fiction. In his first novel Omon Ra Pelevin satirically criticizes the urban space of Moscow where individuals are reduced to automatons. In this way the writer transforms the urban space of Moscow traditionally regarded as a holy space in Russian culture into a huge inhuman structure. In the novel Generation P the urban space of Moscow is ridiculously transformed into the ancient city Babylon, sometimes through the hero's dreams and fantasy, sometimes through the world of simulacrum surrounding him. In this manner, ultimately, Pelevin turns "Moscow-the Third Rome" into "Moscow-the Third World" and implies the city Moscow as the empty center or the anti-spiritual center.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