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논문은 조선 전기 시단에서 두시에 대한 학습과 탐구, 번역은 어떤 맥락 위에 있었는지를 살핀 것이다. 그 전사(前史)로서 『두시언해』 이전의 두시집 간행에서부터 성종조 『두시언해...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60073095
2012
Korean
두보 ; 두시 ; 두시언해 ; 집현전 ; 홍문관 ; 신진 사림 ; 김종직 ; 훈구 ; 사장(詞章) ; Dubo ; Dusieonhae ; Jiphyeonjeon ; Hongmoongwan ; New scholar-officials ; Jong-jik Kim ; Hungu(existing-nobles) ; Sajang(literature and writing ; 詞章)
KCI등재
학술저널
123-164(42쪽)
1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조선 전기 시단에서 두시에 대한 학습과 탐구, 번역은 어떤 맥락 위에 있었는지를 살핀 것이다. 그 전사(前史)로서 『두시언해』 이전의 두시집 간행에서부터 성종조 『두시언해...
이 논문은 조선 전기 시단에서 두시에 대한 학습과 탐구, 번역은 어떤 맥락 위에 있었는지를 살핀 것이다. 그 전사(前史)로서 『두시언해』 이전의 두시집 간행에서부터 성종조 『두시언해』의 간행에 이르기까지 그에 참여한 사람들의 면면과 그들의 관계를 구체적으로 재구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이 글에서는 첫째 조선 전기에 간행된 두시집들이 중국문학사의 맥락에서 어떤 의미를 갖는지, 그 간행 주체들의 위상과 영향력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둘째로는 중국과 조선에서 두시집의 간행에 관여했던 사람들의 발언을 통해 그 의미를 살폈다. 이를 통해 조선 전기의 두시에 대한 지식과 이해의 지평은 지역과 사제간의 계보, 가학으로 연결되어 있던 통로를 통해서 공유, 확산되고 있음을 확인했다. 그리고 성종조 『두시언해』 작업 및 간행에 관여한 홍문관 관원들의 면면을 살핌으로써 점필재 김종직을 중심으로 하는 하나의 그룹을 이룬 지식인들이 이 시기 두시에 대한 이해와 『두시언해』 작업에서 중요하나 위상을 차지하였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이들은 사장(詞章)을 일삼는다는 조정의 거센 비판에 대항해 가며 두보의 시를 유가적 문학의 전범으로 만들어 가는 과정을 함께 고민했다. 그 결과로 이루어진 『두시언해』의 간행은 두시에 대한 지식과 이해를 국가 공인의 표준화된 체계로 제시한 의미가 있다. 김종직과 일련의 젊은 선비들은 성정에 근본 한 바른 인간 정신을, 연마된 형식 속에서 세련되게 표현할 수 있는 가능성을 두시에서 찾았다. 이를 통해, 조선 전기 시단의 변화가 ‘두보’라는 기표, 그리고 그 기표를 중심으로 새로운 시학을 이끌어 갔던 사람들이 중요한 하나의 축을 이루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이 글은 두시에 대한 ‘번역’, 특히 『두시언해』가 이루어지기까지 그 전사(前史)에 치우친 한계가 있다. 이후의 연구에서 『두시언해』를 중심에 놓고, 그 구체적인 번역과 번역의 맥락을 문화사적 차원에서 고구함으로써 신진 사림이 기존의 훈구 관료와 차별화되는 지점을 명시하고, 그것이 새로운 지식인의 형성과 문학/문화의 흐름에서 갖는 의미를 파악하는 것은 추후의 논의를 통해 밝혀가고자 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research investigated learning, research and translation of Dubo’s poem in poetry society in the early Joseon Dynasty. And it studied various sides and relationships of people who participated in the publication of Dubo"s poem collection bef...
This research investigated learning, research and translation of Dubo’s poem in poetry society in the early Joseon Dynasty.
And it studied various sides and relationships of people who participated in the publication of Dubo"s poem collection before as pre-history(前史) up to the publication of in the era of King SeongJong.
First, it examined the meaning of Dubo"s poem collection for Chinese literature history in the early Joseon Dynasty by focusing on the status and influence of main agents of the publication.
Second, it examined its meaning by studying remarks of people who participated in the publication of Dubo"s poem collection in China and Joseon.
The knowledge prospect of understanding on Dubo"s poem in the early Joseon Dynasty were shared and spread through the path connected to pedigree and family scholarship of region and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And among government officials in Hongmoongwan(Royal ministry of history and research) who participated in work and publication of during the era of King SeongJong, the intellectuals with Jong-jik Kim(Pil-jae Jeom) reveal as an interesting group.
As resisting hard criticism of the imperial court that they do Sajang (literature and writing, 詞章) habitually, they worried together about the process of making Dubo"s poem to the model of Confucius literature.
As a result, the publication of suggested the knowledge and understanding on Dubo"s poem by standardized system of an official approval.
In Dubo"s poem, Jong-jik Kim and young scholars found the possibility to sophistically express the right human mind based on nature in an improved form Therefore, the research confirmed that the people who led new poetics with a signifier called ‘Dubo’ as a center brought the change in poetry society of the early Joseon Dynasty.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영봉, "金宗直 詩文學 硏究" 이회문화사 1-310, 2000
2 김남이, "집현전 학사의 삶과 문학 세계" 태학사 1-363, 2001
3 심경호, "조선조의 杜詩集 간행과 杜詩 受容, In 杜詩와 杜詩諺解 硏究" 태학사 1-345, 1998
4 "조선왕조실록"
5 이종묵, "조선 전기 한시의 당풍에 대하여" 한국한문학회 18 : 207-238, 1995
6 유호진, "점필재 김종직과 그의 젊은 제자들" 지식과교양 471-494, 2011
7 이병주, "전이와 수용: 국문학상의 두시(杜詩)" 한국동방문학비교연구회 7-36, 1985
8 정경주, "성종조 신진사류의 문학세계" 법인문화사 1-353, 1993
9 이종묵, "두시의 언해 양상, In 杜詩와 杜詩諺解 硏究" 태학사 1-345, 1998
10 이의강, "두시언해의 주석에 대한 일천견 - 시구의 구체적 함의와 관련된 주석을중심으로 -" 우리한문학회 3 : 129-152, 2000
1 김영봉, "金宗直 詩文學 硏究" 이회문화사 1-310, 2000
2 김남이, "집현전 학사의 삶과 문학 세계" 태학사 1-363, 2001
3 심경호, "조선조의 杜詩集 간행과 杜詩 受容, In 杜詩와 杜詩諺解 硏究" 태학사 1-345, 1998
4 "조선왕조실록"
5 이종묵, "조선 전기 한시의 당풍에 대하여" 한국한문학회 18 : 207-238, 1995
6 유호진, "점필재 김종직과 그의 젊은 제자들" 지식과교양 471-494, 2011
7 이병주, "전이와 수용: 국문학상의 두시(杜詩)" 한국동방문학비교연구회 7-36, 1985
8 정경주, "성종조 신진사류의 문학세계" 법인문화사 1-353, 1993
9 이종묵, "두시의 언해 양상, In 杜詩와 杜詩諺解 硏究" 태학사 1-345, 1998
10 이의강, "두시언해의 주석에 대한 일천견 - 시구의 구체적 함의와 관련된 주석을중심으로 -" 우리한문학회 3 : 129-152, 2000
11 徐居正, "동인시화" 집문당 1998
12 許筠, "국역 성소부부고" 민족문화추진회 1989
13 金訢, "顔樂堂集" 민족문화추진회
14 "重刊 杜詩諺解"
15 成俔, "虛白堂集" 민족문화추진회
16 심경호, "纂註分類杜詩 解題, In 纂註分類杜詩 영인판" 이회문화사 1992
17 김진경, "睡軒 權五福의 삶과 정신 지향-忠義를 갖춘 官人으로서의 삶을 중심으로, In 점필재 김종직과 그의 젊은 제자들" 지식과 교양 2011
18 柳方善, "泰齋集" 민족문화추진회
19 曺偉, "梅溪集" 민족문화추진회
20 "杜律虞註"
21 전재호, "杜詩諺解論釋" 선명문화사 1-531, 1968
22 이병주, "杜詩諺解의 經緯와 그 聲價, In 우전 신호열선생고희기념논총" 창작과 비평사 1983
23 안병희, "杜詩諺解의 書誌的 考察, In 杜詩와 杜詩諺解 硏究" 태학사 1-345, 1998
24 김일근, "杜詩諺解와 黃山谷詩集諺解에 對한 再論" 국어국문학회 31 : 1-9, 1966
25 이병주, "杜詩諺解 再論에 答함" 국어국문학회 32 : 1966
26 "杜工部草堂詩箋"
27 안대회, "朝鮮時代의 杜詩 註釋, In 杜詩와 杜詩諺解 硏究" 태학사 1-345, 1998
28 崔恒, "太虛亭集" 민족문화추진회
29 尹祥, "別洞集" 민족문화추진회
30 "初刊 杜詩諺解"
31 金宗直, "佔畢齋集" 민족문화추진회
32 나리사와마사르, "『두시언해(杜詩諺解)』텍스트 계통(系統) 연구(硏究)의 현황과 과제" 국어국문학회 141 : 35-59, 2005
33 유호진, "15세기 詩壇의 動向과 成侃의 古詩 創作" 한국고전문학회 (33) : 291-332, 2008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4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20-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5-02-11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한국어문학연구 -> 동악어문학외국어명 : The Research on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 Journal of Dong-ak Language and Literature | ![]() |
2015-02-11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한국어문학연구학회 -> 동악어문학회영문명 : The Association Of The Research On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 Dong-ak Society of Language and Literature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8-04-29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Dong-ak Society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 The Research on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67 | 0.67 | 0.67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81 | 0.8 | 1.224 | 0.23 |